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웃는 기와' 만나는 국립경주박물관

2015.02.06 14:08:00

온고지신(溫故知新)이라고 옛 것을 알아야 새 것도 안다. 그런 면에서 박물관은 옛 사람들의 슬기가 살아 숨 쉬는 고고학적 자료, 미술품, 역사적 유물 등을 통해 시간과 공간을 뛰어넘는 무한한 상상력을 키워준다. 추운 겨울철에도 박물관은 살아있다. 1월 30일, 여행길에 국립경주박물관에 들러 신라의 문화를 만끽했다.


국립경주박물관은 신라 천년의 고도였던 경주를 밀도 있게 압축한 박물관으로 주변의 뜰에는 또 하나의 박물관을 보는 듯 고선사터 석탑을 비롯하여 여러 유적지에서 옮겨온 석조유물들이 전시되어 있다. 무료관람권을 발급받아 입장하면 뜰에서 송복사 쌍거북 비석받침, 석탑 몸돌에 새겨진 신장(또는 명왕), 석탑 몸돌에 새겨진 부처, 불법의 수호자 십이지신, 사자공작문석 등을 만난다.


뜰에서 눈에 띄는 건물이 성덕대왕신종(국보 제29호)을 모신 종각이다. 성덕대왕신종은 신라 제35대의 경덕왕이 아버지 성덕대왕을 위해 만들기 시작한 것이 아들인 혜공왕에 의해 771년에 완성되었다. 이 종을 만드는 과정이 얼마나 험난했으면 종을 만들 때 아이를 넣었다거나 종이 울릴 때 아이가 어미를 부르듯 처량한 소리가 났다는 이유로 예전에는 에밀레종으로 불렸다. 보존을 위해 지금은 타종하지 않지만 우리나라의 종 가운데에서 가장 뛰어난 걸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국립경주박물관의 대표적인 건물은 외부에 기둥들을 일정하게 세운 누각 형태의 본관으로 1975년에 개관한 신라역사관, 안압지 출토품을 전시하기 위해 1982년에 개관한 월지관, 전시와 더불어 연구 관리 공간으로 이용하기 위해 2002년에 개관한 신라미술관이다.


안압지는 조선시대, 월지는 신라시대에 부르던 명칭이다. 월지관은 경주 안압지에서 발견된 문화재를 주제별로 전시하였다. 궁궐 안에 완공된 안압지의 모형과 당시 생활에서 사용하던 문화재들이 통일신라의 문화는 물론 왕실의 생활문화 전반을 이해하기 쉽도록 구성되어 있다.


월지관을 나와 기원전 57년에서 기원후 935년까지의 천년왕국 신라를 만날 수 있는 신라역사관으로 간다. 2층의 제1전시실에서 구석기시대부터 5세기 말 신라가 고대국가 체제를 완성하기까지와 건국 이후 천년왕국의 기틀을 다져가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사지왕(尒斯智王)이 새겨진 칼과 함께 팔(八), 십(十)과 같은 글자가 새겨진 금관총 출토의 또 다른 큰칼도 구경했다.


제2전시실은 금, 은, 동으로 만든 각종 장신구와 그릇으로 화려하다. 이곳에서는 신라가 황금의 나라였으며 지배자들에게 황금은 곧 권력의 상징이었음을 보여준다. 천마총에서 출토된 금관과 금제허리띠, 큰 새의 날개 모양을 하고 있는 조익형관식 등이 전시되고 있다.


제3전시실은 신라의 영역확장과 중앙집권화의 과정, 제4전시실은 한반도 최초의 통일국가에서 멸망하기까지의 과정을 전시하고 있다. 주요소장품으로 찰주본기, 명활산성작비, 남산신성비, 이차돈순교비, 사천왕상전, 금강역사상머리 등이 있다.

제3전시실에서 만난 얼굴무늬수막새가 오랫동안 발걸음이 떨어지지 않게 한다. 일본인이 보관하다가 1972년 국립경주박물관에 기증한 이 막새기와에 신라 천년의 미소가 담겨있는데 크기가 11.5cm에 불과해 그냥 지나치기 쉽다. 얼굴무늬수막새를 바라보고 있노라면 초등학교 교과서에 나오는 이봉직 시인의 ‘웃는 기와’를 떠올리며 자신도 모르게 한번 웃어주면 천년을 가는 기와 흉내를 낸다.

〈옛 신라 사람들은/ 웃는 기와로 집을 짓고/ 웃는 집에서 살았나 봅니다.// 기와 하나가 처마 밑으로 떨어져/ 얼굴 한 쪽이/ 금 가고 깨졌지만/ 웃음은 깨지지 않고// 나뭇잎 뒤에 숨은/ 초승달처럼 웃고 있습니다.// 나도 누군가에게/ 한번 웃어주면/ 천 년을 가는/ 그런 웃음을 남기고 싶어/ 웃는 기와 흉내를 내 봅니다.〉


신라역사관을 나와 옥외전시장 옆에 있는 신라미술관으로 간다. 신라미술관은 신라의 찬란한 미술문화와 역사를 공부할 수 공간이다. 로비와 1층의 불교미술실에 석조미륵삼존불상, 사리장엄구, 금동약사불입상 등 불교사의 흐름에 따른 각 시기의 대표적인 불교미술품이 전시되어 있다. 오른쪽으로 통행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박물관의 구조와 관람자의 동선 때문에 1층에서 2층으로 올라가는 계단만은 왼쪽으로 통행해야 한다.


국은기념실은 의사로 사람들을 돌보며 평생 수집한 660여점의 문화재를 박물관에 기증한 국은 이양선 박사(1916~1992)를 기리는 공간으로 대표적인 전시품으로는 기마인물형토기(국보 제275호), 청동옻칠발걸이(보물 제1151호) 등이 있다. 기마인물형토기(말탄무사모양뿔잔)은 갑옷을 입은 인물이 갑옷으로 감싼 말을 타고 있는 모습을 완벽하게 묘사하였다.


황룡사실은 신라의 호국불교사찰이었던 황룡사 터에서 출토된 망새(치미)를 비롯한 기와, 은제합 등 여러 문화재를 전시하고 있다. 높이 182cm의 대형 망새는 상상의 새인 봉황의 날개와 깃을 형상화하였고 연꽃무늬와 얼굴무늬를 따로 만들어 붙였는데 자세히 들여다보면 얼굴무늬의 표정이 재미있다.

'아는 만큼 보인다'는 것을 실감하는 곳이 박물관이다. 한옥의 용마루 끝과 처마 끝을 마무리하는 십장생의 동물형상으로 망새(치미)와 함께 건물을 지키는 역할을 했던 것이 어처구니였는데 이것을 실수로 올리지 않아 불이 난 것을 한탄하며 했던 말이 지금 일이 너무 뜻밖이어서 기가 막힐 때 사용하는 '어처구니 없다'가 되었다는 것도 배운다.
변종만 상당초등학교 퇴직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