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남기의 마음 나누는 교수학습법] 두뇌는 두 마음으로 구성돼 있다

2016.11.14 20:40:50






얼마 전 공익광고협의회가 내보낸 광고다. 왜 공부해야 하는가를 묻는 자녀에게 부모가 "출세하기 위해서란다"라고 답하자 자녀는 다시 왜 공부해야 하는가를 물었다. 부모는 "더 많은 수입을 얻기 위해서"라고 했고, 아이는 똑같은 질문을 다시 했다. 그러자 답답한 부모가 "다 널 위해서"라고 말했고 아이는 또 다시 "그러니까 왜 공부를 해야 하냐고요?" 라고 되물었다.

대부분 나이든 사람들은 과거를 회상하며 젊을 때 좀 더 열심히 공부할 걸 하고 후회한다. 그래서 자녀와 후학들에게 열심히 공부하라고 충고한다. 아마 부모는 자녀가 자신과 같은 실수를 되풀이하지 않기를 바라는 절박감에서 강권했을 것이다. 

그럼에도 아이가 계속 되물었던 이유는 무엇일까? 반항심으로 그리 답한 것은 아닐 것이다. 아이의 질문은 자기가 정말 열심히 공부해야 하는 충분한 이유를 알려주고 열심히 할 수 있도록 이끌어 달라는 절규로 해석할 수도 있다.

이 공익광고는 원래 의도한 바가 무엇이었든지 간에 아이에게 자기 개인을 위해 공부해야 한다는 이야기로는 동기를 유발시킬 수 없음을 동시에 보여준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공부하고 싶은 마음이 들어 공부를 열심히 하게될까?

인간은 이성적인 측면과 감성적(본능적) 측면을 갖고 있다. 즉, 우리의 두뇌는 두 마음으로 구성돼 있다. 감성적 측면은 본능 시스템으로 고통과 즐거움을 느끼는 부분이고, 이성적 측면은 의식 시스템으로 심사숙고하고 분석하며 미래를 들여다보는 부분이다. 이 양자는 긴장관계에 있다. 

버지니아대학의 심리학자 헤이트(Hadit)는 자신의 저서 '행복 가설'에서 우리의 감성적 측면이 코끼리라면 우리의 이성적 측면은 거기에 올라탄 기수라고 표현한다. 코끼리 위에 올라탄 기수가 고삐를 쥐고 있기 때문에 리더로 보이지만 실은 진행 방향에 대해 코끼리와 기수가 의견이 불일치할 때면 언제나 코끼리가 이긴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혹시 기수(이성)와 코끼리(감성)를 동시에 움직이게 하는 방법이 있을까? 그 방법 중의 하나가 '정체성 모델 수립'이다. 인간은 보통 손익에 따라 활동하고 움직인다. 그러나 인간을 움직이게 하는 더 큰 원동력은 어떤 활동이 자기를 넘어선 더 큰 무엇 즉, 자기 가정, 자기가 속한 지역, 자기 나라, 나아가 인류의 발전에 도움이 된다는 확신이다.

1960~70년대 대한민국 산업근대화를 이끌었던 사람들이 그렇게 열심히 일했던 이유 중 하나는 개인을 넘어 조국의 미래가 자신에게 달려있다는 소명의식 때문이었다. 자기가 사랑하는 가족, 고향, 그리고 조국의 밝은 미래에의 기여라는 더 큰 목표와 사명의식은 젊은 학생들의 피를 끓게하고 열정을 불태우도록 이끌었다.

이처럼 감정에 호소하는 것도 코끼리에게 동기를 부여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스위치'의 저자 히스(Heath) 형제는 이를 '정체성 모델 수립하기'라고 부른다. 인종적, 윤리적, 지역적 정체성이 그 대표적인 예다. 이와 함께 효도하는 자녀 혹은 훌륭한 부모가 되겠다고 결심하는 것이나 애국적인 시민이 되겠다고 마음먹는 것, 혹은 훌륭한 선생님이 되겠다고 생각하는 것도 정체성 모델에 해당한다.

그래서 내가 교대생들을 대상으로 강의를 할 때는 늘 훌륭한 스승이 되고자 하는 열망의 불꽃이 학생들의 가슴 속에 타오르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 보다 아름다운 세상을 만들기 위해 훌륭한 스승이 되겠다고 다짐한 학생들은 그 눈빛과 수업에 임하는 자세가 크게 바뀐다.

학생들을 변화시키고 싶은가? 그렇다면 정체성에 호소하라. 원하는 변화를 결과의 문제가 아니라 정체성의 문제로 만들어야만 코끼리가 동기를 부여받는다는 것이 히스가 그의 책 '스위치'를 통해 우리에게 전하는 메시지다. 
박남기 광주교대 교수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