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이 우여곡절 끝에 5일 공식 취임했다. 임명 강행으로 인한 야당의 반발과 추경 국회 파행도 난제지만 그 앞에는 난마처럼 얽힌 교육 현안 또한 산적해있다.
이런 상황에서 새 정부 교육공약 실현에 나설 그에 대한 현장의 평가가 엇갈린다. 교육감 시절 혁신학교, 무상급식 등을 추진한 만큼 교육 혁신에 속도를 낼 것이라는 기대가 있는 반면, 실험주의와 포퓰리즘으로 교육현장의 혼란을 다시 초래할 수 있다는 비판도 만만치 않다.
그런 점에서 새 정부와 김 부총리는 현장의 우려를 불식시키고 교육의 안정적인 발전을 위해 몇 가지를 꼭 유념해야 한다.
우선 교육현장의 목소리에 항상 귀 기울여야 한다. 우리 교육의 불신은 늘 탁상공론에서 비롯된 측면이 강하다. 아무리 좋은 정책도 여건을 무시하고 교원들의 공감을 얻지 못하면 실패한다는 사실을 여실히 보여준 바 있다. 교총이 교원 2000여 명에게 물어 4일 발표한 ‘새 정부 교육공약에 대한 인식조사’ 결과를 유념해야 할 이유가 여기에 있다.
다음으로 교육의 균형성을 늘 염두에 둬야 한다. 교육이 정치 논리에 좌우되고 학교가 이념투구의 장으로 변질된 지 이미 오래다. 정권과 장관의 교체로 교육이 또 한쪽으로 흐르는 것 아닌가 하는 우려가 그래서 나온다. 편향을 지양하고 소통과 협치를 통한 정책 추진의 완급조절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해가 엇갈리는 주요 교육정책은 국가교육회의에서 합의를 도출해 신중하게 추진해야 한다. 이를 위해 곧 설치될 예정인 국가교육회의에는 여야는 물론 교총을 포함한 다양한 인사들이 고루 참여해 현장성과 전문성은 믈론 균형감을 높여야 한다.
김 부총리는 취임사에서 "교육문제에 있어 진보와 보수라는 이념적 차이, 개인이나 집단의 이해를 넘어선 성숙한 논의와 합의를 만들어 가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고 밝혔다. 답을 안다면 이제 남은 건 진정성 있는 실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