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 못배운 중학생, 어떻게 하나

2011.08.16 11:02:00

방학이 임박한 7월 중순, 대구에서 2학년 학생이 전입을 왔다. 전입생이 오면 언제부터인가 가장 먼저 한가지 질문하는 습관이 생겼다. 2009개정교육과정과 학교교육과정 자율화방안에 따른 집중이수제 문제이다. "먼저 학교에서 안 배운 과목 좀 이야기해 줄래?" 갑작스런 질문에 학생은 당황한 기색이 역력하다. "글쎄요 안 배운 과목이 없는 것 같은데..." "그럼 선택과목은 몇 과목 배웠어?"라고 재차 질문을 던졌다.

"한문하고 컴퓨터 두 과목 배웠는데요. 왜 그러시는데요?" "어, 그럼 뭔가 한 과목을 안배웠을 것 같은데... 잘 생각해봐 1학년때 배웠는데, 2학년 때 안배운 과목이 있을거야" 이 학생이 잠시 학부모 얼굴을 바라보면서 난감한 표정을 짓는다. 잘 생각이 안나는 것 같았다. 잠시 후에 "아 맞아요. 우리 학교 미술 안배웠어요. 2학기 때 배운다고 했는데."

이렇게 해서 또 한 명의 교육과정 미아를 찾아냈다. 얼마 전에 지역교육지원청에서 미이수 학생에 대한 공문이 내려왔다. 겨울방학 때부터 전부 또는 2/3이상을 이수하지 못한 학생들을 거점학교에서 이수하도록 한다는 공문이었다. 그 이하는 각 학교에서 이수시키도록 하고 있다. 주로 방학 때 이수를 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전입생의 미이수 문제가 일단락 되어 가는 느낌도 든다.

그러나 문제가 남아 있다. 시간 수를 채운다고 이수가 끝나는 것이 아니다. 미술의 경우는 위의 학생은 1학년이 아니기에 그나마 다행이다. 우리학교는 미술을 2학년에서 집중이수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는 시수가 많지 않기 때문에 이수에 별다른 문제가 없다. 그러나 집중이수를 한 과목은 주당 시수가 최소 3시간 이상이 된다. 그렇다면 주당 3시간에 한 학기를 이수시킨다면 17×3=51시간이나 된다. 그 학생은 방학을 반납하고 이수를 해야 한다. 만일 미이수한 과목이 더 있거나, 시수가 많다면 문제는 더욱더 커지게 된다. 여기에 한 학기가 아니고 1년을 이수하지 못했다면 이야기는 완전히 달라진다.

어떻게 해서 이수를 했다고 해도 문제는 또 남아 있다. 평가문제이다. 이 학생의 평가결과를 어떻게 다른 학생들과 공평하게 반영할 것인가는 정말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그렇다고 해당학생의 평가결과를 상급학교 입시에서 뺀다면 또다른 형평성 논란에 휩싸일 것이다. 넣을 수도 없고, 뺄 수도 없는 것이 현재의 상황인 것이다.

집중이수제로 인해 어느덧 사회교과는 잊혀진 교과가 되어가고 있다고 한다. 많은 학교에서 사회과목을 집중이수제로 편성했기 때문이다. 1학년이나 2학년에서 집중이수제로 이수를 하면 더 이상 배울 일이 없기 때문이다. 비단 사회만의 문제는 아니지만 상대적으로 수업시수가 많았던 과목이기에 간단히 생각할 문제가 아니다. 어쩌면 중학교 1학년 때 사회를 배우고 더이상 사회를 배우지 않는 경우도 나올 수 있다. 고등학교 1학년은 선택교과과정으로 운영한다고 하니 충분히 가능한 이야기가 아닐까 싶다. 사회를 더 배우고 싶다면 고등학교의 인문계를 선택해야 또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될 것이다.
 
무슨 교육과정이 총론에 따라 시행하고, 교과교육과정을 나중에 따로 시행하는지 이해하기 어렵다. 교과서 개발도 그렇고 배우고 있는 학생들도 그렇다. 교과서 개발이 완료되어 교과교육과정과 함께 시작했어야 옳다. 교과교육과정이 개정되기 전에 2009개정교육과정을 적용받는 현재의 학생들은 무엇이란 말인가. 말만 2009개정교육과정이지 유령과도 같은 교육과정을 이수하고 있는 것이다. 2009개정교육과정은 확실히 다시 한 번 검토되어야 한다. 이대로 계속 추진한다면 예기치 않은 문제점으로 학교는 더욱더 큰 혼란을 겪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창희 서울상도중학교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