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난(蘭) 가꾸기 변천사

2015.07.13 09:46:00

지금 우리집 거실, 난(蘭) 향내가 은은히 풍긴다. 난 화분 30여개 중 하나가 꽃을 피웠다. 얼마 전 꽃대가 올라오더니 옅은 보랏빛 줄무늬 꽃이 여섯 개가 동시에 핀 것이다. 난 가꾸는 사람은 많아도 꽃을 보기는 힘들다. 그만치 난 가꾸기가 어려운 것이다. 대부분 얼마 안가 난을 죽이고 빈 화분을 내 놓는 사람들이 많다.

교육자로서 난 가꾸기 경험은 1990년대 중반인 00중학교 교무부장 시절. 3월 전보 축하 난으로 하나 받은 것인데 한 해 겨울을 잘 이기고 나니 꽃으로 보답한다. 그 당시 교감 선생님, “난은 거칠게 키워야 꽃을 피웁니다.” 이게 잘 가꾸었다는 칭찬인지 게으른다는 지적인지 잘 몰랐다. 그러나 경험자는 그 말의 속뜻을 알 것이다.

공직자로서 난 화분을 받을 기회는 몇 차례 된다. 대개 전보나 전직, 승진 등 영전의 기회가 있을 때 친한 분들이 보내 주는 것이다. 그 화분 지금 어떻게 되었을까? 오랜 세월이 흘렀기도 하지만 대부분 고사했을 것이다. 그렇게 정성들여도 몇 년 지나면 죽고 만다.




지금은 난 화분을 주고받는 것이 청렴에 위배가 되어 주지도 않고 받지도 말아야 한다. 자칫 걸리면 불미스러운 일이 생길 수도 있다. 어쩌면 이것이 좋은 것인지도 모른다. 미풍양속 면에서 좋을지는 몰라도 이것이 다 마음의 빚이고 갚아야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동안 선물은 주었으되 받지 못하는 사람은 억울할 수도 있겠다.

10여 년 전 교감 시절, 축하 난은 각 부장들께 나누어 드렸다. 한 두 개의 화분만 남기고 각 교무실에 분배하였다. 여러 개의 난을 다 기를 수도 없고 기를 공간도 마땅치 않은 것이다. 때론 비싼 식물 화분도 있었으나 식견도 부족하고 식물을 기르는 소양도 부족했음이 분명했다. 난 화분은 채 2년을 기르지 못한 것이다.

교장 시절, 축하 난으로 받은 수 십 개. 이 당시 축하 난 대신 축하쌀로 받아 서호노인복지회관에 추석을 맞아 어르신들에게 송편을 선물하였다. 그래서 축하 난 숫자가 줄어든 것이다. 교장실에 화분 받침대를 만들어 가꾸었다. 4년간 재직하는 동안 대부분 죽이고 말았다. 가꿀 줄 모르기 때문이었다.




지금 우리집 거실에서 잘 자라고 있는 난. 최소한 1년은 다 넘었다. 난 가꾸기에 문외한 이었던 필자가 어떻게 가꾸고 있을까? 그 동안의 난 가꾸기 변천사를 살펴본다. 교사 시절이나 전문직 때에는 컵이나 주전자에 물을 담아 난 화분에 물주기가 기본이었다. 그러다 몇 달 아니되어 고사한 난잎을 보는 것이다.

난 가꾸기, 최소한 물주기 3년은 거쳐야 기본이 조금 생긴다는 말이 있다. 물주기만 잘하여도 난 가꾸기에 성공하는 것이다. 초보자는 물주기를 너무 자주 하여 죽이고 게으른 사람은 물주기 간격이 너무 멀어 죽이는 것이다. 물주기 적당한 때를 알아야 하는데 그것은 식물에 대한 애정에서 나온다.

교장, 교감 때에는 분무기로 정성껏 물을 준다. 대부분 실패한다. 이럴 때 누군가의 조언이 생각난다. 물주기는 가끔씩 흠뻑 주라고. 생각해 낸 것이 양동이. 양동이에 물을 담아 난 화분을 흠뻑 담근다. 몇 분 지나고 나서 스스로 만족한다. 난이 오래 살 것 같은 느낌이다. 그러나 이 또한 실패작이다. 난 화분 하나가 병에 걸리면 모든 화분에 그대로 전파되기 때문이다.

요즘 난 가꾸기. 물주기 간격이 10일 이상이다. 난의 위치에 따라 통풍이 다르다. 난의 조건에 따라 화분의 습기가 마르는 정도가 다른 것이다. 물주는 방법은 욕실로 가져가 샤워기로 찬물을 흠뻑 준다. 물주는 시간은 무려 20분 정도다. 그 이후 3∼4시간 화분에서 물 빠지는 것을 기다린다. 그러고 나서 화분은 원위치가 된다.

나의 난(蘭) 가꾸기 변천사를 보니 동원된 도구가 물컵, 분무기, 양동이, 샤워기 순이다. 모두 시행착오를 겪은 결과다. 그러나 난 가꾸기 정답은 식물에 대한 관심과 애정이다. 지금도 어느 사무실에 가면 잎이 빠짝 말라 죽은 고동색의 가엾은 난잎이 보인다. 그러나 정작 그것을 선물 받은 사람은 관심이 없다. 바쁜 세상이라 하지만 그래도 생각의 여유를 갖자. 그리고 주위 사물을 돌아보았으면 한다. 사랑의 눈으로.
이영관 교육칼럼니스트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