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경력 23년째. 9년 전부터 영어교과를 맡아오고 있는데 몇 해 전부터는 도덕수업도 겸하고 있다. 담임을 맡았을 때는 몇 십 명의 아이들과 한 교실에서 일 년을 지냈지만 교과수업으로 각 교실을 돌아다니니 일주일에 몇 백 명의 아이들을 만나게 된다. 많은 학생들과 수업을 하다 보니 쉽게 꺼내지는 못하나 하고 싶은 말들이 마음에 가득하고 신선하고 새롭고 능동적인 수업을 원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수업을 설계할 때 교과과목 단위목표를 위한 상위 목표를 하나 더 염두에 두면 어떨까한다. 공동체사회와 더불어 잘 살 있도록 아이들의 인성을 키우겠다는 목표를 매 수업에서 교사가 확고히 일관된 방향을 잡는다면 수업을 위한 설계가 달라질 것이고 아이들과 교사가 모두 행복한 교육으로 좀 더 쉽게 다가가지 않을까….
그림 한 점에 담겨있는 강렬한 메시지
그림 한 점에 담겨있는 강렬한 메시지 그림이 좋아서 십년 넘게 보러 다니고 있다. 아이들의 바람직한 인성을 목표로 하고 있는 도덕수업을 하며 교사가 일방적으로 자신의 생각을 역설한다거나 지도서대로만 이끌어나가기에는 아쉬움이 있었다. 그리하여 그동안 그림을 보며 느꼈던 감정이나 생각, 문헌 자료 등을 도덕 교과에 적용하여 수업내용을 새로 구성해 보았다. 그림 속에는 신화, 역사, 과학 등 수많은 내용이 담겨있으므로 그림 한 점을 두고 아이들은 너무도 할 말이 많다. 그들이 상상하는 이야기, 창의적인 이야기를 듣고 의견을 나누고 그림이야기를 들려주고 하는 과정 속에서 학생들의 삶과 철학을 엿볼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수업목표에 학생들 스스로 도달하게 된다. 교과서 내용과 지도서 내용을 분석하여 새로 개발한 수업모형은 ‘TEP 모형’으로 초·중·고 어느 학년이나 적용가능하고 다른 교과목과의 연계도 가능하다. 그림이야기로 하는 TEP 모형의 수업단계는 ‘그림을 보고 상상하기(Think) - 그림이야기를 듣고 얘기 나누며 감성적 체험하기(Emotional experience) - 실생활에 적용하고 실행하기(Practice)’이다.
‘정직’을 위한 수업, ‘조르주 드 라투르의 그림 속임수’ 속임수,
인성덕목 중 ‘정직’을 위한 수업에서 ‘조르주 드 라투르의 그림 속임수’를 제시해보자.
# 01 그림을 보고 상상하기(Think) _ 학생들은 그림을 보고 마음껏 상상하는 시간을 갖고 상상한 내용들을 발표한다. ‘귀족과 하인이 카드놀이를 하고 있어요’, ‘저 사람은 귀부인 같아요’, ‘세 사람의 눈이 이상해요’ 등등. 이때 교사가 시간 부족과 수업목표에 벗어난다는 이유 등으로 아이들의 발표를 끊는다면 수업설계의 취지에 맞지 않는다. 학생들의 소소한 이야기일지라도 잘 듣다보면 다양한 발표 속에서 수업목표로 다가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상하여 말하는 ‘그림을 보고 상상하기(Think)’ 단계가 끝난 후 교사는 아이들에 그림이야기를 들려준다. 세 사람이 카드놀이를 하고 있는데 두 사람은 속임수를 쓰고 있고 나머지 한 사람은 모르고 있다는 내용뿐만 아니라 화가 조르주 드 라 투르가 살았던 시대적 배경이나 역사, 화가의 삶을 이야기로 들려주면 단위 수업목표 뿐만 아니라 광범위한 호기심을 충족시킬 수 있고 학생들의 몰입도가 높아진다.
