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1월 29일 발표된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 변화 국제비교 연구(TIMSS) 2015의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과학 성취도는 여전히 세계 최상위권의 결과를 나타냈다. 하지만 초등학교 4학년 과학 성취도가 2011년에 비해 한 계단 하락한 2위를 기록했으며, 중학교 2학년 과학도 마찬가지로 한 계단 하락한 4위를 기록했다. 위기 상황까지는 아니더라도 일각에서는 이와 같은 성적 하락이 과학교육의 잘못된 방향 설정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냐는 우려를 낳고 있다.
이와 더불어 더욱 우려스러운 것은 과학에 대한 정의적 태도(자신감·흥미·가치 인식)는 2011년과 비교하여 유의미한 변화가 없다는 사실이다. 우리나라는 성취도 면에서 높은 순위를 항상 유지하고 있지만, 정의적 태도는 항상 국제 평균에 비해 낮은 결과를 나타내고 있는 만큼, 정부 교육정책의 실효성이 의심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성적 높아도 흥미 떨어지는 악순환 반복
우선 학교 현장 교사로서 이번 TIMSS 2015 결과의 원인을 분석하면 총 4가지 준거에 근거하여 설명할 수 있다.
첫째, 2009 개정 교육과정을 통해 적용된 ‘집중이수제’는 학교 현장에서 과학 교과를 적기에 가르치는 데 다소 혼란을 초래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은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자율성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개정되었는데, 2013년부터 학교 현장에 적용되었기 때문에 TIMSS 2015의 표집 대상은 모두 이 교육과정의 적용을 받았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집중이수제가 도입되면서 과학 교과를 1년 중 한 학기에 집중 편성하여 가르치거나, 특정 학년에서는 가르치지 않는 사례가 발생하기도 했다. 이 때문에 표집 학교의 교육과정 편성 사정에 따라 낮은 성취도를 보였을 개연성이 크다. 만약 표집 학년이 과학 교과를 적기에 학습하지 못했다면, 성취도 하락의 충분한 원인이 되었을 것이다.
둘째, 정부는 2013년부터 ‘자유학기제’를 시범 운영하였다. 물론 2016년에 전면적으로 시행되기는 하였으나, 단계적으로 매년 시범학교를 확대하였으며, TIMSS 2015 표집 학교 중 자유학기제를 시범 운영한 학교도 상당수 있었을 것으로 파악된다. TIMSS 2015 본 평가가 2014년 12월에 이루어졌기 때문에, 2013년과 2014년 자유학기제를 시범 운영한 학교가 표집이 되었다면, 직접적인 영향이 있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자세한 내용은 월간 새교육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