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화로 돌아보는 교단 50년] 1976 소녀의 기도

2017.11.23 20:50:20

할아버지의 간암을 걱정한 경아는 학교 화단의 맨드라미를 구하러 학교에 왔는데......

존재산에서 북쪽으로 흐르는 산줄기는 갑자기 뚝 떨어져 내려오다가 중간에서 잠시 멈칫 하는 듯 산등성이를 하나 만들고, 이내 쏟아져 내리는 듯 낮게 흘러서 미륵댕이에 와서는 잔잔한 파도와 같이 기슭으로 퍼지며 산골 들판을 이루었습니다.

이 산골 들판이 시작되는 첫 들머리에는 약 4m 쯤 되는 바위 절벽이 있습니다. 이 절벽의 바위에는 어느 시절에 새겼는지 전해지지 않은 커다란 미륵상이 새겨져 있는 중바위라는 곳이 있어서 이곳을 미륵댕이 라고 불러오고 있습니다.

오밀조밀 산골 다랑치를 일구어 낸 사람들이 모여 사는 새끼미마을을 지나면 조금은 들판 같은 펑퍼짐한 버드내마을에 이릅니다. ‘새끼미는 열 채 남짓한 농가들이 이마를 마주해 모여 살고, 살림살이는 넉넉하지 못해도 정답고 인정이 있어서 한 집안 식구처럼 도와 가는 마음으로 살아가고 있습니다.

경아네는 마을 한 복판에 자리 잡고 있는 마을에서 가장 오래되고 뼈대가 있는 집안이었습니다. 제법 살림이 넉넉하고 다복한 집에서 자라난 경아는 달덩이 같이 둥그스럼하고 복스런 얼굴에 얌전하기가 새색시 같아서 칭찬을 독차지하고 자랐습니다. 공부도 잘하고, 글씨가 어른 뺨치게 예뻐서 부러움을 샀습니다. 마음씨가 고와서 누구라도 도와주곤 하여서 더욱 착한 아이라고 칭찬이 자자합니다.

그러나 열두 살짜리 경아에게는 큰 걱정거리가 있었습니다. 집안일과 농삿일을 도맡아 해오시다 시피 하시던 할아버지께서 지난 가을부터 시름시름 앓기 시작하셨던 것입니다. 아버지는 쉰 살이 채 안되셨지만 몸이 너무 약하시어 힘든 일을 전혀 하지 못하셨고, 일흔이 다 되신 할아버지께서 농삿일을 해 오셨던 것입니다.

할아버지께서 앓아누우시자 집안일은 말이 아니었습니다. 남들은 벼를 다 베어들이고 초가지붕의 이엉도 다 이었건만, 경아네만은 아직도 벼를 다 베어들이지 못한 채 이었습니다.

큰 병원을 찾아가서 진단을 받아 보았지만 노환이신 데다가 간이 너무 나빠져서 낫기가 어렵다는 것이었습니다. 이 말을 들은 경아는 얼마나 울었는지 모릅니다. 찾아오신 많은 분들이 좋다고 하는 약은 무엇이나 구해다 드렸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이웃집 할아버지가 오셔서

간이 나쁜 데는 맨드라미가 약 이래여. 맨드라미를 뿌리 채 캐서 삶아 감주를 만들어 먹으면 낫는다는데 요새 맨드라미가 어디 있어야지....... 더구나 이 겨울에.......”

하고 말씀하시는 것이었습니다.


이 말을 들은 경아는 일요일 인대도 학교로 달려갔습니다. 이미 서리가 내리고 살포시 땅이 얼기 시작하면 일년초 풀꽃들은 모두 베어 치워지지만, 맨드라미는 너무 탐스럽고, 말라도 그대로 볼품이 있기 때문에 학교 화단에는 아직도 20여 포기가 남아 있었습니다. 경아네 학교는 아름다운 꽃들이 일년 내내 피는 아름다운 학교였습니다. 늦은 가을까지 맨드라미의 탐스런 모습이 서리를 맞았어도 그 모양을 가지고 있어서 차마 뽑아 없애지 못하고 놔둔 것입니다.

11월이 가고 12월이 되었으니 찬 서리가 내리고 땅이 얼어붙기 시작하였습니다. 경아는 담임선생님께 허락을 받고서 화단에서 맨드라미의 뿌리를 캐기 시작하였습니다. 호미로 파려 했지만 어림도 없었습니다. 선생님은 삽을 가지고 나오셔서

경아야, 그걸로 어떻게 캐지겠니? 내가 캐어 주지. 우리 경아의 효심이 지극하니 할아버지께서 이 약을 드시고 나으실 거야.”

하시면서 듬뿍듬뿍 흙을 파 엎어 주셨습니다. 경아는 얼어붙은 맨드라미 뿌리를 소중히 싸들고 집으로 돌아왔습니다. 경아가 가져온 맨드라미를 어머니가 정성껏 다려 드렸습니다. 그러나 약이 된다든 맨드라미를 잡수셨어도 할아버지의 병환은 조금도 나아지지 않은 채 봄을 맞이하고 있었습니다.


진달래꽃이 미륵댕이 부근의 산기슭까지 불붙기 시작하더니 하루가 다르게 존재산 마루를 향하여 쫓아 올라가고 있었습니다.

일요일이라 란이, 희아, 은아, 남이 가 경아네로 몰려와 산놀이를 나섰습니다. 반에서도 가장 공부들을 잘하고 모범적이라고 칭찬들을 받고 있는 아이들이 한꺼번에 모인 것입니다.

