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에게도 사회적 약자를 배제할 권리는 없다

2020.01.05 07:53:14

우리 사회엔 약자 아닌 약자로 불명예를 짊어지고 살아가는 사람들이 많다. 예컨대, 어린이, 여성, 노인, 노숙자, 외국인 노동자, 성소수자, 사회 극빈층, 등등이 그렇다. 당연하게도 이들은 자신들이 약자로 대접받기를 원하지 않으며 자신들의 권리 즉 인권이 제한당하는 것을 원치 않는다. 이들도 우리 사회의 엄연한 구성원이고 함께 더불어 살아갈 권리를 가진 사람들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언제부터인지 자신들의 권리를 운운하며 이들을 배제하려는 사람들, 즉 강자 행세를 하려는 사람들로 우리 사회가 양분되어 가는 것은 애석한 일이다. 권리는 누군가를 혐오하거나 배제하면서 누릴 수 있는 ‘제로섬 게임’이 아니다. 우리 사회가 극단적으로 이기주의화 되면서 내 것을 지키기 위해 상대의 것을 제한하려는 것을 당연시하고 이를 권리라 고 주장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한때 음식점마다 아이들의 동반을 제한하려는 이른바 노키즈존 음식점이나 레스토랑이 화제가 된 적이 있었다. 물론 가족들과 맛있는 음식을 먹으며 대화를 나누거나 사람들 간에 만남을 통해서 중차대한 이야기를 하고 업무상 식사를 할 수도 있다. 그렇다고 다소 소란을 피우는 아이들을 배제하면서 자신들만의 권리를 주장할 수는 없다. 자기가 존중을 받으면 상대적으로 다른 사람은 배제를 당하는 제로섬 게임이 되기 때문이다. 영화관도 마찬가지다. 모든 연령층이 볼 수 있는 영화관에 아이를 동반한 가족들이 입장하여 다소 간의 시끄러움과 소란이 있을 수 있다. 이는 그러한 아이들을 동반한 소수의 경우에서 발생하는 일이다, 그것을 전체로 보편화하여 규정짓는 것은 지나치다. 이와 비교해 볼 때 과연 아이들만 소란의 대상인가. 철없는 어른들도 때로는 아이들과 마찬가지의 행동으로 다른 관객의 눈살을 찌푸리게 만드는 경우가 자주 있다. 그렇다고 모든 연령대 관람이 가능한 영화관에 또 다른 노키즈, 노어덜트, 노커플, 노맨 등으로 구별 지어 영화관을 요구하는 것은 지나치다. 이는 권리에 대한 몰이해를 드러내는 비민주적인 행위이기 때문이다.

 

한 가지 사례에 지나지 않지만 우리는 이런 경우엔 매너없는 개인의 문제라고 선을 그을 필요가 있다. 이들의 문제를 전체의 문제로 비약하는 건 올바르지 않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는 그런 통념과 상식이 통하지 않는 게 문제다. 특히 우리 사회는 위의 사회적 약자들에게 매우 비정하다. 평상시 누군가의 잘못은 그저 개인의 문제로 여기면서도 자신보다 약한 존재라 여기는 사람들의 잘못은 전체의 문제로 확대하여 ‘노키즈존’과 같은 혐오의 공간을 만들거나 ‘맘충’ ‘틀딱’이라는 비인격적인 말을 지어내고 혐오한다. 누군가는 그걸 권리라고 생각하겠지만, 다시 말해서 어떤 존재를 혐오하고 배제할 권리란 세상에 없다. 때로는 나의 불편을 감수하고서라도 타인의 권리를 지켜주려는 배려와 관용이 필요하다. 그래야 나를 포함한 우리 모두의 권리를 지킬 수 있다.

 

오늘날 우리 사회는 인구의 감소가 심각한 수준을 넘어서고 있다. 지난해 어느 달에 0.88이라는 출생률은 우리 역사에서 최악의 경우다. 이대로 가다간 미래학자들이 예견하듯이 대한민국이 이 지구상에서 가장 먼저 소멸하는 국가로 남을 수 있다. 그 이유는 분명하다. 이렇게 혐오와 배제가 판치는 사회에서는 어떻게 존중을 배울 수 있을까? 이런 사회에서 아이를 낳아 키우라는 요구는 너무 염치가 없지 않은가.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 말과 행동으로 실천해야 한다. 그래야 민주주의는 인류가 낳은 가장 위대한 제도로 존속된다. 우리는 타인에 대한 존중, 자기를 희생할 수 있는 관용, 다 함께 행복하게 살아갈 공존, 특히나 사회적 약자들에 대한 배려와 나눔은 누구든지 어느 때든지 어느 곳이든지 배우고 습득해야 할 민주시민의 필수적인 사항이다. 2020년 새로운 Decade(10년) 시대를 맞이하면서 모두가 행복하게 더불어 살아가는 대한민국이 되기를 소망한다.

전재학 인천 제물포고등학교 교감 hak0316@hanmail.net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