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하고 싶은 날은?

2013.05.19 08:05:00

교사들이 피하고 싶은 날은 언제일까. 의외로 교사들은 피하고 싶은 날로 스승의 날로 꼽고 있다. 물론 몇 몇 교사들에게 물은 질문이긴 하지만 전혀 타당성이 없어 보이지는 않는다. 그래도 올해는 촌지문제를 거론한 언론이 많지 않았다는 것에 위안을 삼고 있다. 그러나 교육청에서 암행감찰을 통해 촌지 수수를 적발하겠다고 나선 것은 요즈음 교사들의 사기를 더욱더 꺾어 버리는 행위라는 지적이 많다. 교사를 범죄자로 취급하는 교육청은 도대체 누구를 위해 존재하는 교육행정기관인지 헷갈린다.

학교에 촌지와 선물문화는 이제 거의 사라졌다고 본다. 그렇다고 촌지나 선물문화가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라고 한다. 일부 언론보도에 따르면 학교에는 촌지나 선물을 안 보내지만 학원에 보내는 경우는 많아졌다고 한다. 학교대신 학원에 촌지와 선물이 넘쳐 난다고 한다. 잘 알고 지내는 지인의 이야기를 빌리자면 자기가 일하는 사무실 직원들이 자녀들의 학교에는 선물을 보낼 필요가 없지만 학원에는 보내기로 했다는 이야기를 많이 들었다고 한다.

어쨌든 학교에서 촌지와 선물문화가 사라져 가는 것은 매우 반길 만하다. 앞으로는 학교에서 이런 문화가 완전히 뿌리뽑힐 것으로 기대된다. 시대가 변하기도 했지만 학부모와 교사들의 인식이 그만큼 성숙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받아들이고 싶다. 교권이 무너지고 교사들에 대한 신뢰가 떨어지는 시점에서 촌지나 선물문제가 더이상 불거지는 것은 교사들을 더욱더 어렵게 할뿐 도움이 되지 않는다. 공교육의 신뢰회복과 교권확보는 상대적으로 우리가 계속해서 노력해야 할 부분이라는 생각이 든다.

잠시 이야기가 좀 빗나갔지만 교사들이 스승의 날을 피하고 싶은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다. 일단 스승의 날이 다가오면 여러가지 이유로 교사들에게 부담을 주는 경우들이 많다는 것이다. 앞서 언급한 촌지문제와 편하게 먹고사는 집단이라는 식의 이야기들이 들려오기 때문이다. 아무리 힘들다고 해도 절대로 인정하지 않으려는 사회적인 분위기가 교사들이 스승의 날을 피하게 만드는 요인이 아닌가 싶기도 하다.

여기에 철없는 제자들의 무차별적인 방문이다. 사실 스승의 날에 학교를 찾아오는 학생들은 그래도 예전 스승이라는 인식을 가지고 찾아오는 경우들이 많다. 문제는 그렇지 않은 학생들이 섞여 있다는 데에 있다. 교사들에게 철없는 행동을 함으로써 더욱더 힘들게 하는 일들이 발생하고 있다. 그래도 웃음을 잃지 않고 학생들을 맞아야 하는 교사들은 그 자체로 어려움을 겪게 된다. 스승의 날이 지나고 나면 마치 전쟁이라도 치른 것 같은 분위기가 며칠간 이어지기도 한다.

초등학교나 고등학교의 사정은 좀 다를 수도 있다는 생각이다. 그러나 최소한 중학교에서는 이런 저런 이유로 스승의 날을 더욱더 힘들어하는 교사들이 많다. 물론 어린 학생들이고 미성년자 이기에 모두 받아들여야 하는 것은 맞다. 그렇더라도 보이지 않는 어려움을 토로하는 교사들이 많다는 것은 스승의 날이 예전과 달리 갈수록 왜곡되어 가고 있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는 부분이 아닌가 싶다.

오죽하면 스승의 날을 피하고 싶어하겠는가. 5월1일의 근로자의 날을 스승의 날로 지정하고 다른 근로자들처럼 하루 쉬고 싶어 하는 교사들이 많다. 그러나 일반 근로자와 달리 학교가 스승의 날에 쉬게되면 여론이 가만두지 않을 것이다. 예전에 재량휴업일로 지정하여 휴업을 했을때, 언론의 집중포화를 받고 난 후 더 이상의 재량휴업 지정은 하지 않게 되었다. 결국 이 모든 것들을 교사와 학교가 떠 안아야 하는 과제만 남긴채 말이다.

요즈음은 많은 학교들이 스승의 날을 수학여행이나 수련회 일정에 끼워넣고 있다. 어쩌면 이것도 스승의 날을 피하기 위한 하나의 궁여지책일 것이다. 스승의 날을 피할 수는 있지만 모교를 찾아오는 학생들에게는 상당히 아위움이 클 것이다. 스승의 날에 학교를 찾는 학생들은 그 자체가 즐겁기 때문이다. 스승의 날을 축하해 준다는 의미도 있지만 학교를 찾아오는 것을 즐겁게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피하고 싶은 날이긴 하지만 피할 수 없다면 즐기는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앞으로는 학교교육과정 운영에서 스승의 날은 수업을 일찍 마치고 학생들을 맞이하는 것이 현명한 방법이 아닌가 싶다. 대부분의 학교들이 수업을 오전에 마치고 학생들을 보내고 있는데, 예전의 선생님들을 찾아보라는 의미이다. 따라서 학교일정이 서로 다르다면 이 의미 마저도 찾기 어렵기 때문에 많은 학교들이 서로 보조를 맞추면 어떨까라는 생각을 해 봤다. 그래도 제자들이고 교사가 있기에 찾아나서는 학생들인데 피하려 하는 것은 옳은 방향은 아니라고 보기 때문이다. 어렵지만 학생들을 위해 하루 더 희생한다는 마음가짐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창희 서울상도중학교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