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스로 미래를 열어가도록 하는 교육이 필요하다

2010.11.01 09:00:00

쉴 새 없이 새로운 변화가 나타날 미래 사회를 우리 다음 세대가 주도해나가기 위해서는 스스로 찾고 스스로 배우는 능력, 즉 자기주도학습 능력이 필수다. 이러한 자기주도학습 능력은 자율에 맡기는 것으로 길러지는 것이 아니라 주변과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필요로 하는 것이므로, 학교와 학부모가 합심해 학생들을 이끌어 주어야 한다. | 김학일 경기 남양주 와부고 교장

미래사회의 변화, 자기주도 학습을 필요로 한다
우리는 최근까지도 미래는 단순히 ‘주어지는 것’으로 여겨왔다. 그러나 어느새 미래를 대비하는 것이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어버린 시대에 살고 있다. 21세기 접어들면서 선진 각국은 앞다투어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을 줄이고 미래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전략들을 준비하고 있다.

정보화 사회는 ‘창의력’이 강조되는 창의화 시대로 정보를 남보다 먼저 인지해 활용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더 나아가 정보를 스스로 창출해 활용하는 능력을 필요로 한다. 독창성 있는 지식을 통한 창의력 신장을 위해 세계 각국은 다양한 방법으로 교육개혁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글로벌 경제체제는 개인의 상상이 사회적 창의에 의해 언제든 현실화되고, 사회적 상상력이 개인의 창의를 촉발하는 선순환 구조를 요구하고 있다. 그래서 창의와 상상이 넘치는 학교교육이 절실히 요청된다. 학생들의 능력과 적성 및 소질과 잠재력을 발굴하기 위한 노력이 요청되는 것이다.

지금까지 학교에서는 자기주도 학습이라고 하면 ‘강제로 교실에 잡아 두는 것’으로 인식해 온 것이 사실이다. 그래서 자기주도 학습 습관을 정착시켜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고 학습 정체성을 확립한다고 하면 부정적인 인식이 많았다. 이러한 논리에서 학생들의 건강을 생각해 학원의 영업시간을 10시 이전까지로 제한하고, 0교시 수업은 금지해야 하며, 강제 자율학습이 지양되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그렇지만 현재까지 많은 교육전문가들의 연구에 의해 밝혀진 분명한 사실은 바로 자기주도 학습 시간의 양과 학업성취도가 정비례한다는 것이다. 핀란드의 교육이 우리보다 우수한 이유 중 하나도 기초학력 부진 학생에 대한 나머지 공부제도라 할 수 있다.

그리고 21세기 글로벌 시대에는 ‘학습하는 방법에 대한 학습’과 ‘스스로 문제를 탐색하고 해결하는 자기주도 학습’이 강조되고 있다. 즉, 창의성과 문제해결능력 등을 함양하는 것이 교육의 주 관심사가 되고 있는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 초 · 중등학교의 교육과정 역시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창의성을 함양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자기주도 학습은 교육과정에 다양한 모습으로 반영되고 있다.

그런데 일류 대기업에 다니는 사원 중 60% 이상이 여전히 학원 강좌에 의존하고 있으며, 서울대 법대생의 80%가 학원 강좌를 들으며 고시를 대비한다는 것은 매우 충격적인 사실이다. 미래사회를 생각할 때 교육의 힘으로 전 세계가 놀랄만한 경제적 성과를 거두어 온 우리나라로서는 매우 우려할 만한 상황인 것이다.

이에 학교에서 학생들에게 자기주도 학습이 중요한 까닭과 자기주도 학습에 익숙한 학생이 보이는 태도, 자기주도 학습의 실천사례를 통해 단위학교에서 효율적으로 자기주도 학습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강구해 보고자 한다.

자기주도 학습, 왜 필요한가
자기주도 학습이 필요한 첫번째 이유는 자기주도 학습 태도를 가진 학생이 학습자로서 자신에 대한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요인 간의 조직화와 통합을 이끌어 내는 내적인 경향성을 보인다는 점이다. 그렇기 때문에 학습 의지와 신념을 가지고 자신의 환경을 스스로 선택, 통제하고 더 나아가 자신에게 맞는 학습 환경을 창조할 수 있는 자율적이고 능동적인 존재가 된다. 그래서 타 학생에 비해 학업성취도가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자세한 내용은 월간 새교육에 있습니다]
김학일 경기 남양주 와부고 교장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