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찰 추천이 관건 이라는데

2013.09.16 13:23:00

영재교육기관(영재교육원)에서 학생을 선발하는 방법은 각 시·도 교육청마다 조금씩 다르다. 대학교에서 운영하는 영재교육기관도 방법이 다르기는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최근의 추세는 교사의 관찰 추천제가 대세를 이루고 있다. 조만간 전국의 모든 영재교육기관에서 관찰 추천제가 도입될 것으로 전망된다. 관찰 추천제가 도입되더라도 영재교육기관 자체의 부담은 크지 않다. 가장 크게 부담을 느끼는 곳은 일선학교이다. 1,2차 선발 과정이 일선학교에서 진행되기 때문에 어떤 학생을 어떤 기준으로 추천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난감한 문제에 봉착하게 된다.

관찰 추천제는 말 그대로 학생을 관찰해서 영재성이 있는지 없는지 판단하여 선발하는 제도이다. 이 과정에서 1,2차 과정은 담임의 추천을 받느냐가 관건이다. 물론 담임교사의 추천 만으로 해당학생이 3,4차과정으로 직접 추천 되는 것은 아니며 학교마다 관찰 추천을 위한 위원회에서 정밀 검토하여 추천 여 부를 결정하게 된다. 이렇게 추천된 학생들을 영재교육기관에서 직접 다양한 방법을 통해 선발하게 된다. 면접이나 영재성 검사등을 하기도 한다.

그런데 1,2차 추천 과정에 문제가 있다. 문제가 있다기 보다는 학부모들이 관찰 추천 결과에 이의를 제기하기 때문이다. 특히 초등학교의 경우는 더욱더 이의 제기가 많다. 즉 영재교육기관에 들어가기 위해 학교마다 다르긴 하지만 서울의 초등학교는 50-100명 정도가 지원을 한다고 한다. 이 학생들이 모두 영재교육기관의 3,4 선발과정에 응시할 수 없기 때문에 1,2단계 관찰 추천이 매우 중요한 것이다.

관찰 추천을 위해서는 해당학생의 창의력, 탐구력, 잠재력, 문제해결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하는데, 담임교사가 이 과정을 떠 안기에는 상당한 부담을 느낄 수 밖에 없다. 학부모들이 생각하는 학생의 수준과 교사가 생각하는 수준에서 현저한 차이가 발생하면 학부모들이 쉽게 받아들이지 않기 때문이다. 학부모들은 평소의 수업태도나 수업시간에 학생의 활동 등을 감안하지 않고 문제풀이 등에서 두각을 나타내면 영재성이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관찰 추천제의 기본 취지는 여러차례(보통 3-4차례)선발과정을 통해 좀 더 정확한 평가를 하자는 것이다. 1,2차 과정은 교사들에게 전권을 주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일단 1,2차 관찰 추천에서 추천을 받아아 다음 선발과정 대상자에 들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담임교사 입장에서는 상당히 곤혹스러울 수 밖에 없다. 지원한 학생 모두를 추천할 수 없기 때문이다. 1,2차 선발과정에서 관찰 추천으로 추천할 수 있는 학생들의 제한이 있기 때문이다. 물론 교사에게 정확한 관찰 추천을 요구하고 있지만 교사가 놓치는 학생들이 있을 수도 있는 것이다.

더구나 우리나라 처럼 학부모들의 교육열이 높은 상황에서는 쉽게 추천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많은 학부모들이 상급학교 진학을 위해서는 영재교육이 대세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추천 결과에 대해 학부모들이 이의를 제기할 경우 담임교사가 아무리 설명을 하고 이해를 시키려 해도 쉽게 납득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긴다. 학부모들은 자녀가 1,2차 선발과정에서 추천을 받았더라면 영재교육대상자로 선발되었을 수도 있다는 생각을 가지기 때문이다. 실제로 그럴 가능성이 전혀 없는 것도 아니다. 영재성이 있는 학생들은 일반학생들과 다를 수도 있는데 이를 담임교사가 놓쳐 되어 추천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관찰 추천제가 영재 선발과정에서 옳은 방법이긴 하지만 학부모나 학생들이 충분히 납득할 수 있는 분위기 조성이 필요하다. 결국은 지원한 모든 학생들에 대해 영재교육기관에서 좀더 표준화된 방법으로 학생들을 선발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시간과 인력문제가 있겠지만 모든 학생들에게 공평하게 기회를 부여한다는 측면에서 볼때는 좋은 방법이라고 본다. 한 학생이라도 잠재력을 갖추었음에도 탈락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 또한 학부모들이 자녀에 대해 정확히 알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도 응시학생 모두를 영재교육기관에서 선발하는 것이 옳다고 본다.

관찰 추천제가 좋은 제도임에는 틀림이 없지만 담임교사들이 일부 학생들을 탈락시킬 수 밖에 없는 현재의 구조는 개선이 필요하다. 아직은 관찰 추천제가 제대로 정착 되지 않았다고 보기 때문이다. 추천받지 못한 학생과 학부모에게 충분히 설명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관찰 추천제의 기본적인 기준이 있어야 한다. 단지 학생들이 능력을 보인다고 모두 추천할 수 없기 때문에 기본적인 기준 마련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현재의 관찰 추천제는 기준이 모호하기 때문에 기준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 학부모들이 쉽게 인정할 수 있도록 기본에 충실한 개선안이 나와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창희 서울상도중학교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