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1스마트폰 시대에 일선 학교 교사들이 업무 시간 이외의 학생, 학부모와의 소통 도구로 쓰이는 스마트폰으로 인한 사생활 침해를 겪고 있다. 학생·학부모가 시도때도 없이 보내오는 전화, 문자,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으로 인해 교사들은 스트레스를 호소하고 있는 것이다. 교육부나 시·도교육청은 손 놓고 방관하는 실정이라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변변한 가이드라인이나 지침도 없는 형편이다.
사생활 침해하는 스마트폰 공해
얼마전 전국 교사를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가장 스트레스를 주는 사람’에 대한 응답으로 학부모가 39%로 1위, 학생이 24%로 2위, 교장·교감이 17%로 3위, 교육청·교육부 등 행정기관이 8%로 4위를 차지했다. 특히 교사들은 스마트폰이 교권 침해의 가장 강력한 수단으로 전락했다고 말한다. 스마트폰과 SNS의 확산으로 정도가 심해졌다는 것이다.
스마트폰이 대중화되면서 무료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 교사와 학생 및 학부모의 소통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주로 간단한 상담이나 전달 용도로 사용되며, 통화나 대면 상담보다 편리하고 부담이 적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의 지나친 사용으로 교사들에게 불편한 사항이 증가하고 있다. 소통이 용이하다는 것이 교사의 사생활 침해로 이어지고 있다.
퇴근 이후에도 학부모나 학생들이 메시지를 보내는 경우가 적지 않다. 특히 맞벌이를 하는 학부모의 경우 저녁 늦은 시간 연락을 해오는 경우도 있다. 메시지를 받는 교사의 입장에서는 난감한 처지가 된다. 오죽하면 일부 교사들은 휴대폰을 2개 가지고 있으며, 업무용 휴대폰은 퇴근시에 학교에 두고 다닌다는 것이다. 학부모는 퇴근후 전화하고 싶은 저녁이나 주말에는 교사도 퇴근한 상태임을 잊지 말아야 된다.
대부분의 나라는 교사 개인 휴대전화 번호를 알려주는 것은 상상할 수 없다고 한다. 학부모의 의견은 반드시 학교를 통해 정식 절차(학교 대표전화, 학교 이메일 계정)를 밟는 게 일반적인 관례라고 한다. 전 세계가 교사들과 학부모는 간접 소통을 하지만 우리나라는 직접 소통을 허용하는 것이다. 물론 우리나라도 학교 대표번호로 소통하게 되어 있지만, 교사와 밀접한 소통을 원하는 학부모들의 요구에 개인 번호를 알려줄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시급히 마련해야 할 가이드라인
아직까지 교육당국은 교사가 학생, 학부모와 스마트폰으로 소통하는 부분에 있어 가이드라인이 없는 상태다. 하루 속히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은 업무 외적인 시간에 이뤄지는 교사와 학생, 학부모의 소통에 대한 ‘가이드 라인’을 마련하길 바란다. 가정에서 학부모의 자녀에 대한 관심은 이해하지만 교사의 교권을 세워주는 적절한 수준에서 소통하길 기대한다. 자녀는 부모의 자화상이며 학부모가 교사를 존중해야 자녀도 교사를 진심으로 존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오로지 학교에서 최선을 다한 교사는 퇴근 후에 편히 쉬길 원한다. 그래야 다음날 학교에서 학생들에게 온 힘을 쏟을 수 있는 에너지가 생기기 때문이다. 교실에서 최선을 다하고 퇴근한 교사를 위해 조금은 참고 기다려주길 바란다. 교사의 사생활의 영역까지 침범하는 것은 진정한 소통이 아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