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교육의 일단 정지와 성찰하기

2019.10.02 12:53:35

새 정부 들어 국민의 여망인 교육개혁이 한때 공론화 작업을 거치면서 잠시 주춤하고 있다. 우리의 교육시스템은 국민 개개인의 목소리를 반영하기에는 너무 복잡하다. 또한 교육이 정치로부터 완전한 독립성과 자율성을 운영하기엔 한계가 있다.

 

그러나 교육은 국가백년대계로 한 나라의 성장과 국가 부흥의 주춧돌이기에 국민은 자신들의 생각이 국가 교육정책으로 반영되기를 요구한다. 우리의 교육열은 세계에서 유래가 없을 정도이지 않는가. 오죽하면 ‘기러기 아빠’라는 신조어까지 등장했을까. 그런데 우리의 교육시스템은 개혁에 대한 국민적 열망에도 불구하고 대적할 수 없는 강력한 괴물이 되어 버렸다.

 

주변의 젊은 세대들과 이야기를 나누면 그들의 교육에의 불신과 국가에 대한 실망은 극에 달해 깊이를 측정할 수조차 어려운 실정이다. 유치원에서 대학졸업에 이르기까지 좋은 직장, 안정된 급여, 당당한 자아실현 등을 목표로 현재를 희생해온 그들이 대학졸업 후 막상 부딪히는 현실은 그동안의 기대를 철저하게 배신한다.

 

두 팔 벌려 그들을 맞아주는 직장은 없으며, 살인적인 경쟁을 뚫고 취업에 성공한다 해도 만족할 만한 급여나 여유로운 삶은 꿈꾸기 어렵다. 방 한 칸 구하는 일에서부터 좌절은 이제 당연한 과정이 된다. 시간과 재능과 열정을 아무리 쏟아 부어도 기대했던 미래는 여전히 저 멀리로 도망치기 일쑤다. 이런 처지에선 결혼도 자녀출산도 섣불리 선택할 수 없다. 그들의 이런 실상은 3포, 5포, 7포, N포 세대라 명명되고 있다. 한숨 밖에 나오지 않는 이러한 세태를 언제까지 용인할 것인가?

 

그런데 더욱 고약한 건 청년들의 좌절을 대변해 주겠다던 정치인들이, 정의의 기치를 높이 들어 더 좋은 세상을 만들겠다던 언론인들이, 더 나은 미래를 위해 현재를 희생하라던 스승들이, 정작 젊은이들의 미래에는 별 관심이 없다는 것이다.

 

말만 앞서는 기성세대를 청년들은 이제 믿지 않는다. 번지르르한 말과 목청 높인 구호와 반대파를 향한 격렬한 투쟁이 사실은 자신들이 가진 것을 지키고 더 늘리려는 의도이며 자기네 패거리의 이익을 고수하려는 것이라는 씁쓸한 진실을 마주하면서, 청년들은 이제 학교에서 배운 ‘정의’와 ‘민주주의’를 쓰레기통에 내다 버리게 되었다. 최근엔 법무부 장관 임명 사태를 겪으면서 보통 사람들에게는 더 이상 교육 사다리는 붕괴되어 희망이 없다는 탄식만이 나오고 개천에서 나던 용은 멸종되어 우리 교육시스템을 더욱 개혁할 수밖에 없다는 결론이다.

 

그렇다면 기성세대인 우리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정치인도 언론인도 고위 공무원도 아니니 우리에겐 책임이 없다고 말하고 뒤로 빠지면 될까? 재벌도 갑부도 아니고 집을 몇 채씩 가진 것도 아니며 특권층으로 대접받은 적도 없으니 아무 잘못도 없다고 말하고 무덤덤한 표정을 지을 수 있을까? 그러면 때는 이때다 하고 젊은이들이 ‘당신 탓이 아니에요’라며 우리를 위로해줄까? 성찰할 줄 모르는 인간은 살 가치가 없다던 소크라테스와 부끄러움을 모르는 인간은 교육의 대상이 될 수 없다던 공자를 우리는 지면(紙面)으로 어떻게 대면할 수 있을까?

 

교육 문제에 관한 한 우리 사회의 지난한 논쟁에도 불구하고 납득할 답이 없다는 것이 서글프다. 그렇다면 일단 정지해 보는 건 어떨까? 공부만 잘하면 좋은 대학, 좋은 직장, 멋진 미래를 거머쥘 수 있다고 허황된 청사진으로 아이들을 압박하기를 일단 정지, 판검사가 되고 의사나 교수가 되고 대기업 임원이 되면 성공한 인생이라고 아이들을 호도하기를 일단 정지, 나에겐 아무 잘못도 없고, 다 누구 탓이라고 책임전가하기를 일단 정지하는 것 말이다. 그리고 긴 호흡으로 일단 정지한 것들을 냉철하게 성찰하고 국민의 토론을 거쳐 우리 모두의 합의를 도출하면 어떨까? 머뭇거리기엔 국가의 미래가 너무나 암울하다.

전재학 인천 제물포고 교감 hak0316@hanmail.net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