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꽃검색 vs 모야모 앱

2017.03.01 00:00:00

김민철의 야생화 이야기

필자가 꽃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것은 2003년 봄 무렵이다. 당시 예닐곱 살 먹은 큰딸은 호기심이 많아 아파트 공터에서 흔히 피어나는 꽃을 가리키며 “아빠, 이게 무슨 꽃이야”라고 물었다. 당시 나는 그것이 무슨 꽃인지 알 길이 없었다. 얼버무리며 “나중에 알려주마” 하고 넘어갔지만 딸은 나중에도 계속해서 같은 질문을 했다. 어쩔 수 없이 야생화에 대한 책을 사서 공부하기 시작했다. 나중에 알고 보니 그 꽃은 씀바귀였다. 그렇게 시작한 꽃 공부는 하면 할수록 재미가 붙었다. 주변에서 흔히 봤는데 이름을 몰랐던 꽃들을 하나하나 알아가는 재미가 쏠쏠했다.

하지만 이건 벌써 14년 전 일이다. 지금 내가 다시 꽃 공부를 시작한다면 다른 방식으로 할 가능성이 높다. 스마트폰으로 꽃 이름을 알 수 있는 방법만 두 가지나 있기 때문이다. 다음 꽃검색과 모야모 앱이 그것이다.


인공지능 딥러닝을 활용한 다음 꽃검색

카카오는 지난해 5월 “앱에서 꽃 이름을 알려주는 꽃검색 서비스를 추가했다”고 발표했다. 인공지능(AI) 기술인 ‘딥러닝(Deep Learning)’을 활용해 이용자가 촬영한 꽃의 특징을 자체 꽃 사진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해 꽃 이름을 찾는 방식이라고 했다. 꽃검색은 국내에서 주로 피는 약 400여 가지 꽃을 대상으로 하며, 대상 꽃을 지속적으로 늘려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용 방법은 간단하다. 다음 통합검색창 초기 화면을 보면 우측에 마이크 모양 아이콘이 있다. 이 아이콘을 누르면 음성, 음악, 코드 검색 아이콘과 함께 꽃검색 아이콘이 뜬다. 꽃검색 아이콘을 누르면 ‘꽃의 정면을 크게 촬영해 주세요’라는 메시지가 나온다. 그 자리에서 사진을 찍는 방식과 갖고 있는 사진을 보여주는 방식 둘 다 가능하다. 카카오는 현재 꽃검색 기술의 정확도는 90% 정도라고 밝혔다.

직접 한번 해봤다. 꽃검색을 켠 다음 필자의 스마트폰에 있는 꽃 사진 하나를 클릭했다. 흰색 꽃 모양 테두리가 몇 번 깜박거리는가 싶더니 3~4초 만에 “이 꽃은 ‘자주쓴풀’일 확률이 98%입니다”라는 답이 떴다. 참 신기했다. 자주쓴풀을 알아보면 꽃 공부 하는 사람 중에서 중급 이상일 것이다. 이번엔 투구꽃 사진을 클릭하고 잠시 기다리자 “이 꽃은 ‘투구꽃’일 확률이 99%입니다”라고 했다. “와” 하는 감탄사가 절로 나오며 ‘이 정도면 대단한데’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번엔 좀 어려운 꽃을 테스트해 보기로 했다. 하늘나리 사진을 클릭한 다음 잠시 기다리자 “이 꽃은 ‘하늘말나리’일 확률이 99%입니다”라는 메시지가 떴다. 하늘나리와 하늘말나리는 돌려나는 잎이 있는지 여부를 살펴야 구분 가능하다. 꽃만으로는 정확히 확정할 수 없다. 그런데도 99% 자신감으로 답을 한 것이다.

카카오는 꽃검색 서비스 고도화를 계속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카카오는 “딥러닝은 데이터가 가장 중요한데, 생각보다 꽃 종류가 많다”며 “앞으로 검색 가능한 꽃 종류를 늘려나가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식물은 환경·영양 상태 등에 따라 변이가 심한데다 질문자가 분류 키포인트를 알고 촬영하기 어렵기 때문에 다음 꽃검색이 가능한 영역은 한계가 있을 것 같다.

