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면접시험 같은 데에서 “존경하는 사람이 누구냐?”하고 물으면 “제 아버지를 존경합니다”라고 대답하는 학생들이 드물기는 하지만 있다. 면접시험에서 성적을 잘 얻기 위해서 일시적 전술로 하는 답이라고 느낄 때도 있지만 그중에는 정말 아버지를 존경한다는 느낌을 확실하게 주는 학생도 있다. 나는 그런 학생의 아버지가 한없이 부러워진다. 도무지 그렇게 될 자신이 나는 없기 때문이다. 아이들을 다 키웠지만 나의 아버지 노릇은 거의 낙제점에 가깝다. 사실은 그런지도 모르고 살아왔다. 그나마 이것을 알게 된 것은 내가 50대 중반에 어떤 단체에서 하는 ‘아버지 학교 프로그램’에 참여해 아버지 역할을 제대로 깨닫게 되면서였다.
자녀들은 아버지인 나의 인간적 약점과 부족한 점을 잘 알고 있다. 아이들이 나의 약점을 잘 알고 있다는 것을 내가 알게 된 것도 ‘아버지 학교 프로그램’ 참여 뒤에 우리 집도 가족대화라는 것을 조금은 자유롭게 하면서부터였다. 나는 아버지 노릇을 제법 잘한 줄 알았는데 알고 보니 낙제를 면하기 어려운 수준인 것이다. 아버지 역할을 제대로 못한 결과들도 심심찮게 나타난다. 나는 이 점이 가장 후회스러웠다. 아버지를 처음부터 다시 해 볼 수는 없을까. 세월을 거슬러서 다시 젊은 아빠로 돌아가고 싶었다. 마음 같아서는 군대를 다시 갔다 오는 것을 감수하고도 아버지 역할을 다시 한 번 잘해 보고 싶었다. 이루어질 수 없는 일이다.
요즘 ‘롤 모델(Role Model)’이라는 말이 유행이다. ‘내가 하고 싶은 역할의 모범을 보여 주는 인물’이라는 뜻이다. 요컨대 자기가 닮고 싶은 인물을 뜻하는 말로 쓰인다. 그런데 자기의 ‘롤 모델’로 부모를 택한다는 것은 요즘 세상에서는 참으로 어렵다. 부모 공경을 ‘효 이데올로기’로 익힌 옛날 세대들은 이런 답변이 자동화되는 경향도 있었다. 그러나 요즘처럼 부모 권위를 보전하기 어려운 세태에서는 부모의 실수나 약점을 가리고 살기도 어렵다. 효나 공경의 가치와 더불어 희생과 헌신의 ‘롤 모델’이 사라져 간 자리를 자본과 기술이 지배하는 성공과 물욕과 엔터테인먼트의 가치가 점령했다. 대부분의 젊은이들은 ‘아버지처럼 살지 않겠다’ 또는 ‘어머니처럼 살지 않겠다’는 말을 공공연히 한다. 무슨 대단한 진보의 가치라도 되는 양 그런 태도를 부추기는 담론도 많다.
단언컨대 ‘부모가 나의 롤 모델이다’라고 말하는 자녀는 참으로 행복한 자녀들이다. 또 그런 자녀를 가진 부모는 더 행복한 부모라고 말할 수 있다. 이는 가정의 가치가 아름답게 빛날 때에 기대할 수 있는 그림이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우리는 그런 가정을 해체당했다.
2 헬라 제국을 건설했던 마케도니아의 왕 알렉산더는 전쟁 중에도 항상 독서를 했다. 그가 이집트를 정복한 뒤 자신의 이름을 따서 알렉산드리아라는 도시를 명명하고, 이 도시에 거대한 도서관을 세워서 책과 지식을 사랑하는 면모를 유감없이 보여 주었다. 어떤 전쟁 영웅에게서도 발견할 수 없었던 일이다. 알렉산더는 책 읽어주는 병사를 정하고 매일 밤 호메로스의 <일리아드(Illiad)>를 읽게 했다. 그리고 잠들 때는 침상 옆에 칼과 함께 <일리아드>를 두었다고 한다. 알렉산더의 롤 모델이 누구인지 아는가? <일리아드>에 나오는 ‘아킬레우스’라고 한다. 알렉산더는 페르시아의 수사 성을 점령하고 전리품으로 화려한 보석함을 얻었을 때, 그는 아름다운 귀금속들로 장식된 그 보석함에 <일리아드>를 넣었다고 한다(플라비우스 요세프스, 유대 고대사).
이 기록을 읽다 보면 적어도 독서에 관한 한, 나도 알렉산더 대왕처럼 해 보고 싶은 생각이 든다. 이를테면 내 독서의 ‘롤 모델(Role Model)’은 알렉산더 대왕이라고 하고 싶은 것이다.
[자세한 내용은 월간 새교육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