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들어가는 말
대부분의 시험 결과는 시험장에 들어가기 전에 결정된다는 말이 있다. 시험을 통과하는데 필요한 역량과 교육현장에서 필요한 능력은 같지만 다를 수도 있다. 즉, 수업을 잘하는 능력과 업무를 잘하는 능력은 다소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많은 학자는 메타인지(초인지) 능력이 시험에서 좋은 결과를 얻는 데 기여한다고 말한다. 비판적 수용 능력을 발휘하여 수많은 정보와 지식 중에서 내가 필요한 정보를 찾아내고, 자신의 약점과 강점을 판단하여 필요한 정보를 분류하고 요약 정리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이를 기르기 위해 모의시험 경험, 멍 때리는 시간 혹은 성찰의 시간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의미가 없고, 이해하지 않으면 기억이 잘되지 않는다고 한다. 운전할 때 교통 신호등을 자주 보지만, 적·황·녹색 신호등 위치를 잘 살피지 않는 것처럼 우리는 필요한 최소 정보만을 자동으로 순식간에 얻는다. 그러나 시험에서는 다양한 영역을 통찰력을 발휘하여 세밀하게 파악해야 하고, 빠른 시간에 융·복합하여 실행내용을 기획해야 한다. 학교현장에서는 내 업무 계획 수립 시 흔히 전년도 계획과 다른 학교의 계획 등을 살펴서 첨삭 작업을 통해 기획하는 것과는 다른 부분이 많다. 백지에서 시작하여 얼개를 작성하고 실천내용을 세부적으로 작성해보는 연습이 필요하다. 교육기획 역량을 기르기 위해서는 원격 무료 직무연수를 통해 다양한 영역의 연수를 우선 양적으로 많이 듣고, 질적으로 성찰하며, 교육청 및 교육지원청의 공문을 여러번 읽어 해석하고 요약정리하면서 재구성해보고, 다양한 학교 방문과 대화를 통해 실천적인 아이디어를 얻어야 한다. 연구시범학교의 계획서나 보고서를 작성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교육프로그램은 지역과 학교의 환경·교육과정·교육공동체 구성원들에 따라 다양한 상황에서 만능인 방법은 없기에, 완성도와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유연성 있게 자체평가를 통해 수정해 나가면서 기획해야 한다.
다양한 구성원들과의 토론을 통해 각자의 생각을 더불어 공유하며 성찰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오늘날의 고도 정보사회에서는 다양한 사람과의 협업이 중요하다. 닭과 달걀의 우선순위를 따지는 소모적인 논쟁보다는 구동존이(求同存異)의 마음으로 창의적인 대안을 찾는 노력이 필요하다. 양과 질이 다 필요하듯이 생각과 실천이 상호보완 돼야 할 것이다. 현장에서 실천능력이 전문직으로 전직하는데 혹은 전문직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능력으로 전이되도록 현실 여건을 슬기롭게 극복하기를 바란다.
현재 우리 학생들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인성이며, 그중에서도 민주시민정신에 대한 교육공동체 모두의 인식 제고가 필요하므로 민주시민교육에 대한 기획을 하고자 한다.
[자세한 내용은 월간 새교육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