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세계나 상급학교에 대해 충분하게 이해하고 탐색할 여유를 갖지 못한 채 학생들의 일생을 좌우할 취업준비나 대학 진학 등 진로 결정이 이루어짐으로써 발생하는 폐해는 비단 교육적 측면에만 그치지 않는다. 당장의 비정상적인 사교육비 부담을 차치하고라도, 인생의 다양한 진로에 대한 꿈과 희망을 제대로 그릴 수 있는 기회를 갖지 못함으로써 발생하는 개인적, 사회적 비용까지 고려 대상에 넣어야 하기 때문이다.
교육과정 재구조화 실마리를 찾다
입시위주의 교육체질을 개선하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여러 가지 폐해를 극복하기 위해 정부는 맞춤형 진로설계 구축, 자유학기제 도입을 통한 공교육 정상화 등 여러 정책을 국정과제로 추진하고 있다. 특히 정부는 자유학기제를 통해 ‘지식을 주입’하는 데 급급한 ‘시험 위주의 강의식 교육’이 아니라 ‘토론·실습·체험 등 다양한 자율적 체험활동’을 강화해 결국은 ‘꿈과 끼’를 찾을 수 있는 교육체질을 형성하는 데 많은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학생 개인의 ‘진로’관점에서 현재의 교육체질을 반추해보고 문제를 찾아 이로부터 교육과정 재구조화의 실마리를 찾아보겠다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자유학기제 도입 정책은 비단 초·중등 12년 과정 중에 한 학기만이라도 진로탐색을 집중하는 데 정책적 목적이 있다기보다는, 자유로운 진로탐색과 스스로의 진로 경로 설정을 도와줄 수 있는 학교교육과정으로써 초·중등 교육의 체질을 형성한다는 데에 그 핵심이 있음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탈산업화 시대 유동적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진로지도 필요
그러나 입시 위주 교육체질을 바꾸고 개인의 ‘꿈과 끼’를 찾을 수 있는 학교교육과정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교육당국과 학교현장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한 아이를 키우기 위해 온 마을이 나서야 한다는 말도 있듯이, 한 아이의 ‘꿈과 끼’가 제대로 발현되기 위해서는 학교와 더불어 우리 사회의 모든 주체가 함께 나서야 한다. 또 광범위한 사회적 논의를 통해 청소년의 진로지도에 대한 근본적인 인식변화와 아울러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
먼저, 단선적이고 획일화된 진로 경로가 팽배한 산업시대 프레임의 청소년 진로지도 방식을 극복해야 한다. 탈산업화 시대의 진로계획은 한 가지 방식의 주어진 경로를 추구하는 정형화된 틀이 아니라 복잡다단하고 유동적인 상황에 따라 각자에게 맞는 고유하고 독특한 전략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직업세계에 입직한 이후 동일한 직장에서 경력을 쌓아가는 데 익숙한 산업사회와는 달리 탈산업사회에는 다양한 직장을 경험하며 전문지식을 축적하는 평생진로교육의 개념이 중시되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따라서 청소년 진로지도에 대한 사회적 논의와 더불어 학교 교육과정 내에 다양한 직업을 체험하고 심화된 전문지식의 축적을 통해 개별 학생 고유의 진로 경로 구성이 가능하도록 학교 진로체계도 새롭게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다양한 직업세계 경험 가능한 인프라 구축 필요
다음으로 좋은 직장을 얻기 위해서 반드시 좋은 대학을 가야 한다는 식의 편향된 진로인식에 대한 사회적 논의도 필요하다.
‘좋은 대학 = 좋은 직장’이라는 진로인식은 급기야 ‘대학을 나오지 않으면 사람 구실을 제대로 하기 어렵다’는 식의 일종의 이데올로기가 되고 있다. 이러한 인식은 불필요한 대학진학 수요를 만들 뿐만 아니라 대학진학이 초·중등교육의 유일한 목표가 됨으로써 교육 현장을 황폐화하고 아이들의 꿈과 끼를 살릴 수 있는 기회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결과로 이어진다.
[자세한 내용은 월간 새교육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