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광저우 교육, 문화체험 (6)

2013.03.14 21:33:00

중국 광주시월수외국어학교(廣州市越秀外國語學校)는 60년 된 학교라 그런지 교육환경은 매우 열악했다. 주변에 아파트가 너무 가까이 세워져 있었다. 학교에서도 아파트가 다 보이고 아파트에서도 학교 안이 다 보였다. 선생님들이 기숙하는 아파트도 너무 낡아보였다.

교실도 너무 낡았다. 날씨가 더워 선풍기가 하나 돌아가고 있었다. 다행히 한 학급에 학생수가 25명이라 그리 복잡하지는 않았다. 우리처럼 각 교실에 컴퓨터 설치가 되어 있지 않았고 TV도 없었다. 고작 작은 스크린이 하나 있는 것이 전부였다.

우리학교도 한 학급당 25명인데다 학교가 넓은데 비해 월수외국어학교는 너무나 대비되었다. 함께 간 학생들이 절로 감사를 연발하였다. 그래도 선생님들의 열정은 대단했다. 학생들의 열정도 마찬가지였다.

앞서도 말한 것과 같이 학교 방문 때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온 것이 네 글자였다. 첫 자가 ‘존사(尊師)’였다. 다음은 ‘수칙(守則)’이었다. 그 다음으로는 ‘분투(奮鬪)’였다. 마지막 글자는 ‘진취(進取)’였다. 역시 한자가 중국식 간체자이기 때문에 조금 표기가 다르다.

교육목표가 세워지면 그 목표를 향해 적극적으로 나아가 반드시 이루는 것이다. 목표달성이 최종 꿈이었다. 꿈이 있는 거북이는 쉬지 않는다. 꿈이 있는 거북이는 지치지 않는다. 꿈이 있는 거북이는 반드시 이룬다. 목표달성을 향해 열정을 쏟고 있으며 부지런하여 게으르지 않으며, 목표달성을 향해 분발하며 꿈을 이루기 위해 지치지 않고 앞을 향해 나아가고 있었다.

오늘의 중국을 만든 것도 교육의 힘이라는 것을 느끼게 하였다. 배워야 할 것도 있었고 버려야 할 것도 있었다. 그 중 배워야 할 것이 더 눈에 많이 들어왔다. 중국 학생들에게 선생님을 존경하는 마음을 갖도록 하는 교육은 반드시 본받아야 할 것이었다.

선생님을 존경하는 마음이 사라지고 있는 이 때, 가장 먼저 회복해야 할 것이 바로 선생님을 존경하는 마음을 갖는 것이다. 학생들도 선생님을 존경하고, 학부모님들도 선생님을 존경하고, 모든 국민들도 선생님을 존경하는 풍토가 조성되어야만 교육다운 교육을 할 수가 있다.

교육의 한 축인 선생님이 무너지면 교육이 바로 설 수가 없다. 선생님과 학생과 학부모님 어느 한 축도 무너지면 안 된다. 이것을 잘 알고 있는 나라가 중국이 아닌가 싶다. 선생님을 존경하는 ‘존사(尊師)운동’이 일어나야 하겠다.

그러한 다음에 학생들이 가져야 할 마음 자세가 교칙을 준수하고 질서를 지키는 일을 우선하였다. 학력향상보다 인성교육을 더 중요시하였다. 등하교시간을 잘 지키는 일, 휴지버리지 않는 일, 교실을 정돈하는 일, 화장실을 깨끗하게 하는 일, 부모님에게 효도하는 일 등.

그리고 나서 꿈을 가지고 꿈을 이루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었다. 노력, 분투, 성실, 정열, 근면 등이 몸에 배였다. 학문하는 일에, 역류하는 배와 같이 쉼이 없었다. 역류하는 배는 멈추면 후퇴다. 이를 아는 중국학생들은 멈추지 않는다. 반복해서 노를 젓듯이 노력을 아끼지 않는다. 땀을 흘리며 노력을 한다. 조금씩 조금씩 앞으로 나아간다.

물러설 줄 모르는 이들이 중국인이다. 쉬지 않는 이들이 중국인이다. 땀을 흘리는 것을 보람으로 여기는 이들이 중국인이다. 꿈을 이루는 것을 만족으로 여기는 이들이 중국인이다. 학생 때부터 ‘존사-수칙-분투-진취’를 무언으로 가르치고 있었다.

학생들이 7시에 등교하기 전에 8-9명의 학교 미화원들이 열심히 청소하는 모습이 지금도 눈에 선하다. 그들의 부지런함을 보여주는 단면이다. 경비원들의 반갑게 인사하는 모습이 눈에 선하다. 존사를 실천하고 있었다. 영어로 진행하는 선생님의 열정과 영어로 대답하는 학생들의 모습이 지금도 떠오른다. 분투와 진취의 결과다 싶다. 떠날 때 우리 학생들을 안고 눈물을 흘리는 중국 학생들의 눈물을 보았다. 인성교육의 결실이 아닌가 싶다.
문곤섭 전 울산외국어고등학교 교장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