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학이란 건 다음 학기를 준비하며 여유를 가지고 잠시 숨을 돌리는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아이들에게는 더 이상 그런 의미를 가지고 있지 못한 듯하다.
작년에 담임을 맡았던 6명의 5학년 악동들을 방학식 날 보결로 맡게 되면서 “여러분, 즐거운 여름 방학이에요. 푹 쉬고 8월에 다시 봅시다”라며 인사했더니 아이들은 “흥, 우리는 내일도 모레도 학교 온 단 말이에요. 선생님이나 안 오지!”라고 앙칼진 반응을 보였다.
“여러분, 선생님이 방학 때 논다는 건 편견이에요. 선생님들도 나름 바쁘답니다.”
“으아~ 나도 놀고 싶다.”
방학 중엔 빽빽한 학사 일정에서 벗어나 시골 아이들답게 자유롭게 뛰어 놀 거라고 생각했는데, 그거야말로 내 편견이었던 모양이다. 그래도 우리 학교 학부모님들은 아이들이 학습 부담에 짓눌리지 않고 애들답게 즐겁게 뛰어 놀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주는 데 교육 철학을 두고 계셔서 비교적 자유롭게 방학에 쉬는 편이다.
하지만 방학이 되고 나서도 방과 후 수업을 받으려고 꼬박꼬박 학교에 붙잡혀 점심시간은 되어야 스쿨버스 타고 하교할 수 있는 아이들 입장에서는 그렇지 않을지도 모르겠다. 나도 이 녀석들과 비교해서는 ‘도시 아이’ 출신이므로 가끔씩 아이들에게 “여러분, 여러분은 스스로가 힘들다고 생각하겠지만 도시 아이들은 어떻게 공부 하냐면 말이죠……”라고 운을 띄우면 아이들은 “도시 애들이랑 비교하지 마요!” “맞아, 차별이야!” “자꾸 그러면 우리도 선생님을 다른 선생님이랑 비교할거예요!”라면서 들고 일어난다.
이 녀석들이라고 사교육을 받지 않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시골 외진 데에 있기 때문에 많은 시간을 도로 위에 쏟아 부으며 먼 길을 돌아 학기 중에나 방학 중에나 학원에 다닌다. 학교가 조금 더 일찍 끝난다는 것 외에 놀고 싶은 만큼 놀 수 없다는 사실은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
아이들의 생활 주기 안에서 학교는 큰 부분을 차지하지만 전부는 아니다. 농사일에 바쁜 학부모님들은 학교가 어린 학생들을 더 오랜 시간 돌봐주기 원하고 학교 수업만으로는 부족하다 생각했던 학력과 기능을 학원 교육을 통해 보충하고 싶어 한다. 그러나 아이들 입장에선 학교가 끝나도 쉬기는커녕 계속 공부해야 하고 학원을 가야하니 쉬는 느낌이 없는 것이다.
방학 첫 날이 하필 근무 날이라 평소처럼 일찍 출근했다. 작년에 우리 반이었던 남자 아이는 왜 방학인데 학교 왔냐며 우리 선생님 바보라서 방학인줄도 모르고 학교 왔나보다 하며 위로해준다. 6학년 여자아이들이 간식 없냐고 졸졸 따라다녀서 몰래 교무실에서 아침 도시락을 나눠주었다. 아이들은 방과 후 수업시간이 아닐 땐 아무도 없는 교실에서 핸드폰 게임을 하며 이리 뒹굴 저리 뒹굴 놀았고, 나는 아이들이 신경 쓰여 교무실에만 앉아있지 못하고 결국 교실에서 아이들과 시간을 보냈다.
아침에 봤던 남자 아이는 학교에 와서 잠시 친구들과 놀다가 오늘 방과 후 수업이 없다며 거짓말을 하고는 할아버지와 함께 돌아가 버렸다. 방과후 출석을 확인하는 게 교사 업무라 전화로 이 녀석이 거짓말을 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할아버지가 다시 아이를 데려 가야 할까요”라고 묻는 할머니의 걱정스러운 음색에 나는 그러시지 않으셔도 된다고 말할 수밖에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