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아름다운 선생님은 ‘영원한 학생’”

2017.03.28 09:42:15

‘최고의 교수법’ 다시 펴낸 박남기 광주교대 교수

7년 전 초고에 본지 연재 ‘마음 나누는 교수학습법’ 등 추가
특정 기법·이론 매몰 금물…학생 이해·수업·소통법 다양하게 제시
“교육본질 위해 쉼 없이 노력하는 열정 자체가 최고의 교수법”


‘교원들의 멘토’ 박남기(57·사진 ) 광주교대 교수가 ‘최고의 교수법’을 들고 다시 돌아왔다. 7년 전 동명 책을 낸 이후 양을 두 배나 늘린, 속편 같은 개정증보판을 펴낸 것이다. 지난해 본지에 연재한 ‘마음 나누는 교수학습법’도 포함됐다.
 
박 교수는 17일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2010년 출간한 책에 새로운 내용이 두 배 가까이 들어갔으니 시리즈의 두 번째 편이나 다름없다”고 밝혔다.
 
책에는 그가 광주교대에 부임한 이후 25년 간 ‘어떻게 해야 잘 가르칠 수 있을까’를 놓고 끊임없이 탐구한 과정과 그 결과물들이 고스란히 담겼다. 교원들이 가르치는 과정에서 놓치기 쉽고 흔히 범하는 실수들을 지적하며 이를 바로잡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론뿐 아니라, 교수법 자체를 고찰하고 재정립하는 ‘메타교수법’도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미래교사가 갖춰야 할 역량도 알려주고 있다.
 
그렇다면 최고의 교수법이란 무엇일까. 박 교수는 “가슴으로 만나 소통하고 나누는 것”이라고 정의했다. 스치는 만남이 아니고 일방적 만남도 아닌, 서로의 세계가 이어져 새로운 세계를 만들어내는 가르침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언제든지 자신의 교수법을 의심하고 점검하며 묻고 보완하는 ‘태도’와 ‘마음가짐’의 균형감이 ‘최고의 교수법’으로 가는 왕도라고 주장한다.
 
그는 “내 수업 역시 완벽하지 않다는 것을 인정하고 있고, 학생들에게도 내 말만 무비판적으로 따르면 ‘박남기의 개가 되는 것’이라고 깨우치게 한다”며 “끊임없이 묻고 또 물어 스스로의 방법을 정립해가는 과정은 철저히 자신의 몫임을 알려주고 있다”고 말했다. 
 
사실 교수법은 교원 양성과정에서 알려주지 않는 부분이다. 때문에 겸손함을 갖고 스스로 깨우쳐가는 과정임은 분명하다. 

박 교수는 “교수가 되는 과정에서도 연구자로 길러질 뿐 ‘교수’가 되는 법을 알려주지 않기에 자신에게 맞는 기법이나 기술 등을 끊임없는 연수와 자기 연찬을 통해 갖춰나가야 한다”며 “어쩌면 가장 아름다운 선생님의 모습은 ‘영원한 학생’인지 모른다”고 설명했다.
 
이를 두고 그는 ‘집짓기’에 비유했다. 망치 하나로 집을 지을 수 없듯 다양한 도구를 갖고, 어떻게 지을지 의사소통을 하며 완성해가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가르침과 배움의 본질을 이해하고 가르치는 기법을 터득하는 것과 더불어 학생에 대한 이해, 세상에 대한 넓고 깊은 기초지식, 과목에 대한 전문성, 학급경영 역량, 교과 교육학적 지식 등이 필요하다"며 "어느 한두 가지 기법과 이론에 치중하는 것은 망치 하나로 집짓는다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지적했다.
 
따라서 어느 한 가지만의 기법, 이론에 치우치는 자만은 “가장 경계해야 할 부분”이라고 강조한다. 

박 교수는 “최근 다양한 기법이 쏟아지고 있는데 그 중 몇몇 기법, 이론에 집중되고 있는 상황”이라면서 “일부 학생에게 통했다고 해서 그것이 모든 학생에게 일치하는 만병통치약인양 주장하고 선전하는 부분은 금물”이라고 당부했다. 
 
이런 이유로 유행처럼 번지고 있는 인기 기법들은 물론, ‘혁신교육’이란 이름 아래 펼쳐지는 여러 정책들을 비판하기도 했다.
 
그는 "교육에 있어 암기와 평가는 매우 중요한 부분임에도 불구하고 ‘주입식 교육’이란 구호 아래 죄악시 되는 현상에 의해 교육본질이 호도되고 있다"면서 "가르치는 사람은 모든 것을 열어둔 채 소통하고 나눠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를 입증하듯 박 교수는 책을 통해 무척이나 다양한 가르침의 지혜를 소개하고 있다. 
 
‘맹모삼천지교의 재해석’, ‘두뇌는 그릇이 아니라 근육이다’ 등 무릎을 탁 치게 하는 통찰력을 발휘하는가 하면, 가르침을 ‘나무심기’나 ‘요리하기’, ‘화톳불에 생나무 넣기’ 등에 비유하고 있다. 이를 위해 동·서양 고전을 휙휙 넘나들고, 소설이나 시는 물론 영화나 드라마 등 풍부한 볼거리, 읽을거리를 자유자재로 씨줄과 날줄로 엮어가며 ‘최고의 교수법’이란 무엇인지 몸소 모범을 보이고 있다.
 
박 교수는 이 같은 현장에서의 경험을 계속 기록하고 엮어 ‘최고의 교수법’ 3편도 낼 계획이다. 그는 “아마 5년 뒤 쯤 나올 것”이라고 귀띔했다.

한병규 기자 bk23@kfta.or.kr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