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교육현장에서 가장 힘들어하고 바로잡지 못하고 있는 것들은 폭력, 금품갈취, 괴롭힘, 남을 속이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를 통틀어서 “학교폭력”이라하며 생활지도에 가장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런 현상은 초등학교 고학년부터 중고등학생들이 가장 심각한데 사춘기연령인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이 가장 많이 사회적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고 한다.
학교폭력을 예방하기 위해 수많은 대책을 내놓고 생활지도에 힘쓰고 있지만 쉽게 사라지지 않고 있다. 학교폭력은 선량한 피해자가 생기고 폭력, 금품갈취, 괴롭힘에 시달리다가 꿈을 피워보지도 못한 채 혼자서 괴로워하다가 자살이라는 극단적인 방법으로 부모님의 가슴에 못을 박고 주위의 사람들을 안타깝게 하고 있다. 가장 존귀한 것이 인간의 생명인데 이러한 병리현상이 사라지지 않고 있어 너무나 안타깝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교육자, 사회심리학자, 학부모 및 유관기관이 나서서 협조하고 대책을 강구해 보지만 어른들의 눈을 피하여 은밀하게 발생하고 있다. 경찰과 학교안전 지킴이 제도까지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으나 학교폭력은 언제 일어날지 모르기 때문에 항상 긴장 속에서 학생들을 지도하고 있다고 한다.
지금당장 학교폭력을 없앨 수 있는 특별한 대책이나 좋은 특효약은 없는 것 같다. 정신과 의사나 심리학자, 종교지도자 들의 주장에 따르면 아주 어린 시절 즉 세 살이 되기 전에 부모가 자녀의 습관을 바로잡아주어야 한다는 논리가 가장 설득력이 있는 것 같다.
요즘 결혼 연령도 늦은데다가 아이들을 금이야 옥이야 하며 너무 사랑만 주려고 하여 아이들이 크면서 버릇이 없다는 말이 있는데 필자도 이에 동의한다. 자기 자식의 기(氣)를 꺾지 않으려는 마음에서 아이들의 응석을 모두 받아주며 부족함을 모르며 귀엽게만 키우는 부모가 많은 것 같다. 자식을 진정으로 사랑하는 길은 안 되는 것은 안 된다고 단호하게 꾸짖어 바로잡아 주어야 자식의 인성을 바르게 가르치는 것임을 깨달아야 한다.
사람의 뇌중에 이마 부분에 있는 전두엽은 모든 행동을 통제하는 기관이라고 합니다. 난폭성 공격성은 우리 뇌중에서 전두엽 기능의 이상과 관련이 있다고 합니다. 어려서부터 남을 때리거나 장난감 같은 물건을 빼앗는 것, 다른 사람을 괴롭히거나 속이는 행동을 할 때는 안 된다고 바로잡아주어야 한다. 아이가 귀엽다고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고 방치하면 아이들은 이래도 된다는 생각이 고착되어 청소년으로 자라서도 남에게 해를 끼치는 습관을 스스로 통제하지 못하고 당연하게 행동한다고 합니다.
차에 비유하면 브레이크가 듣지 않는 것과 같이 자기 통제력이 없어 문제아로 자라기 쉽다고 합니다. 세 살 이전의 어린아이를 키우는 부모님들은 다음 네 가지 행동을 할 때 “NO!” 라고 단호하게 가르쳐 주어야 합니다.
첫째, 친구들과 놀이 할 때 남을 때리는 행동을 못하게 해야 합니다. 이런 습관이 커서는 학교폭력, 가정폭력을 자기도 모르게 하게 됩니다.
둘째, 놀이 할 때 장난감이나 남의 물건을 갖고 싶을 때 빼앗는 버릇도 고쳐주어야 합니다. 커서 힘이 약한 친구에게 금품을 빼앗는 습관이 나타납니다.
셋째, 친구를 괴롭히지 않도록 통제를 가해야 합니다. 힘이 약한 자를 괴롭히는 것은 학교폭력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더 나아가 성폭력도 괴롭힘을 통제하지 못하는데 원인이 있다고 합니다.
넷째, 남을 속이지 않도록 정직성을 길러주어야 합니다. 청소년기에 부모님을 속이고 친구를 속이는 습관에 물들지 않도록 어릴 때부터 가르쳐 주어야 합니다.
“세살버릇 여든까지 간다.”는 우리조상님들의 속담에서 자녀교육의 지혜를 발견해야 합니다. 전두엽에서 형성되는 이런 습관들은 세 살이 넘으면 굳어져서 커서는 아무리 노력을 해도 고쳐지지 않는다고 합니다. 어려서 방치하면 사춘기에 접어들어 부모나 선생님이 열배나 백배의 노력을 해도 고칠 수가 없다고 합니다. 즉 호미로 막을 것을 가래로 막으려는 것과 같은 이치라고 합니다.
세 살 이전의 유아를 기르는 부모가 아이들의 행동을 면밀히 관찰하면서 네 가지 나쁜 행동이 습관화 되지 않도록 통제력을 길러줄 때 우리나라의 학교폭력은 더 이상 사회문제가 되지 않을 날이 올 것이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