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코 변하지 않는 핀란드의 교육원칙은 ‘평등과 협동’이다. 핀란드 교육현장에서 ‘경쟁’은 찾아볼 수 없다. “경쟁은 일을 더 빨리 하기 위해서 도움이 될 수 있고, 적당한 경쟁은 나쁘지 않다. 하지만 학교의 근본은 경쟁이 될 수 없다. 다른 중요한 것들을 압박하고 발견하지 못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학교는 경기장이 아니다.” 핀란드 야꼬 이딸라 교육부 장관의 경고는 친구마저도 경쟁상대로 바라보게 하는 우리나라 교육현장이 새겨들어야 말이 아닐까.
아이들의 출발선은 모두 다르다
“등수라니요? 어떤 아이는 달리기를 잘하고, 이 친구는 수학을 잘하고, 다른 친구는 음악적인 소질이 뛰어난데 아이들의 순서를 어떻게 정한다는 얘기입니까?” 오늘날 핀란드 교육의 토대를 만든 에르끼 아호(Erkki Aho) 핀란드 전 국가교육청장이 한국의 경쟁교육에 대해 설명 들은 후 한 말이다.
같은 나이의 학생이라 하더라도 제각기 다른 재능, 학습 속도, 지적성장 속도는 물론 가정환경과 부모의 능력까지도 모두 다르다. 때문에 ‘본인에게 적절한 교육을 받는 것’이 중요하며, 교육제도는 각자가 가진 ‘차이’를 만회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도와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것이 바로 핀란드 교육의 핵심인 ‘평등교육’이다. ‘모두가 똑같은 교육을 받는 것’이 아니라 ‘개인적인 차이로 인해 불리한 취급을 받지 않는 교육’이 핀란드식 평등교육인 셈이다.
세계에서 가장 적게 공부하지만 가장 똑똑한 아이들
핀란드의 교육과제는 공부 못하는 학생에게 초점이 맞춰져 있다. 부진한 학생을 위한 각별한 노력은 기본이다. 공부를 잘하는 아이들은 그냥 둬도 잘하니까, 학습 능력이 떨어지는 학생을 도와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교육이 ‘나를 따르라. 그러면 성공할 것이다’는 식의 ‘교사가 이끄는 교육’이라면 핀란드는 ‘스스로 해라. 그러면 너에게 맞는 것을 맞춰주겠다’는 식의 ‘학생을 돕는 교육’이다. 교재는 쉽고 즐겁게 배울 수 있도록 치밀하게 개발되어 있고, 교사는 배움을 격려하고 학생 개개인의 진도에 맞춰 언제든지 도와줄 태세를 갖추고 있다.
“수업시간에 가르치는 것이 교사의 주요 업무이지만 핀란드에서는 말을 많이 하거나 계속 가르치기만 하는 교사가 좋은 교사가 아니라 학생들을 많이 지원하고 안내해주는 교사가 좋은 교사라고 생각합니다.” 투이야플링크 땀삐레 고등학교 교장의 말처럼 교사는 가르치는 사람이 아니라 돕는 사람이라는 생각은 교실현장에서 ‘피그말리온 효과’로 나타나 세계에서 가장 적게 공부하고도 가장 똑똑한 아이들을 만드는 힘이 되어주는 것은 아닐까. PISA 평가에서 우리나라와 1, 2위를 다투지만, 핀란드의 아이들은 ‘공부에 대한 만족감’ 역시 1위인데 비해 우리나라는 꼴찌를 나타낸다. 결국 세계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가장 하기 싫은 공부를 하며 12년을 보낸다. 이러한 비효율성으로 인해 어려서부터 그렇게 시간을 투자하고, 비용을 투자했음에도 불구하고 대학 교수들은 ‘학력 저하’를 이야기하고, 회사에서는 ‘일을 못한다’는 푸념을 하는 것은 아닐까.
처음부터 ‘공정한 경쟁’은 존재하지 않는다
핀란드 교육에서 가장 놀랍고 부러웠던 사실은 ‘순위 경쟁’이 없다는 것이었다. 학생 개개인이 자신에게 적합한 교육을 받고 있기에 교육 내용이 모두 다르고, 교육내용이 다르기 때문에 ‘공정한 경쟁’은 가능하지 않으며, 따라서 순위를 결정한다는 것은 ‘의미’가 없다고 보는 것이다. 그래서 핀란드의 성적표에는 ‘등수’가 없다. 아예 초·중·고에서 학생들의 점수를 다른 사람에게 공개하거나 등수를 매기지 못하도록 법으로 엄격하게 금지하였다.
물론 시험은 존재한다. 그러나 시험을 볼 때 이름대신 고유의 번호를 표기하여 다른 사람의 성적을 알 수 없게 한다. 아이들에게 성적은 ‘불안한 자신의 위치 확인’이 아닌 ‘자신의 지식을 확인하는 기회’가 된다. 만일 자신의 점수가 마음에 들지 않으면 언제든지 다시 시험을 볼 수 있다. 또한 정상적으로 수업을 따라가지 못하는 아이들은 9학년으로 규정되어 있는 기초학교 교육을 연장해 받도록 법원 판결을 받는다. 공부를 못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를 뿐이며, 공부를 못하는 불리한 조건 때문에 사회적으로 차별받지 않을 것이라는 믿음 때문인지 상급 학년으로 올라가지 않고 학년을 반복하는 유급 숫자도 많은 편이다.
서로 다름을 인정하고 차별하지 않는 사회적 풍토와 교육환경, 약자일수록 커지는 사회적 배려와 관심, 한 사람도 포기하지 않겠다는 인간존중 정신…. 이러한 ‘똘레랑스(tole´rance)’ 정신이 교육에 녹아들어 학생들에게는 ‘공부는 나를 위해 하는 것’이라는 인식이 널리 퍼져있고, 교사는 학생을 돕고 정부는 지원하고 부모는 협력한다. 경쟁으로 몰아붙이지 않는 교육시스템이 만들어져 있어 아이들은 ‘내가 살아남으려면 누군가를 이겨야한다’는 스트레스 없이 자유롭게 놀면서, 즐기면서 학습을 한다.
[자세한 내용은 월간 새교육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