이곳 아이들은 산놀이라 해도 도시 아이들처럼 원색의 등산복에 모자, 배낭을 둘러멜 필요가 없습니다. 심심하면 산에 올라가 놀이도 하고, 진달래도 꺾고, 실개천에서 가재도 잡고, 산나물을 캐기도 해서 산이 텃밭처럼 익숙한 곳입니다.

산에 들어서면서 길가의 제비꽃을 따기 시작한 란이와 희아는 노래를 부르면서 깔깔거리고, 경아와 은아, 남이는 진달래를 꺾어 머리에 꽂고 하와이의 훌라아가씨처럼 뽐내어 봅니다. 길가에 흩어 뿌린 듯 제비꽃, 양지꽃, 산기슭을 물들인 진달래와 개나리들, 뾰족이 고개 내어민 취나물, 가시 돋친 엉겅퀴 등 보이는 것마다 낯익지 않은 것이 없지마는 오늘은 그저 즐겁고 신나기만 하였습니다.

아이들은 냇가로 내려가서 바위사이에 통통하게 살이 오른 버들강아지를 꺾어 씹어 보기도 하고, 바닥의 돌멩이를 살금살금 들어내고 그 작은 몸둥이로 잘도 숨어드는 가재를 집어 올리고선 소리를 지르기도 합니다.

이러다가 아이들은 미륵댕이에 이릅니다. 미륵불이 새겨진 중바위 아래엔 커다란 바위들이 흩어져 있어서 아이들은 바위 사이에서 숨바꼭질을 시작합니다.

꼭꼭 숨어라, 머리카락 보인다.”

아이들이 이렇게 외치는 술래 란이의 목소리를 들으며 흩어졌습니다.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를 열 번 외치고서 재빨리 찾아 나섰습니다. 경아는 이 마을에 살기 때문에 누구보다 이 곳을 잘 압니다. 경아는 숨다가 미륵상이 새겨진 중바위 밑에 이르렀습니다.

이 중바위는 이 고장 사람들의 소원을 풀어주는 신비한 힘을 가진 곳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어른들은 곧잘 이곳에 와서 자기 소원을 빌기도 하고, 아이를 못 낳는 아부머니들이 이곳에서 빌고 미륵보살의 몸을 먹으면 소원을 이루어 아들을 낳는다고도 전해 옵니다.

경아는 문득

나도 미륵보살님께 빌어 보자.’

하고 생각하였습니다. 우선 땅바닥을 살펴 자리를 잡은 다음 양팔을 옆으로 펴서 귀에 닿도록 똑바로 머리 위까지 치켜든 다음 손을 모아 내려서 땅바닥을 짚고 무릎을 꿇은 다음에 윗몸을 굽혀 절을 하면서 손바닥을 위로 오게 뒤집고 이마가 손바닥에 닿도록 하는 큰절을 다섯 번이나 했습니다. 할머니나 어머니가 절에 가시면 하시던 대로 따라 하는 것입니다. 절을 마치고 다시 무릎을 꿇고 앉아서 몸을 앞으로 숙여 엎드린 다음

미륵보살님! 미륵보살님! 우리 할아버지 병환이 낫게 하여 주십시오. 평생 일만 하시던 할아버지께서 앓고 계시니, 저의 소원은 할아버지의 병환이 낫게 해드리는 것입니다. 미륵보살님! 미륵보살님! 할아버지를 살려 주세요.”

하고 간절히 빌었습니다. 그리고 단단한 돌멩이를 골라 미륵불이 새겨진 바위로 다가가 왼손 바닥을 펴서 바짝 받치고서 오른손으로 돌멩이를 움켜쥐고

, , , , 다닥닥딱......”

미륵상을 두들겼습니다. 경아의 손바닥에 조그만 돌가루들이 떨어졌습니다.

미륵보살님! 저도 보살님의 몸을 먹겠습니다. 저의 소원을 꼭 들어 주십시오!”

하고 손바닥에 모아진 돌가루를 입안에 털어 넣었습니다. 까칠까칠한 돌가루를 입에 넣고 입안의 침을 모아 삼켰습니다. 그리고 다시 손을 모아 절을 하고 간절히 소원을 빌었습니다. 경아의 모습은 너무나도 간절하고 정성스러웠습니다.

빌기를 마친 경아는 언제 그랬느냐는 듯이 아이들과 깔깔거리며 놀다가 점심때가 되어서야 집으로 돌아 왔습니다. 아이들이 돌아가고 나서 경아는 할아버지의 방으로 들어가 할아버지의 안색을 살피고 살며시 할아버지의 손을 잡았습니다.

할아버지, 미륵보살님이 틀림없이 제 소원을 들어 주실 거예요. 할아버지의 병환을 낫게 해 주실 거예요.”

하고 말씀드리고 방을 나왔습니다.

저녁에 잠자리에 든 경아는 두 손을 모으고

미륵보살님! 미륵보살님! 우리 할아버지를 꼭 낫게 해주세요.”

하고, 간절히 빌었습니다.

경아야, 경아야! 어린 너의 갸륵한 소원을 안 들어 줄 수 없구나. 너의 할아버지를 얼마 동안이나마 더 살게 해 줄 것이니 염려 말아라. 착한 경아야!”

인자한 미소를 띠고 미륵보살님이 경아의 머리를 쓰다듬어 주시고서 손을 흔들면서 천천히 사라져 갔습니다.

잠이 든 경아의 예쁜 얼굴에는 기쁜 듯 살풋이 미소가 물결처럼 번져 갑니다.

김선태 한국아동문학회 회장, 국가브랜드위원회 문화멘토 ksuntae@empas.com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