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격적인 얼레지 , 앙증맞은 처녀치마

2018.05.02 09:00:00

대표적인 초봄 야생화를 두 개만 고르라면? 필자는 얼레지와 처녀치마를 꼽겠다. 일찍 피는 것으로 치면 복수초·변산바람꽃·노루귀 등도 있다. 그렇지만 개성 있는 모양과 색깔, 진한 여운까지 감안하면 얼레지와 처녀치마에 가장 마음이 간다.



김훈 소설 <내 젊은 날의 숲>은 민통선 안 국립수목원에서 계약직 공무원으로 식물을 그리는 세밀화가가 주인공이다. 당연히 이 소설에는 꽃 이름과 꽃을 그리는 과정이 많이 나온다. 그중에는 얼레지도 있다.


꽃은 식물의 성기라는데, 눈을 뚫고 올라온 얼레지 꽃은 진분홍빛 꽃잎을 뒤로 활짝 젖히고 암술이 늘어진 성기의 안쪽을 당돌하게도 열어 보였다. 눈 위에서 얼레지 꽃의 안쪽은 뜨거워 보였고, 거기에서도 쟁쟁쟁 소리가 들리는 듯싶었다.


소설에서 묘사도 심상치 않지만, 얼레지는 한번 보면 잊을 수 없는 꽃이다. 이름도 특이한 데다 꽃 생김새도 꽃잎을 뒤로 확 젖힌 것이 파격적이기 때문이다. 얼레지가 꽃잎을 확 젖히는 이유는 곤충들에게 먹을 것이 많다고 광고하기 위한 것이다. 얼레지가 꽃잎을 젖혔을 때 보이는 진한 보라색 삐죽삐죽한 무늬가 바로 꿀이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안내판이다.



세련된 아가씨 같은 꽃, 얼레지

얼레지는 보는 사람에 따라 묘사가 아주 다르다. <한국의 야생화> 저자 이유미는 이를 ‘산골의 수줍은 처녀치고는 파격적인 개방’이라고 했고, <제비꽃 편지> 저자 권오분은 ‘압구정동 지나는 세련된 아가씨 같은 꽃’이라 했다. 한성대 언어교육원 임소영 책임연구원은 한 기고에서 ‘온몸을 뒤로 젖히고 한쪽 다리로 얼음을 지치는 피겨 선수를 닮았다’고 표현했다. 느낌이 참 다양한 꽃인 것이 분명하다.


서양인들에게는 이 꽃이 개 이빨처럼 보인 모양이다. 영어로 얼레지가 ‘dog′s tooth violet’이니 ‘개 이빨 제비꽃’ 정도로 해석할 수 있겠다. 분홍색 꽃잎이 활짝 젖혀졌을 때 보이는 진한 보라색 삐죽삐죽한 무늬가 마치 개 이빨처럼 생겼다고 그렇게 붙인 것 같다.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서양 꽃 중에서는 ‘시클라멘’이 꽃잎을 뒤로 확 젖힌 것이 얼레지와 많이 닮았다.


연둣빛 실타래 같은 처녀치마 잎사귀

얼레지는 비교적 높은 산의 숲속에서 자라는 백합과 여러해살이풀이다. 이른 봄에 꽃대가 올라오면서 자주색 꽃 1개가 밑으로 숙이고 피는데, 꽃잎은 뒤로 확 젖히는 것 이 특징이다. 얼레지라는 이름은 녹색 이파리 여기저기에 자줏빛 얼룩이 있어서 붙은 이름이다.


권여선의 단편 <처녀치마>는 여주인공이 휴가를 내 1박 2일 장항선 근처에 있는 고향에 다녀오는 이야기다. 내 관심은 제목인 처녀치마가 작품 속에 어떻게 나타나는 지 였다. 처녀치마에 대한 언급은 작품 속에서 이렇게 등장했다.


씁쓸한 향내가 풍기는 이 산사의 마당에서 나는 선숙이 한 소쿠리 뜯어온 처녀치마를 가지고 소꿉을 살았다. 흰 꽃은 오목한 돌멩이에 소담스레 담아 밥을 삼고 붉은 꽃은 쿵쿵 찧어 양념을 만들어 바람 든 처녀치마 폭처럼 넓은 잎사귀에 발라 김치를 담갔다. 어제 아침 그의 몸에 심어둔 꽃씨에서는 어떤 꽃이 필까. 한때 나의 표정 하나, 말 한마디에 몸이 달아 발을 구르던 너. 기적처럼 네 몸에서 연둣빛 실타래 같은 처녀 치마의 잎사귀가 벌어질까. 한때나마 고맙다. 죽어서도 한때나마 너는 나를 그렇게 사랑해야 하리.


