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종혁명] 진로 바뀌어도 계기 명확하면 OK

2018.02.01 19:30:26

㉒진로희망사항

교과‧교과 외 활동과 연동돼야
해당 학과 세부전공 보면 도움

교사: 오늘은 학교생활기록부(이하 학생부)의 여섯 번째 항목인 진로희망사항에 대해 알아볼게요. 진로희망사항은 학생이 지망하는 진로를 가장 명시적으로 드러내는 항목이기 때문에 학생부 전체의 방향성을 가늠할 수 있는 지침 역할을 해요.
학생: 매우 중요한데 얼른 정해야겠네요.

교사: 학생부종합전형(이하 학종)은 일찍 진로를 결정한 학생에게 유리해요. 일찍 결정할수록 연계된 교과 공부에 더욱 집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과외 활동도 일관성 있게 펼칠 수 있기 때문이죠. 
학생: 그런데 아직 무엇을 하면 좋을지 결정을 못했어요. 

교사: 학생들이 가장 힘들어하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진로설정입니다. 그래서 학교는 진로시간을 활용해 진로탐색기회를 많이 주려고 노력하죠. 커리어넷, 워크넷 등에 접속하면 직업에 대한 정보 뿐만 아니라 직업심리검사, 진로심리검사 등을 무료로 할 수 있어요. 
학생: 그렇군요. 진로희망을 적는 요령이 있나요? 

교사: 특별한 요령은 없어요. 학생의 진로희망을 솔직하게 쓰면 돼요. 학생이 진로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한다면 자연스럽게 구체화되겠죠. 학생은 뭐가 되고 싶어요?
학생: 음. 연구원이 되고 싶어요. 

교사: 좋아요. 그렇다면 어떤 분야의 연구원이 되고 싶은지 정해야죠. 만약 1학년이라면 연구원으로서 다양한 분야를 탐구해보다가 2학년 때 어떤 특정한 이유로 생명과학에 매력을 느껴 생명과학 연구원이 되기로 할 수 있겠죠. 그러다가 3학년 때는 분자생물학에 관심이 생겨 분자생물학자가 되고자 한다면 누가 봐도 열심히 자신의 진로를 찾기 위해 노력한 학생인 거죠.
학생: 선생님. 학교 과목 중에 생명과학이 있기 때문에 생명과학 연구원까지는 정할 수 있겠는데요. 분자생물학자는 너무 정보도 부족하고 전문적인 느낌이 드는데요.

교사: 그러니까 대학교 홈페이지를 방문해야 해요. 그 학과 교수의 세부전공이 나오거든요. 예를 들어 모대학 생명공학과 홈페이지를 보면 교수 이름 밑에 전문분야가 나와요. 생물소재가공, 면역세포공학, 응용생화학, 분자바이러스학, 세포분자생물학, 나노 바이오공학 등이요. 어떤 분야에 관심을 갖는다면 적어도 그 학과에서 무엇을 배우는지 살펴봐야 해요. 
학생:  아. 세부전공을 보라는 말씀이군요.

교사: 네. 학생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진로의 성숙도를 보여야 하며 그와 함께 교과 및 교과외 활동이 서로 연동되는 모습을 보여줘야 해요. 그래야만 학생이 진로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했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는 거죠. 
 
2017학년도부터 학생부 기재 내용이 변경돼 기존의 ‘진로희망사항’에서 ‘학부모’란과 ‘특기 또는 흥미’ 부분이 삭제됐다. 학생의 특기 또는 흥미는 수시로 바뀌며 학부모의 진로희망은 대학에서 평가하는 부분이 아니기 때문에 이것이 삭제된 것은 학종에서 큰 영향이 없다. 
 
진로희망사항은 입학사정관에게 학생부 내용 중 어떤 것을 중점적으로 볼 것인지를 알려주는 인덱스 역할을 하며 전공에 대한 흥미나 적합정도, 희망 사유 등을 보고 평가에 참고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된다. 이러한 평가는 직·간접적으로 학생부의 창의적 체험활동, 독서 활동 등과 자소서 기록에서 연계 활동 내용에 대한 타당성 있는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학생부 모든 항목에서 진로희망사항을 토대로 일관성, 관련성, 구체성이 직·간접적으로 드러나는 것이 좋다. 
 
물론 진로희망은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충분히 바뀔 수 있다. 진로희망이 바뀌었다고 평가에 문제나 영향을 주지는 않지만 학종을 지원하는 전략적인 측면을 고려한다면 학교 활동을 통해서 바뀐 계기가 명확해야 한다. 만약 진로희망사항이 중구난방식으로 변경된다면 전공에 대한 열정을 의심받을 수 있다. 
 
가령 고교 입학 직후부터 사회복지에 관심과 열정을 보이다가 고3때 갑자기 지리학으로 희망 전공을 변경한다면 입학사정관의 호의적인 평가를 기대하기 어렵다. 학생부나 자소서를 통해 납득할만한 해명이 이뤄진다면 문제없지만 실제 많은 학생이 평가자가 공감하기 어려운 사유를 드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는 자신의 진로에 대한 충분한 고민을 하지 않고  결정할 때 생기는 문제이기도 하다. 
 
평가자 입장에서는 기왕이면 전공 학문에 대한 충성도가 높은 학생이 더 후한 평가를 받는 것이 자연스러운 일이다. 때문에 심사숙고해서 희망진로를 결정했다면 가급적 자주 바뀌지 않도록 신중을 기해야 한다. 바뀌었다 해도 진로에 대한 고민과정이 적극적이고 꾸준했으며, 또 진로 변경 과정에서 다양한 학문 분야를 접하고 독서활동도 폭넓게 전개했다면 오히려 우리 사회가 요구하는 ‘다재다능한 융합적 인재’로 성장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졌다는 평가를 받을 수도 있다. 다만 학생이 진로가 바뀐 계기가 확실하고, 바뀌고 나서부터의 활동이 충분히 의미가 있어야 한다는 것을 명심하자. 
최철규(학종혁명 저자) 대전 동방고 교사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