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쯤 되면 ‘스카우트 인생’이다.
초등 3학년 때부터 고교 졸업까지 스카우트 활동에 열정을 바쳤고, 성인이 된 후에도 10년 가까이 매주 교육봉사에 매진하고 있다. 직업도 스카우트와 유사점을 찾다 육군장교, 그것도 공병 주특기를 보유하게 됐다.
김민기(27·사진) 육군 대위(국방시설본부 전라시설단 소속) 이야기다. 김 대위는 평일 전북 정읍 소재 근무지에서 일하다 주말만 되면 단복으로 갈아입는다. 임관 5년 차에 매년 주 1~3회 봉사하며 약 200회를 해왔다. 스카우트 연맹 관계자가 아니고서야 쉽지 않은 일이다.
24일 근무지 근처에서 만난 김 대위는 "스카우트 단복을 입고 아이들과 함께 하는 시간이 그냥 좋아서 한 일"이라며 "내가 가르친 만큼 아이들의 인성이 좋아지고 안보의식도 없던 아이들이 굳건하게 변하는 모습을 보면 성취감과 행복감이 몰려온다"고 말했다.
서울신강초 시절 스카우트에서 뛰어난 활약을 보이던 그를 눈여겨본 은사가 졸업 뒤에도 후배들을 도울 기회를 부여한 것이 봉사의 시작이었다. 이후 봉사를 하건 활동을 하건 스카우트 단복을 입고 참여하는 그 자체가 행복해 매 주말마다 아이들과 함께 하는 게 습관처럼 몸에 뱄다. 그 은사와는 지금까지 스카우트로 맺어진 끈을 마주잡고 ‘사제동행’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결혼 때는 주례도 부탁해 의미 있는 격려를 받았다.
김 대위는 "당시 봉사인정은 3시간에 불과했지만 후배들, 은사님들과 함께 하는 순간순간이 좋아 훨씬 더 많은 시간 자리를 지켰다"며 "대학 ROTC를 통해 소위로 임관한 뒤 초군반 합숙훈련 기간을 제외하고 나에게 주말은 곧 스카우트 봉사시간이었다"고 떠올렸다.
점차 이기적인 사회가 돼가는 요즘 그는 더욱 사명감을 느끼고 있다. 스카우트 자체가 협동 중심인데다, 스카우트 정신으로 늘 국가와 타인을 위한 봉사를 강조하고 있다. 자연스럽게 인성교육으로 이어지는 이유다. 게다가 한국전쟁에 대해 남침, 북침조차 헷갈리는 아이들이 더러 눈에 띌 경우 안보의식도 심어주고 있다. 이 역시 나라 지키는 일 못지않아 군인으로서 큰 보람을 느낀다.
자신도 스카우트 덕분에 바른 인성, 가치관을 확립하고 자립심을 키워 군인의 길까지 걷게 됐다. 현재 자신을 만들어준 90%는 스카우트 덕이라는 게 그의 설명이다. 김 대위는 "스카우트 시절 올바른 가치관 확립을 도와준 군 출신 대장님들이 스카우트와 군 생활의 연관성을 흥미 있게 전해줘 군인이란 직업에도 매력을 느꼈다"며 "요즘 아이들이 대체로 온실 속에서 지나치게 안전하게 자라는 성향이 짙어 스카우트와 같은 ‘산 교육’은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대위는 자신이 보유한 공병 주특기 역시 스카우트 봉사와 연관성이 많아 천직으로 여기고 있다. 남들보다 먼저 답사 후 야영지를 선정하고 준비한 뒤, 맨 나중 정리까지 하는 역할은 매우 비슷하다.
그는 "공병은 맨 먼저 들어와서 맨 나중에 나가는(First in, Last out) 역할"이라면서 "스카우트 봉사 역시 마찬가지라 익숙하고 잘 맞는다"고 전했다.
소대장으로 근무할 당시에는 스카우트 봉사 때 좋은 효과를 봤던 경험을 그대로 적용해 큰 반응을 이끌어낸 적도 있다. 조만간 지휘관으로 근무하게 되면 이에 더해 한층 개선된 지휘력을 발휘할 기대감에 부풀어 있다.
이처럼 늘 도전하고 만족감 높은 삶을 살아가자 최근에는 자신과 비슷한 길을 걷는 이들이 나오기 시작했다. 그를 잘 따랐던 후배들 중 군인을 희망하고, 주특기마저 같은 공병을 원하고 있다고. 김 대위는 "후배들이 ROTC 후보생에 지원하는가 하면, 한 여자 후배는 여군 장교에 임관해 저와 같은 주특기를 갖고자 공병학교까지 나온 경우도 있다"며 미소지었다.
아이들을 위해 열정을 다하는 그 모습에 가족들도 탄복해 지역대(서울남부연맹 양천직할대) 스카우트 봉사를 함께 하고 있다. 덕분에 주말마다 아버지, 어머니, 남동생과 ‘가족상봉’ 겸 봉사를 하며 화목함을 과시하는 중이다. 그는 "남동생도 ROTC 장교를 마친 뒤 현재 전북대 조교로 근무하고 있는데, 부모님과 형제가 평소 떨어져 지내는 아쉬움을 주말에 만나 달래고 있다"며 "아내도 스카우트 참여를 원해 조만간 중급 지도자 코스를 밟을 예정"이라고 귀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