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날, 그리고 그날 이후로도 오랫동안 이 땅의 선생님들은 두 번의 통곡을 했다. 세월호와 함께 차가운 바다 속에 잠기어 간 304명의 귀한 목숨들을 생각하며 울었고, 아이들을 구하다 실신해 구사일생을 구조됐던 단원고 교감선생님의 자살 소식에 또 울어야만 했다.
이 글은 교사로서의 내면의 상처를 고백한 글이었다. 교권보호 시스템의 부재는 교사를 향한 무한책임을 요구하기에 뜻하지 않은 사고나 사건 속에 휘말린 교사들은 보호받기보다는 소송을 당하거나 비난의 대상이 되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하지만 가장 가슴 아프고 고통스러웠던 것은 온전히 내 제자만을 걱정하고 염려하지 못하며 갈등하고 두려워했던 내 모습이었다. 글을 통해 나는 그렇게 약한 존재였고 상처받는 존재였다는 것을 고백하고 싶었다. 그 고백을 통해 마음의 상처가 치유되길 바랐다.
정윤(가명)이의 사고는 3년이 지나서야 마무리가 됐다. 사건이 종결되기까지 학부모와 이해당사자들과의 만남, 행정적 처리 그리고 내면의 갈등을 겪어오며 마음이 참 아팠다. 정윤이의 천진난만한 웃음과 목소리 그리고 동료선생님들의 도움은 그 시간을 버틸 수 있는 힘이었다.
이제는 우리 교육의 장이 울타리 없이 방치되지 않았으면 좋겠다. 상처받는 선생님도, 아이들도 없도록 든든한 보호시스템이 작동됐으면 하는 바람이다. 강민규 교감선생님의 명복을 빌며 소감문을 마무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