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역사] 비조작 자료를 활용한 역사수업

2018.05.02 09:00:00

학창시절의 역사수업시간을 떠올려 보면 재밌는 역사수업이 생각나는가? 대부분 ‘아니요’라고 생각할 것이다. 재미와는 거리가 멀뿐더러 교과서를 싸매고 암기하던 자신의 모습이 주마등처럼 지나가지 않는가? 역사를 참 좋아하지만 역사수업은 그렇지 않다고 생각한다. 왜 이런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을까?


역사수업의 기억과 암기

첫 번째 이유는 역사를 암기의 대상으로만 보기 때문이다. 왜 역사는 암기과목으로 전락했을까? 그것은 바로 교과서에 나오는 역사적 사실을 절대불변의 진리라고 착각하기 때문이다. 역사는 역사학자들이 연구를 통해 당시의 모습을 추측하고 해석한 결과이며 그중에서 합의된 대표적인 것들을 교과서에 적는다. 그러므로 새로운 연구에 의해 언제든지 그 내용이 변할 수 있다. 하지만 교과서 내용은 진리라는 고정관념 때문에 교사는 항상 암기를 강요하고 학생들도 ‘역사=암기’라는 이미지로 굳어지게 된다.


두 번째 이유는 설명식 일변도의 수업이다. 역사를 암기의 대상으로만 바라보다 보니 지엽적인 내용까지 가르쳐야 할 것이 너무나 많다. 자연스럽게 탐구하고 해석하는 수업은 사라지게 된다. 또한 결과만 기록된 교과서를 통해서는 탐구와 해석 자체가 시작되기 어렵다. 탐구와 해석은 역사수업에 있어 가장 중요한 학습방법이지만 현재의 교과서 체제로 역사수업을 보는 고정관념 아래에서는 절대로 탐구가 일어날 수가 없는 구조이다.


위와 같은 이유로 역사수업은 역사답지 못하게 된다. 만약 체육수업을 운동장에서 하지 않고 교실에서 멀리뛰기 하는 사진과 동영상을 틀어주고 머릿속으로 그려보라고 하면 어떨까? 과학수업을 과학실에서 실험하지 않고 교사가 교실에서 설명만 계속해주면 어떻게 될까? 아마 그러한 과목들은 학생들에게 ‘공부하기 싫은 과목’ 혹은 ‘암기과목’으로 전락할 것이다. 과학을 과학실에서 직접 실험을 하고 탐구를 해야 하듯이 역사도 역사답게 해야 한다.


역사다운 역사수업이란?

그렇다면 역사다운 역사수업이란 어떤 것인가? 역사는 역사학자들의 해석 결과이다. 역사수업은 역사학자가 해석하듯이 학생들에게도 어린 역사학자로의 체험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즉, 역사수업은 학생들에게 맞는 자료나 사료를 제공하여 해석하는 활동을 제공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학생은 역사 지식을 구성하고 역사적 사고력을 기르게 된다. 즉, 역사다운 역사수업을 위해서는 교과서를 탈피하고 탐구와 해석을 할 수 있는 좋은 자료를 제공하며, 학생은 이를 바탕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한 적당한 자료가 비조작 자료라고 볼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월간 새교육에 있습니다]
정석주 서울대신초등학교 수석교사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