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퇴직 교장의 건강 유지 비결

2015.03.23 09:18:00

우리 인간의 꿈 중 하나가 무병 장수 아닐까? 나이가 들어서도 건강하게 인생을 즐기다가 수명이 다하면 조용히 인생을 마치는 것이다. 요즘 인생 100세 시대라고 한다. 인생 100세가 촉복인가 재앙인가? 사람마다 다를 것이다. 모든 면에서 준비가 된 사람에게는 축복이다. 그렇지 않은 사람에게는 장수가 저주가 된다.

얼마 전 교장실에 퇴직한 교직 선배 한 분이 오셨다. 재직 중 광교산 산행도 한 차례한 적이 있어 얼굴이 익다. 학교에 볼 일이 있어 오신 것이다. 잠깐 동안 이야기 하는데 퇴직한 교장으로 보이지 않는다. 현직에서처럼 건강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퇴직 후 4년이 되었다고 하니 60대 후반에 접어 들었다. 하기사 요즘엔 60대 노인이면 노인 축에도 끼지 못한다고 한다.

잠깐 동안의 대화 중 퇴직 후 건강 유지 방법에 대해 물었다. 퇴직은 누구에게나 다가오는 것이다. 현직에서의 궁금증은 퇴직한 선배들의 활동상이다. 어떻게 지내는 것이 퇴직 후의 올바른 삶인지 궁금하기 때문이다. 그들의 삶이 후배들에게는 본보기가 된다. 그러므로 퇴직한 선배들을 보면 이런 질문이 나오는 것이 당연하다.


그 분은 작은 목소리로 네 가지를 이야기 한다. 첫째가 규칙적인 생활이다. 하루 일과가 규칙적인 것이다. 출근할 곳이 없다고 늦잠을 잔다거나 할 일이 없다고 낮잠을 자는 일이 없다는 것. 규칙적인 생활을 한다는 것은 해이한 생활이 아니다. 몸과 마음이 항상 준비되어 있는 것이다.

둘째, 소식(小食)이다. 음식을 적게 먹는 것. 그렇다. 장수의 비결은 소식다동(小食多動)이라고 선배들은 늘 말한다. 적게 먹고 많이 움직이는 것. 과식은 건강을 해친다. 과식은 조로(早老)의 지름길이다. 식탐이 많으면 입은 행복할 지 모르지만 소화기 계통이 고생을 한다.

셋째, 식단 구성이 동물성보다는 식물성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귀띔한다. 그렇다고 채식위주의 식단이 좋은 것은 아니다. 우리 몸은 골고루 영양을 섭취해야 한다. 그러나 동물성 위주로 식사를 하다보면 장수에 지장을 초래하는 것이다. 식물성 위주로 식단을 짜되 균형적인 식사가  필요하다고 본다.

넷째, 배움을 계속 하고 있다. 퇴직한 사람이 무엇이 아쉬워 방송대학에 입학하는가? 배운다는 것은 두뇌를 계속 활용하는 것이다. 두뇌를 쉼 없이 사용하면 치매에 걸리지 않는다. 또 혼자서 배우는 것이 아니라 아내와 함께 입학하여 배움을 즐기고 있다. 부부가 함께 노후에 학업 삼매경에 빠진 것이다.

교직에서 한 평생 바친 분들은 다른 분들과 달라서 공무원 연금의 혜택을 보고 있다. 경제적으로 부유하지 않지만 그런대로 살아갈 수 있다. 경제적 궁핍은 벗어낫기에 퇴직 후 자아실현의 기회가 오는 것이다. 경제가 허락되지 않는다면 그 험한 재취업의 길로 가야 하는 것이다.

퇴직한 선배가 귀가하자 그 학교 교장은 필자에게 말한다. 학교 운영위원으로서 지역위원을 맡고 있는데 사고방식이 건전하고 인격이 있는 분이라고 추켜 세운다. 학교 경영에 대해 잘 알고 있기 때문에 그 분의 조언이 학교에 많은 도움이 된다고 한다. 때론 학부모 위원들을 바른 길로 안내하기도 하니 고마우신 분이다.

퇴직한 선배의 건강 유지 비결, 어찌보면 누구나 다 아는 상식적인 것이다. 새로운 것이 없다. 그러나 인생의 진리는 이처럼 누구나 다 아는 것이다. 다만 실천이 문제다. 아는 것도 중요하지만 실천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퇴직한 선배는 본인이 알고 있는 것을 꾸준히 실천하고 있는 것이다. 이 같은 건강 유지 방법은 현직 때도 필요함은 물론이다.
이영관 교육칼럼니스트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