# 02 감성적 체험하기(Emotional experience) _ 교사가 누가 카드게임에서 이기게 되겠는가 하는 질문을 던져 아이들의 생각을 읽어본다. 어떤 아이는 속임수를 쓰니까 그건 유리한 거고 결국 이기게 되어있다고 발표한다. 어떤 아이는 두 사람이 속이고 있으니 결국 서로 속이는 결과가 되어 나머지 정직한 사람이 이기게 된다고 발표한다. 그렇다면 세 사람 앞에 놓인 돈을 관찰해보라고 질문한다. 돈이 많이 있는 쪽이 이기는 것인가? 이겼기 때문에 돈이 많은 것인가? 아니면 많은 저 돈을 모두 잃게 될 것인가? 이런 질문들을 통해 아이들은 정직뿐만 아니라 도박의 위험성에 관해서도 의견을 나눈다. 교사가 다시 질문한다. 속이는 사람의 기분은 어떤가? 아이들은 대답한다. 남을 속이니까 이길 수 있어서 좋을 것 같아요. 그렇다면 속임수를 당하고 있는 사람은 어떤가? 불쌍해 보여요 등, 다양한 발표 속에 아이들은 속이는 사람의 입장이 되어보고 속임을 당하는 사람의 입장이 되어본다. 다음으로 아이들에게 정지모션 게임을 시켜본다. 각자 역할을 맡아 그림 속의 주인공이 되어 그림과 같은 동작을 취한 후 정지 장면을 연출해 보고 나머지 아이들은 앞에 나와 연극동작 정지화면을 행하고 있는 아이를 본다. 교사도 학생도 모두 침묵으로 다만 장면을 보기만 할 뿐이다. 몇 분간의 침묵이 흐르면 아이들은 마음으로 뭔가 생각하고 있다. 이때 반드시 남을 속이려 눈을 흘기고 있는 역할을 맡은 아이는 힘들다고 눈이 빠질 듯 아프다고 한다. 그러면 아이들은 가만히 있는 정직한 사람 역할이 편하고 좋겠다고 한다.
# 03 실생활에 실행하기 (Practice) _ 여기서 교사는 남을 속이는 것은 나에게도 힘든 일이고 남에게도 피해가 되는 일이라는 사실을 가볍게 언급해준다. 서로의 마음을 읽을 줄 아는 마음과 정직하게 편한 마음으로 사는 게 좋겠다고 서로 이야기하며 수업은 끝난다. 알베르토 자코메티의 ‘걷는 사람’ ‘내면의 아름다움’에 관한 수업, ‘자코메티의 조각’ 인성덕목 중 내면의 아름다움에 관한 수업에 적용한 사례다.
# 01 그림을 보고 상상하기(Think) _ 자코메티의 조각을 통해 아이들은 마음껏 상상하게 된다. ‘좀비 같아요’, ‘전쟁터 나갔다 돌아온 사람 같아요’, ‘아프리카 난민 같아요 등등의 발표를 하게 된다.
# 02 감성적 체험하기(Emotional experience) _ 교사는 자코메티의 조각을 화면에 켜놓은 채로 칠판에 인체모형을 가져다 둔다. 학생들은 나와서 모자를 씌우기도 하고 옷을 입히기도 한다. 이때 반드시 나온 아이들은 자기가 꾸민 것들을 깨끗하게 치우고 간다. 다음 아이가 나와서 또 다르게 꾸며보고 정리한다. 아이들이 나와서 뼈 밖에 없는 인체모형을 꾸미는 과정이 거듭될수록 깔깔거리고 웃던 아이들이 엄숙해지기 시작한다. 아이들은 갑자기 ‘선생님 뭔가 똑같아요’, ‘꾸미기를 계속해보니 뼈다귀만 계속 남네요’라고 외친다. 사람은 다 똑같은 건가 봐요….
# 03 실생활에 실행하기 (Practice) _ 아이들에게 질문을 한다. 만약 아프리카가 지금 선진국이라면 사람들은 어떤 모습으로 성형수술을 할까? 사람의 눈은 어쩌면 정신에 의해 지배되고 있는 건 아닐까? 밖으로 보이는 모습으로 친구를 너무나 쉽게 평가해버리는 일이 있는 건 아닐까? 라는 질문들을 통해서 상대방의 내면의 아름다움을 볼 수 있는 마음의 자세를 지니는 수업이 진행된다. 올해는 6학년 아이들의 영어수업을 맡아 새로이 그림이야기를 영어에도 적용하고 있다. 흔히 영어게임 학습이 초등학교에서는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게임에서 지나친 경쟁으로 간과되기 쉬운 인성교육을 할 수 있는 과정을 담기 위함이다. 인성교육은 평가를 위한 교육이 아니라 아이들과 사랑하고 공감하는 과정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만들어져 나가는 느리고 따뜻한 걸음이 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