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교육, 불꽃놀이로 끝나지 않으려면 …

2020.01.06 11:00:00

성큼 다가온 AI시대, 교육도 비켜갈 수 없는 세상이 됐다. 이제 인공지능은 교과교육과 연계하고, 융합교육을 확산시켜 나가는 미래교육의 중요변수로 떠올랐다.

 

교육에서도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접목하여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하는 패러다임의 전환은 한층 더 활발하게 이루어질 전망이다.

 

하지만, 학교 현장에서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한 준비는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인공지능을 활용한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물리적 환경이 조성되어야 하는데 아직 갈 길이 멀다. 공교육에서는 인공지능 학습의 기반이 되는 학습데이터가 전문한 실정이고 인공지능 교육에 필요한 인프라도 미흡하다.

 

이뿐 아니다.

 

미국, 중국, 일본과 서구 유럽 선진국에서는 이미 인공지능이 초·중·고 교육과정에 포함돼 있지만 우리는 교과서 개발조차 초보 단계에 머물러 있다.

 

교사 양성 역시 교육대학원을 이용한 단기 대책만 있을 뿐 구체적인 플랜이 없다.

 

인공지능 경쟁력이 미래 국가경쟁력이라고 한다. 미래의 생존이 달린 문제이기도 하다. ‘우리에게 AI란 무엇인가’ 라는 근본적인 물음에서부터 AI 교육이 그려낼 세상과 이것이 교육현장에 구현되기 위해서는 어떤 준비와 과정이 필요한지 모색해 본다. 또 인공지능 교육이 보여주기식 일회성 이벤트로 끝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방안은 무엇인지도 함께 고민해 보고자 한다.


 

2016년 인공지능 알파고와 이세돌 9단의 바둑 대결이 있고 난 이후, 많은 국민들이 인공지능(이하 AI)이라는 용어에 친숙해지고, AI가 우리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아이들의 미래나 직업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에 대한 관심이 커졌다. AI는 범용 기술로서 다양한 산업 분야에 확산되고 사회·경제적 부가가치를 새롭게 창출하고 있으나, AI 선도 국가조차도 AI 인력이 부족하여 AI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다양한 대책을 수립하고 있다.

 

미국은 ‘AI 미래를 위한 준비(Preparing for the Future of AI)’를 통해 AI 인력 양성을 위한 STEAM 교육을 강화하고, 중국은 ‘국가지식교육프로그램(全民智能教育项目)’을 도입하여 초·중·고등학교에 사용할 AI 교재 33권을 개발하였다. 일본은 ‘AI 기술전략(人工知能技術戦略)과 실행계획’을 통해 초등학교부터 통계·정보교육을 강화하고 ICT 환경을 정비하고 있다.

 

 

초중등교육과정에 AI교육 포함돼야

문재인 정부도 ‘AI 정부’를 선언하며 올해 안에 ICT·제조업 기술과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AI 분야를 전폭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AI 국가전략’을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교육부는 교육대학원에 ‘인공지능 융합교육’ 전공 과정을 신설하여 5년간 5천 명의 교사를 양성하겠다고 발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대책에도 불구하고, 현재 추진되고 있는 소프트웨어(SW) 교육정책을 지켜보면서, 이번 AI 교육정책이 내실 있게 운영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AI는 우리 생활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치고 있음으로, AI 교육은 초등학교부터 보통교육으로 도입되어야 한다. AI 스피커·AI 챗봇·AI 자율주행 자동차 등 다양한 분야에서 AI가 사용되고 있지만, AI를 제대로 이해하고 올바르게 사용하는 교육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데이터를 기반으로 만들어지는 AI도 오류가 있을 수 있고, 편향될 수 있음을 알고, AI가 주는 정보를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사생활 침해나 개인정보가 유출 되지 않도록 AI 윤리교육 등이 강화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차기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에 AI 이해교육·AI 활용교육·AI 제작교육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둘째, AI 교육은 SW 교육 기반 위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현행 교육과정에 포함된 SW 교육의 가장 큰 문제점은 과거 교육과정에서 포함되었던 정보통신교육(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내용을 모두 없애고, 그 자리에 프로그래밍 중심의 SW 교육으로 대체했다는 것이다. SW 교육 역시 인터넷과 컴퓨팅기기를 기본적으로 다룰 수 있어야 하므로 반드시 ICT 소양교육과 활용교육이 선행되어야 한다. AI 교육도 마찬가지이다. AI 교육 또한 SW 교육의 한 영역이므로, 기존의 ICT 교육과 더불어 SW 교육의 연장선상에서 이루어져야 하므로, 이들을 포함한 교육과정 개편이 시행되어야 한다.

