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르는 것을 아는 것은 묻는 것
이제 대부분의 중,고등학교에서 기말 시험도 끝났다. 시험이 끝나면 시험에 대한 반성이 적극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한 학생에게 어떻게 공부하겠느냐고 질문을 하였더니 시험도 보기 전에 영어를 포기하겠다는 것이다. 왜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까? 먼저 과목이 어렵다는 것이었다. 이 문제의 핵심은 지난 중학교 과정에서 해야 할 공부를 안하고 고등학교에 올라왔기 때문일 것이다. 이런 학생들이 어디 한 두명이겠는가? 이같은 문제가 발생한데는 여러 원인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런 아이들도 고등학교가 포기하고 방치한다면 이해가 안되어 모르는 수업시간을 참아내는 것은 지옥과도 같을 것이다. 어떤 노력이 이뤄져야 하는가는 학교 경영 책임자와 교사의 협력으로 대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필자의 딸은 한자와 일본어 히리가나를 전혀 모른 채 일본 중학교에 들어갔다. 뭐가 힘드냐고 물었더니 아무 것도 모르니 잠이 쏟아졌다고 하소연을 하였다. 그렇다. 선생님은 열심히 언어를 통하여 학생에게 자극을 주지만 이건 자극이 아니다. 청각 장애, 시작 장에 아동에게 강의를 하는 것과 다름이 없다.
하지만 일본 학교에서는 이를 방치하지 않았다. 가장 기초부터 시작하였다. 초보 글씨부터 시작하는 것이다. 만일 영어를 전혀 모른다면 중 1 영어부터 시작하면 된다. 이것이 맞춤형 교육이며 개인을 사랑하는 교육이다. 전남도교육감은 당선 후 소감에서 맞춤형 교육을 매우 강조하였다. 학보모들은 이에 매우 공감하였을 것이다. 한 아이도 포기하지 않고 교육을 시키겠다니 말이다. 이것이 바로 진정한 교육의 핵심이기 때문이다. 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려면 가장 기본적으로 교실에서 이같은 아이들이 얼마나 존재하고 있는가? 수업시간에 어느 정도 학생들이 수업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가 자료부터 챙겨야 한다. 이것이 장학의 시작이다. 장학은 모든 교육행정의 핵심이다. 이를 비켜가면 업무를 아무리 잘 해도 좋은 평가를 얻기 어렵다.
특히, 학생수가 매우 줄어든 농촌의 학생들에게 보충학습이 충분히 이뤄지도록 세심한 배려를 하여야 한다. 수업이 재미없고 흥미가 없으면 아이들은 눈을 감기 시작한다. 지금은 뇌파를 눈으로 보는 시대다. 눈을 감으면 처음의 작동상태에서 뇌의 파장이 점차 길어지고 느려진다. 자동차 엔진이 속도를 잃은 것과 마찬가지다. 두번 째 단계에서 점차 느려진다. 그리고 더 깊은 잠의 상태에 빠지면 완전히 뇌파는 자극과 거리가 멀어진다. 수업 중 졸고 있으면 아무런 자극을 받지 않으면 입력이 불가능하게 된다.
공부가 되기 위해서는 우선 뇌가 각성상태가 되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생 스스로 목표를 정하는 것에서 출발하여야 한다. 지금은 보기 어려운 것이 되었지만 서당식 교육을 통하여 소리를 내면서 뇌의 의식 활동을 강화하는 것이다. 지금도 이런 교육을 실천하는 학교가 있다는 것은 매우 다행이다. 그 사례를 우리가 배울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더 촉진되어야 할 것은 아이들이 어떻게 배우는가를 교사가 열심히 배워 알아야 한다. 교사가 된 사람은 비교적 학교에서 성적이 우수한 수준의 학생이었다. 그러기에 학력이 낮은 학생들의 마음을 잘 이해한다고 보기는 어려운 것도 저학력 수준의 아이들을 포기하는 원인 중의 하나이다.
포기한 아이들의 장래는 어떻게 될 것인가? 지식 정보화 사회에서 지식이 없으면 자산이 없는 것이다. 학교는 좀 더 폭 넓게 아이들의 성장에 관심을 두어야 한다. 오로지 진학문제, 입시문제에만 매달려 있는 것은 진정한 학교의 모습은 아니다. 우리 나라에서 청소년 문제의 근원은 가정과 학교에 있다. ㅏ분리, 분할되고 할거된 환경에서는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 이같이 문제해결 능력을 가진 학교를 기대하는 것은 나만의 소망이 아닐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