전문가 집단지성의 결정체 모야모

다음은 모야모 앱. 다음 꽃검색이 자동 인식 방식이라면 모야모는 수동 방식이다. 꽃 사진을 올리면 전문가들이 알려주는 방식이라니 사물 인식 시대에 오히려 역행하는 방식 아닌가. 그러나 그렇게 만만하게 볼 앱이 아니다. 상당히 빠르게 답을 해주고 무엇보다 정확도가 높다.

모야모라는 이름은 ‘뭐야 뭐?’를 변형한 것이다. 2014년말 이 앱이 처음 나왔을 때 필자는 사실 별로 주목하지 않았다. 이미 꽃 이름을 알려준다는 앱이 여러 개 있었고 모야모도 그중 하나려니 생각했다. 다른 앱들을 다운받아 써보고 정확도가 너무 떨어져 실망했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런데 시험 삼아 모야모를 써보니 의외로 답이 빨리 떴다. 몇 초 만에 답이 뜨기도 하고 좀 까다로운 것도 몇 분 내에 답이 올라왔다. ‘이거 괜찮은데’ 하는 생각이 들었다.

사용법은 간단하다. 앱스토어 등에서 앱을 다운받은 다음 간단한 등록을 하고 궁금한 꽃이나 식물 사진을 찍어 올리면 누군가 답을 달아준다. 전문가만이 아니라 일반 사용자들도 아는 식물이면 이름을 달 수 있다. 누군가 틀린 답을 올리는 경우도 많지만, 곧 다른 사람들이 잘못을 바로잡아주고, 낯선 식물도 하나씩 의견을 모아 답을 찾아가는, 전형적인 집단지성 방식이다.

이 앱은 나온 지 2년여 만에 30만 명 가까이 다운받았다. 모야모 박승천 콘텐츠담당이사는 “질문이 많이 올라온다는 것은 앱을 사용하는 사람이 그만큼 많다는 뜻이고, 그것은 답을 달아줄 수 있는 사람도 그만큼 많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이 같은 선순환 구조가 자리를 잡아 하루 평균 2000건의 질문이 올라오지만 1000여 명이 답을 달아서 답하는 속도에 문제가 없다는 얘기였다. 꽃이 아닌 것(예를 들어 고양이)을 올리면 다음 꽃검색은 단호하게 ‘일치하는 꽃이 없다’고 하지만, 모야모에서는 애교 섞인 답을 받을 수 있다.

요즘엔 초등학교 야외 식물 수업에 모야모를 활용하는 경우도 있다. 교사가 “내일은 부모님 스마트폰을 빌려오라”고 해서 모르는 식물이 나오면 모야모에 올려 답을 찾는 방식으로 수업을 진행하는 학교가 늘고 있다는 것이다.

이 앱의 한계도 분명하다. 너무 어려운 꽃을 질문하면 조회 수가 늘어나도 묵묵부답이다. 여뀌나 사초 종류, 산형과 식물일 경우 답을 구하지 못하거나 틀린 답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필자도 그동안 20여건을 올려 보았는데, 그중 2~3개는 답이 없었고, 2개는 계속 분명히 틀린 답이 올라와 포기한 적이 있다.

다음 꽃검색과 모야모를 좀 써보면 어느 것이 자신에게 맞을지 금방 감이 올 것이다. 주변에 흔한 꽃은 다음 꽃검색으로도 충분할 것 같고, 드물거나 복잡한 꽃은 전문가들이 알려주는 모야모가 단연 강세를 보일 것 같다. 두 가지 앱을 기억해두면 아이가 물어보거나 급하게 꽃 이름을 알고 싶을 때 유용할 것이다.

이렇게 편리해진만큼 단점도 분명하다. 아무래도 금방 이름을 알 수 있는 방법이 있다고 생각하니 스스로 찾아보려는 노력을 게을리 할 수밖에 없다. 쉽게 배운 것은 쉽게 잊어버리는 법이다. 그래서 필자는 요즘에 먼저 도감이나 인터넷을 찾아본 다음 검색 앱 도움을 받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김민철 조선일보 기자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