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은 보고 배웁니다

2017.06.23 10:32:05

어제는 내 생전 처음 순천매산여고 장용순 교장 선생님의 제자를 사랑해 큰 사람을 기르겠다는 열정 덕분에 노벨물리학상을 탄 존 마이클 코스털리츠 박사의 강의를 듣고, 직접 만나는 기회를 가졌다. 특강에서 노벨상을 받기까지는 '운이 있었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운' 도 생각해 보면 다양하다.


세상에서 운이 좋았던  사람도 태어나서 죽을 때가지 운이 좋았다고 말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그렇게 남이 부러워 한 지위와 권력을 누렸어도 삶의 과정에서 언젠가는 지옥을 경험하는 사람도 많음을 우리가 일상에서 보고 있다. 그럼에도 처럼 운이 좋았다고 말 할 수 있다면 인류 문명사에 정신적 유산을 남기고 떠난 위인이 아닐까 생각한다. 그들 가운데 우리가 부러워하는 천재성을 가진 아인슈타인, 모짜르트, 우리가 역사에서 배운 정조 등 많은 사람들을 예로 들 수 있을 것이다.


그럼, 이런 사람들이 가진 천재성은 타고난 것이어서 운으로 볼 수 있는가이다. 뇌가 달라서인가 아니면 그 무엇이 천재로 만들었는가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알려진 바에 의하면 아인슈타인의 뇌는 다른 사람보다 큰 것도 아닌 '사고 실험'의 산물이라는 게 학자들의 결론이다. 한편, 모짜르트의 천재성은 엄청난 '연습'의 산물이었다. 그는 두살 무렵부터 매주 35시간씩 바이올린 연습을 했다는 것이다. 모짜르트는 8세 때 이미 1만 시간을 연습한 셈이다. 이같이 연습벌레가 신동을 만든 것이다.


정조는 '고금도서집성' 5000권을 북경에서 구입해 읽었다는 기록이 있다. 평생 읽은 책이 아마 1만권 이상인 것으로 보인다. 정조의 학문정치가 그냥 나온 것이 아니다. 세자 시절부터 엄청난 정적들의 음모에도 살아남아 왕위에 오를 수 있었던 것도 독서의 결과라 생각한다. 정조는 책을 읽으면서 의견을 덧붙였으며, 글쓰기를 생활화했다. 그래서 통치기간 중 184권 100책이라는 '홍재전서'를 남겼다.


80년대 내가 가르친 한 제자는 나의 책 보는 모습을 보면서 시간을 헛되이 보내지 않으려고 학교에 가는데 걸리는 40분 중 30분 정도를 영어 공부를 하면서 보냈다는 편지를 보내왔다. 그의 꿈은 선생님이 되는 것이었는데 그 꿈은 충분히 이루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이처럼 독서에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독서는 지식이나 교양의 폭을 넓히는 차원을 넘어 '운'을 바꾸는 지름길이다. 독서는 뇌의 커넥톰을 긍정적이고 창조적으로 변화시켜 운명, 즉, 팔자를 고치는 기회가 될 수 있다. 오늘처럼 유명한 노벨상 수상자를 만났다고 모두가 그를  따라 배우고 싶어지는 것은 아니다.  우리 삶을 변화시키려면 뇌를 변화시켜야 한다. 생물학적으로 결정된 타고난 유전자 지도가 아닌 뇌신경 연결지도가 생각과 경험에 의해 바뀌어야 한다. 때문에 어려서는 다양한 경험이 필요하며, 다양한 사람을 만나는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그 변화에 따라 인생도 달라진다. 자신이 목표를 정하고 자기가 잘 할 수 있다고 생각되는 것을 발견해 끝없는 갈고 닦아야 비로소 길이 보인다. 이번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강의를 듣고 가슴에 흥분을 느낄 정도의 학생이 있었다면 분명 그 학생의 뇌는 삶은 달라질 것이다.

김광섭 교육칼럼니스트 ggs1953@hanmail.net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