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안학교, 아주 특별한 수료식 참관기

2017.12.28 08:53:07


‘2017 나의 10대 뉴스’에 들어간 대안학교 강사. 오늘 대단원의 막이 내리는 수료식이 있는 날이다. 공식 명칭은 ‘소중한 학교 결과발표회 및 수료식’. ‘오늘은 아무런 사고 없이, 속 썩이지 않고 무사히 행사를 잘 끝마칠 수 있을까?’ 대안학교 강사라면 날마다 하루 한 번씩 이렇게 생각하는 것이다. 왜? 순탄한 날보다 급변하는 날을 많이 겪었기 때문이다.

대안학교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다. 하나는 일반 정규학교 교육과정으로는 학생들의 특기와 적성을 살릴 수 없어 특별한 교육과정으로 운영되는 학교. 또 하나는 정규학교에서 도저히 적응이 어려워 특별한 형태로 운영되는 대안교육 위탁교육기관이다. 내가 강사로 뛴 곳은 바로 후자의 학교다. 일반학교에서는 상식적으로 경험할 수 없는 새로운 일들, 깜작 놀랄만한 일들이 벌어지고 있어 늘 긴장해야 하는 학교다.

오늘 이 학교에 9명의 학생이 수료를 한다. 3학년 6명, 2학년 3명이다. 여학생이 8명이고 남학생은 1명이다. 행사장엔 내빈들을 모셨다. 경기도의회 부의장, 수원시의원, 서둔동장, 지역교육지원청 관계자, 파출소 지구대장, 마을금고 이사장, 마을만들기 르네상스 센터장, 원적교 담당교사, 학부모들도 참석했다. 대안학교 지도교사들도 자리를 함께 했다. 학생들은 어제 예행연습도 마쳤다. 수료생 9명은 준비한 프로그램은 제대로 펼쳤을까?

 대안학교 수료식은 축하공연으로 막이 올랐다. 소중한 학교 이현숙 교장이 인사말씀을 하고 있다. 

교장 선생님과 운영위원회 교사들과 사전 협의가 있었다. 수료식만 갖는 것이 아니라 결과발표회를 겸해서 갖고. 행사진행은 교사 진행보다는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진행을 하고. 그리하여 1부 진행은 학생이, 2부는 교사가 사회를 보았다. 경과보고는 내가 맡기로 하였다. 학생들 공연은 두드림과 우클레레 연주, 피아노 연주로 정하였다. 다함께 부르는 곡으로는 우리 가요 ‘마이 웨이’가 정해졌다. 졸업가 가사는 학생들이 직접 만들었다.

1부 축하 공연으로 식전공개행사가 시작되었다. ‘소리모아 우클앙상블’의 귀에 익은 연주로 수료식 분위기를 띄운 것, 내빈과 학부모들도 함께 손뼉을 치며 흥겨움을 맞추고 흥을 돋운다. 학교장 인사에서는 솔직한 고백이 이어진다. 학교의 하루 시작은 설렘과 기대로 시작하지만 여지없이 실망으로 돌아오는 참담함을 피력한다. 그러면서 이들에게 필요한 것은 관심과 사랑이라고 호소한다.

2부에서는 재학생들의 축하공연. 신명나는 두드림(난타), 우클앙상블, 피아노 연주가 연주가 선을 보였다. 수료생이 소수이기에 중복 출연은 당연하다. 친구에게, 선배들에게 보내는 편지 낭독이 있었다. 부모님과 선생님께 드리는 글은 안타깝게도 생략되고 말았다. 이게 바로 이들의 특성이다. 아마도 강사의 지도부실과 학생들의 준비 미흡이 원인일 것이다.

수료생들이 신명나는 두드림 공연을 하고 있다. 내빈들이 상장을 수여하고 격려를 하고 있다. 

시상과 수료증 전달 시간. 학교에서는 수료생 모두에게 상장을 준비하였다. 이들의 장점을 살려 사기를 앙양해 주려는 교육적 의도가 있었던 것. 내빈들이 나와 격려를 하면서 학생에게 상장을 직접 읽고 전달한다. 각자에게 전달된 상은 인성교육분야에서 친절상, 창의상, 우애상, 협동상, 책임상, 메이크업상, 포토상이다. 교육과정분야에서는 글쓰기상, 예능상 등이다. 수료증을 전달하는 교장 선생님의 표정에는 만감이 교차하는 듯하다.

다함께 노래 부르는 시간에는 윤태규 가수의 ‘마이 웨이’다. 어찌하여 이 가요가 학생들에게 각인되어서 선정되었을까? 멜로디도 익히기 쉽지만 바로 그 가사에 있었다. 바로 자신의 생각을 나타냈기 때문이다. “누구나 한 번 쯤은 넘어질 수 있어. 이제와 주저앉아 있을 수는 없어. 내가 가야 하는 이 길에 지쳐 쓰러지는 날까지 일어나 한 번 더 부딪혀 보는 거야” 이들에게는 다시 일어나려는 용기와 자신감이 필요하다.

흔히들 ‘선생님의 똥은 개도 안 먹는다’고 한다. 교사의 길이 어렵고 힘든 일이라는 것이다. 나는 정규학교에서 39년간 학생들을 가르쳤다. 그런데 이 대안학교에서 7개월간 겪은 일이 가슴이 저리다. 정규학교에서의 고생은 별거 아니다. 이곳 교사들은 마음고생이 무척 심하다. 학생들이 교사를 무시하는 것이 일상이기 때문이다. 교사들은 이들을 다스릴 만한 방법이 없다. 속수무책으로 당하다 보면 교직에 회의감이 든다. 그러나 여기 교사들은 그 많은 어려움을 이겨내었다. 교사들이여, 인내는 쓰지만 그 열매는 달다. 

이영관 교육칼럼니스트 yyg99@hanmail.net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