작가의 고향에는 처녀치마를 뜯어 소꿉놀이를 할 수 있을 정도로 처녀치마가 흔했던 모양이다. 소설은 이혼남을 사귀는 서른다섯 살 노처녀의 복잡한 감정, 이제 자신이 ‘그에게 아무 자극도 영감도 줄 수 없는 존재’라는 절망감이 작품 내내 드러나고 있 었다. 따라서 적극적으로 해석하면 남자친구가 다시 ‘나의 표정 하나, 말 한마디에 몸 이 달아 발을 구르기를’, 자신이 그에게서 ‘기적처럼 연둣빛 실타래 같은 처녀치마의 잎사귀’로 피어나기를 바라는 갈망을 처녀치마로 표현하고 있다. 실제로 처녀치마를 보면 너무 예쁘고 앙증맞다. 아직 찬바람이 쌀쌀한 초봄에 낙엽이 쌓인 산을 지나다 처녀치마를 발견하면 신비로운 빛을 보는 것처럼 느껴질 정도다.



처녀치마라는 이름이 잎 때문인지, 꽃 때문인지는 확실치 않다. 뭉쳐나는 꽃잎도 세련된 아가씨가 입을 정도로 앙증맞은 색깔과 모양이다. 딱 요즘 젊은 아가씨들이 입는 미니스커트 같이 생겼고, 어떻게 보면 짧은 캉캉치마 같기도 하다. 로제트형으로 퍼진 잎도 치마 모양과 닮았다. 처녀치마가 일본 이름을 오역해 생긴 것이라는 견해도 있지만 설령 오역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 하더라도 처녀치마라는 이름은 참 예쁘다. 이른 봄에 피는 이 꽃의 느낌을 처녀치마가 가장 잘 담고 있는 것이다. 나는 우리 조상들이 이 꽃의 느낌을 잘 살려 지은 이름이라고 믿고 싶다.


무엇보다 처녀치마는 필자에게 책에서 본 꽃을 야생 상태로 발견하는 감동이 얼마나 아찔한지를 제대로 알려준 꽃이다. 이 꽃은 이름이 특이해서 야생화 공부를 시작 할 때부터 관심이 갔다. 수목원을 다니면서 이 꽃을 가끔 보았지만, 야생의 처녀치마를 처음 본 것은 2005년 봄 북한산에서였다. 북한산에 처녀치마가 있다는 말을 듣고 그 전해 봄에도 등산갈 때마다 일삼아 찾아보았지만 쉽게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런데 2005년 4월 북한산 청수동암문 근처에서 낙엽이 수북이 쌓인 틈으로 연보라색으로 특이하게 생긴 꽃이 올라온 것을 포착하는 기쁨을 맛보았다. 책에서 본 사진과 어쩌면 그렇게 똑같은지 깜짝 놀랐다. 한번 처녀치마가 보이자 그 주변에 처녀치마가 지천으 로 널려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처녀치마는 전국 산지에서 자라는 백합과 식물이다. 여러해살이풀로, 주로 습지와 물기가 많은 곳에서 자란다. 꽃은 자주색 또는 보라색으로 줄기 끝에서 3~10개 정도 가 뭉쳐 달린다. 꽃잎 밖으로는 긴 암술대가 나와 있다. 아직 찬바람이 남아있는 이른 봄, 주변 나무에 잎이 달리기 전에 얼른 꽃을 피운 다음, 새싹을 틔워 내실을 다지는 전략을 쓰는 식물이다. 겨울에도 약간 흐물흐물한 상태지만 푸르죽죽한 잎을 볼 수 있는 반상록성이다.


꽃이 필 때 꽃대는 10cm 정도로 작지만 수정을 한 다음에는 꽃대 길이가 50cm 정도까지 훌쩍 크는 특이한 꽃이다. 원주 오크밸리 리조트 뒷산에서 60cm 이상 꽃대를 높인 처녀치마를 본 적도 있다. 수정한 다음 꽃대를 높게 하는 것은 꽃씨를 조금이라도 멀리 퍼트리는 데 유리하기 때문이다.

김민철 조선일보 기자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