 

셋째, AI 교육을 위한 수업 시수가 확보되어야 한다. AI 교육이 기존의 ICT 교육과 SW교육을 포함하여 진행되려면 초등학교부터 주당 1시간 이상의 수업 시수를 확보해야 한다. 이러한 주장은 지난 12월에 한국정보과학교육연합회에서 개최한 ‘차세대 초·중등 SW 교육 표준모델 대국민 공청회’에서도 제기되었다. 이 공청회에서 AI 교육을 포함한 SW 교육을 초등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까지 8단계로 구성하여 정보문화, 자료와 정보, 알고리즘과 프로그래밍, 컴퓨터 시스템, AI와 융합 등 5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그러나 현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SW교육은 초등학교 전체 수업 시수의 0.29%(17시간), 중학교 전체 시수의 1.0%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렇게 부족한 수업 시수로는 제대로 된 AI 교육은커녕 보여주기식 또는 흉내만 내는 AI 교육으로 그칠 것이 뻔하다.

 

넷째, AI 교육을 포함한 SW 교육이 모든 교원양성대학의 교양과정과 전공과정으로 개설되어야 한다. 그동안 교원양성대학의 SW 교육은 일부 학과나 전공에서만 운영되어 왔다. AI가 우리 삶에 큰 영향을 미치고, 모든 학문을 융합하는 기반 기술로 활용된다면 모든 교과교육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필수과목으로 개설되어야 한다. 특히 모든 교과를 가르쳐야 하는 초등교원을 양성하는 교육대학교에서는 전공 필수과목으로 개설되어야 한다. 물론 AI 교육에 대한 전문 교육자 양성을 위해 교육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AI융합교육전공 개설 또한 적극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다만 별도의 전공 개설을 통한 집중적인 AI 교육도 필요하겠지만, 전체 교원을 위한 AI 연수도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AI 교육이 모든 교과에서 활용되기 위해서는 교원양성대학의 교수를 대상으로 한 재교육이 필요하다. 정부는 SW교육을 위한 교원 양성을 위해 ‘교원양성대학 소프트웨어 교육강화 지원 사업(SWEET)’을 추진하고 있으나, SW 융합교육에 참여하는 교수가 많지 않고, SW 교육 관련 과목을 신설하거나 개편하는 데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SWEET 사업은 교원양성대학의 교수나 학생들에게 SW 교육의 필요성을 알리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AI 교육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이러한 재정 지원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동시에 행정적·제도적 지원도 병행되어야 한다.

 

AI 교육위한 수업시수 확보 절실

AI 교육이 초·중등교육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누가,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지가 제도적으로 규정되어야 한다. 즉, AI 교육을 위한 교원 양성, 교육과정 개편, 수업 시수 확보 등이 법률 수준에서 마련되지 않으면, 특정 정권의 일회적인 정책으로 끝날 수밖에 없다. AI 교육을 반짝이는 불꽃놀이 쇼로 만들지 말아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초·중등교육법시행령」43조(교과)에 AI 교육을 위한 ‘정보’ 교과를 추가하여 명시하고, 차기 교육과정이 개정되기 전까지 AI 교육을 추진할 수 있도록 ‘2015 소프트웨어 교육운영 지침’을 ‘AI 교육운영 지침’으로 개정해야 한다. AI 교육을 차기 교육과정이 개편된 이후부터 추진하기에는 너무 늦다. 운영 지침에 학교급별 교육내용과 시수 확보 방안을 명시해야 한다.

정영식 전주교대 교수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