오지마을 '막지리', 김덕수 단장과의 인연은

2011.06.22 09:25:00



19일 오전 9시, 청주삼백리 회원들이 승용차 5대에 나눠 타고 청주 흥덕구청 주차장에서 대청호반에 위치한 옥천군 군북면 막지리로 향했다. 매스컴에 여러 번 소개된 오지마을 막지리는 피반령, 회인, 수리티재, 비림박물관(동정삼거리 우회전), 도올삼거리(답양리 방향 우회전), 답양3교, 장고개를 지나야 만난다.


막지리는 비포장 길을 한참 달려야하는 오지마을이라 찾아가기가 쉽지 않다. 초행길이 아닌데도 이정표가 없는 산길에서 몇 번을 헤매며 찾아가는 이유가 있다. 막지리 못미처 장고개 정상 부근에 차를 세우면 아래편으로 내려다보이는 대청호와 도호리, 뒤편에 우뚝 솟아있는 추소리의 환산(고리산)이 한 폭의 그림처럼 펼쳐진다. 


물길이 보이는 정자 앞에 주차를 하고 마을 주민들과 대화를 나눴다. 중학교 마치고 마을을 떠나 지금은 대전에 살지만 홀로 계신 어머님 때문에 자주 들린다는 강철희 씨가 1973년 안내면에서 군북면으로 편입된 막지리의 옛 모습을 자세히 얘기해줬다.

마을 이름에서 막혀 더 이상 갈 수 없을 것 같은 느낌이 풍기는 지금의 막지(莫只)는 이곳을 지나던 우암 송시열이 보리농사를 많이 짓는 것을 보고 맥계(麥溪)라 이름 지은 것이 음운변화에 따라 맥기로 불리어오다 한자화하면서 붙여진 지명이다. 한때는 120여 호에 750여 명이 살던 큰 마을이었으나 대청댐 수몰로 마을이 물에 잠기게 되자 수몰선 위 막지에 20여 호, 장고개에 10여 호가 마을을 새롭게 형성하며 더 이상 갈 수 없는 마지막 동네가 되었다.

청풍정 뒤편 석호리에 위치하던 옛 군북초등학교는 추소리까지 학구였던 큰 학교였으나 1980년 댐건설로 물에 잠기었다. 2년 전, 가뭄으로 대청호 수위가 내려가며 모습을 드러낸 학교 건물의 잔해가 매스컴에 소개되기도 했었다. 


마을 못미처 마지막 급회전 하는 커브길이 호반으로 가는 출발점이다. 서쪽 방향 초입의 산소로 가는 산길을 지나면 가시덩굴이 발길을 더디게 한다. 도호리와 막지리를 오가던 산길 가까이에서 호반을 만나고 물길 건너편으로 청풍정과 도호리가 눈앞에 펼쳐진다.

물가에서 바로 앞 청풍정과 명월암을 바라보며 갑신정변에 실패한 김옥균과 명월의 사랑이야기를 생각해본다. 그늘 아래 모여 앉아 점심을 먹었다. 늘 그렇듯 상추, 취, 미나리, 오이, 고추 등 반찬이 푸짐하다. 막걸리에 매실주까지 몇 잔 나눠 마시는 재미도 한 몫 한다.


다시 막지리 앞까지 호반을 따라 걷는다. 물이 빠진 호반의 모습이 아름답다. '저 푸른 초원위에 그림 같은 집을 짓고 사랑하는 우리 님과 한 백년 살고 싶어~' 물이 빠진지 오래 된 곳은 제법 넓은 초원을 이뤄 남진의 '님과 함께'가 콧노래로 들려온다.

개흙이라 발이 푹푹 빠지는 물가에 옛 막지리의 집터가 드러났다. 이곳에서 금강물줄기를 따라 안내장을 오가던 옛길은 찾을 수 없다. 동편 물길 건너가 정지용 시비 공원이다.

마을로 향하다보면 옛 길과 다리의 흔적도 만난다. 물가 쪽에 외따로 떨어져 있는 집 앞에 '세심정사(洗心精舍)' 표석과 '해가 가니/ 달이 따르고// 바람이 가니/ 구름이 나르고// 세월이 가니 인생이 흐르네'가 써있는 '바람의 노래' 시비가 서 있다.


막지리에서 나와 고개 아래에 있는 장고개마을로 갔다. 관에서 수몰마을의 숙원사업을 해결해주지 않아 봄에 마을 이장을 내놨다는 전세봉씨가 반갑게 맞이한다. 장고개마을은 돌담, 건조실 등 옛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어 사진 동호회원들이 많이 찾아온다며 막지리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놨다.

수몰되기 전의 막지리는 금강을 따라가며 넓은 논밭이 많아 벼 수매량이 군북면 전체와 맞먹었고, 방앗간이 2곳, 가게가 4개나 되던 부촌이었으며, 마을 앞 강가에 배구장이 있는 큰 송림이 있었고, 이곳이 해마다 백중놀이가 1달간 열리는 남사당패의 집결지였었단다.

생활에 어려움이 많지만 누군가는 희생을 감수해야하는 국가사업이었기에 대청댐 때문에 마을이 수몰된 것을 원망하지 않는다는 전세봉씨에게 막지리에 대해 새로운 이야기를 들었다.

사물놀이패를 창단하고 해외순회공연으로 우리의 사물놀이를 세계에 알리며 국위선양에 앞장서고 있는 김덕수 단장이 태어난 곳이란다. 아버지·백부·숙부가 모두 유명한 남사당이었으며, 김덕수 단장은 2살 때 대전으로 이사해 5살 때 조치원의 난장에서 무동으로 데뷔했지만 가까운 친척들은 수몰되기 전까지 막지리에 살았단다. 대한씨름협회장을 역임한 최창식 씨도 이곳 출신임을 자랑스러워했다.


장고개를 넘어 비포장 산길을 벗어난 후 왔던 길 반대편 방향인 보은군 회남면 은운리로 향했다.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인 은운리는 마을 앞에 금강으로 흘러드는 가산천이 있다. 구름재에 차를 세우고 구름이 마을을 감춘다는 은운리를 내려다봤다. 


은운리에서 비포장 고갯길을 돌아 내려오면 고려 때 최영 장군이 군량을 가루로 만들어 군사들에게 주었다는 분저실이 길 아래편에 있는 회남면 분저리이다. 호반 길을 따라가다 우회전해 회인을 지난 후 피반령 고갯마루에 있는 괴목공원을 구경하고 청주로 향했다.
변종만 상당초등학교 퇴직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