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가 이념인가

2015.10.15 10:17:00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두고 논란이 뜨겁다. 검인정을 국정으로 바꾸는 것에 대한 찬반 논란이 팽팽하기 때문이다. 장단점이 있지만 역사교과서가 국정으로 가게 된 것은 아쉬운 부분이 아닐 수 없다. 검인정 체제로도 충분히 제대로된 역사교육이 가능했었기 때문이다. 서로를 인정해주고 잘못된 부분을 제대로 잡아나가겠다는 의지가 전제되었다면 가능했다는 이야기이다. 그러나 그런 조건들이 충족되지 못했기 때문에 역사교과서가 논란에 빠지게 된 것이다.

역사교과서가 논란에 빠지면서 자칫 역사교육도 논란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앞선다. 더구나 역사교육을 이념화 하면서 논란을 부추기고 있어 더욱더 우려스럽다. 역사가 이념은 아닐 것이다. 검인정 체제에서 서로 다른 출판사(저자가 다른)의 역사교과서를 비판하면서 납득하기 어려운 이유로 교과서 자체가 이념 논리에 휩싸였다. 저자가 누군가에 따라 발생한 이념논리가 출판사까지 영향을 받은 것이다.

더 큰 문제는 자신들의 성향과 다른 교과서에 대해 무차별 적으로 공격을 감행하여 해당 교과서가 거의 채택되지 못하도록 했다는 것이다. 모두가 나와 같은 생각을 가져야 한다는 위험한 발상을 했기 때문이다. 서로를 인정하고 역사적 사실을 가지고 대결했어야 할 문제를 특정교과서를 죽일 수 있는 상황까지 갔고, 학교에도 심각한 압력을 넣으면서 해당 교과서의 채택을 무산시켰던 것이다. 해당교과서를 채택했다가 하룻만에 취소한 학교는 오죽했으면 그렇게 했을까라는 생각이 든다.

따지고 보면 교과서 문제는 복잡하지 않았다. 근 현대사를 어떻게 보느냐에 따른 논란이었다. 근 현대사 부분에서 자신의 논리대로 교과서를 써 내려간 것이 문제를 불러 일으킨 것이다. 교과서는 자신의 논리대로 집필하는 것이 아니다. 상당한 근거와 증빙자료가 필요하다. 논설문을 쓰듯이 써 내려가는 것이 아니라는 이야기이다. 역사적 사실을 가장 객관적으로 접근해야 하는 것이 교과서이다.

역사적 사실을 잘못 집필한 것은 수정하면 되는 것이지만 교과서 자체를 두고 이념대결을 펼친다면 수정되기 어렵다. 상대를 흠잡다가 나중에는 자기의 논리에 상대를 포함하기 위해 설득아닌 설득을 하게 된다. 그러나 그 설득은 성공을 거둘 가능성이 거의 없다. 역사적 사실이 엄연히 있기 때문에 설득으로 해결할 문제가 아니기 때문이다. 논리적인 진술보다는 사실을 어떻게 진술하느냐가 더 관건이라고 본다.

역사교육과 교과서 문제가 이념화되면 안되는 이유가 있다. 교과서가 어찌됐던 이 교과서로 배운후 시험을 치러야 하는 것은 학생들의 몫이다. 중 고등학교 학생들은 논리적으로 자신이 판단해서 받아들일 수 있는 능력이 많지 않다. 우선은 시험성적이 필요한 그들에게 어떤 교과서로 공부해도 자신에 맞게 받아들일 시간적, 정신적 여유는 없다. 따라서 여러가지 논리중에서 객관적이고 타당성이 높은 역사적 사실을 학습해야 한다. 역사교과서를 집필하는 집필자가 학습하는 것이 아니고 학생들이 학습하는 것이기에 역사교과서의 국정화는 현 시점에서는 필요하다고 본다. 일관성있는 역사교육이 필요하다는 이야기이다.

정권이 바뀌면 또 역사교과서가 바뀔 것이라며 국정화를 절대반대 하기도 한다. 물론 그럴 수 있다. 그러나 다시 바뀌더라도 한층 더 성숙된 상황이 된다면 제대로 된 역사교육이 가능하다. 이념 대결 없이 학문적인 바탕으로 대결을 해야 한다. 역사에 왜 이념이 필요한가. 혹시라도 이념적인 대결을 역사교육으로 확대시키려 한다면 학생들이 가장 큰 피해자가 될 수 있다. 국정화를 해봐서 문제가 별로 없다면 국정화를 지속하면 될 것이고, 문제가 발생한다면 다시 또 검토가 될 수 있다. 현재의 검인정체제가 문제가 있기에 국정화를 추진하고 있는 것이다.

다시한번 강조하지만 국정화, 검인정화가 문제가 아니라 어떤 사실에 입각하여 어떻게 교과서를 만드냐가 더 중요하다. 더구나 이념대결로 역사교육이 간다는 것은 기본을 잃고 대립하는 구도만 만들 뿐이다. 어떤 길이 바른 교육을 할 수 있는 길인지 깊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무조건 이념대결로 몰아가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은 길임을 명심해야 한다.

교육에 이념대결은 용납되지 않는 대결일 뿐이기 때문이다.
이창희 서울상도중학교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