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신발장에 신발이 없다

2012.04.05 16:45:00

학교 신발장이 텅 비었다. 있어야 할 신발이 없다. 신발들이 모두 어디에 있을까? 교실 학생 책상 옆 신발주머니 속에 넣어져 매달려 있다. 어찌된 일일까?

요즘 학생들, 등교할 때 가방은 어깨에 메고 실내화가 든 신발주머니를 들고 학교에 온다. 현관에서 실내화로 갈아 신는다. 이 때 실외화가 주머니 속으로 들어간다. 이 실외화는 신발장으로 가지 않고 교실까지 들어간다. 왜? 신발장에 놓아 뒀다간 분실되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은 각급 학교 공통이다.

전날 실내화를 교실에 두고 간 학생은 실외화를 신고 교실까지 간다. 여기서 질서가 깨지고 생활지도 문제가 발생한다. 맨 양말로 올라가는 학생은 드물다. 교사가 현장을 지키고 있으면 몰라도, 규칙 위반이다. 교육이 무너지는 것이 자칫 일상화된다.

학생들을 신발주머니에서 해방시킬 수는 없을까? 신발 분실의 우려를 없애고 등하교 시 실내화로부터 자유를 주는 방법은? 신발장을 부활시키면 된다. 어떻게? 기존 신발장에 뚜껑을 달고 잠금장치를 마련하면 된다. 대부분의 학교가 '텅빈 신발장'을 방치 하고 있지만 일부 학교에서는 현관에 잠금장치가 있는 전교생의 신발장을 설치한 학교도 있다.




어느 학교에서는 실내화 없이 실외화로 실내생활까지 하기도 한다. 아마도 흙을 밟지 않는 아파트 속의 학교에서는 가능하리라 본다. 우리 학교의 경우, 위생면, 냄새면에서 반대하는 교직원이 있다. 학생들이 실외화를 세탁해야 하는데 그게 아니고 실외화의 흙먼지가 교실 공기를 더럽혀  건강을 해친다. 

우리 학교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아이디어를 짜냈다. 단, 비용은 적게 들고 교육적 효과를 거두어야 한다. 기존 신발장을 철거하고 새로운 신발장을 복도에 설치하는 것은 비용이 많이 든다. 현관 입구에 새 신발장을 설치하는 것도 비용이 만만치 않다. 그렇다면 기존 신발장에 뚜껑을 설치한다면? 비용도 저렴하고 목적한 성과를 거둘 수 있다.

PB LPM이라는 튼튼한 재질에 색상은 연두색과 핑크빛이다. 중간 칸막이도 넣는다. 잠금장치도 있고 고유 번호판도 고정으로 붙인다. 열고 닫을 때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도 달아 놓는다. 신발장 안쪽에 열쇠고리도 달아 체육시간에는 열쇠를 그 곳에 보관한다. 개인당 열쇠가 2개인데 하나는 담임이 보관한다. 비상시를 대비해 담임은 마스터 키를 갖고 있다. 




1개 교실당 신발장이 두 곳인데 한 곳 당 5개씩 4줄이니 20개 신발장으로 재구성 된다. 그러니까 교실 당 신발장이 학급 인원수에 맞춰 40개가 되는 것이다. 단 비용이 문제다. 최저 비용으로 계산하니 신발장 하나당 1만 6천원 정도 나온다. 그렇다면 학생 1인에게 이 금액을 투자하면 학생들로부터 신발주머니를 해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초기 설치비로 해마다 계속해서 활용할 수 있다. 비용이 더 이상 들어가지 않는다. 학생들의 열쇠 분실 및 찾아주기에 대비해 열쇠에 고유번호를 부여한다. 예컨대 3학년 1반 19번은 3-1-19이다. 담임 보관용 여유 열쇠마저 학생이 분실했다면 잠금장치 케이스를 교체해야 한다. 약 2천원 정도인데 이 때는 학생이 부담해야 한다.

자, 이제 실행이 뒤따라야 한다. 얼마 전 우리 학교 학교운영위원회에선 '2012학년도 발전기금 조성 및 운영 계획'이 통과되었다. 학생 복지를 위해 자발적인 기부금품을 조성하여 절차의 정당성과 회계운영의 투명성을 기하려는 것이다. 운영위원들은 견본으로 설치한 신발장을 살펴 보았다. 반응이 괜찮다.

내 자녀를 위한 교육 투자 16,500원이면 3년간 실내화 주머니로부터 벗어나 자유를 만끽할 수 있다. 그 교육투자는 후배들에게도 계속 이어진다. 새로 신발장을 구입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신발장을 리모델링 하는 것이다. 자기 신발이 가까이 있고 잠금 장치가 되어 있으니 안심도 된다.

우리 학교의 신발주머니 없애기, 완성된 신발장이 기대된다. 학생들에게 등하교길 짐을 하나 덜어 주는 것이다. 선생님들의 교내 생활지도 하나가 줄어 들었다. 학교의 작은 변화가 교육개혁의 출발점이 된다.
이영관 교육칼럼니스트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