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의 세계를 구하는 희망의 메시지

2020.01.12 00:33:09

우리가 살아있다는 것을 느끼는 것은 언제일까? 누군가를 진심으로 사랑할 때? 행복에 겨워 눈물이 솟구칠 때? 풍요로움을 느끼며 만족스러울 때? 물론 이런 순간들이 우리의 삶과 함께 할 때 살아있음을 느낄 수 있다. 그러나 필자는 미래를 향한 희망이 존재할 때 진정으로 살아있음을 실감할 수 있다고 믿는다. 왜냐면 희망한다는 것은 살아있는 인간만의 특권이기 때문이다. 희망은 이 세상 최고의 행복이자 우리가 추구하는 최상의 가치다. 그것은 행복의 반대 개념이 불행이 아니라 희망이 없음에서 유추해 볼 수 있다. 그만큼 희망은 삶의 힘이 되는 기반이자 구심점이다. 그렇다면 미래를 여는 희망은 어떤 모습이고 또 어떻게 다가올까?

 

제인 구달에게서 우리는 그 답을 얻을 수 있다. 침팬지의 어머니로 불리는 제인 구달(1934~)은 26세의 나이로 야생 침팬지의 행태를 관찰하고자 여러 위험을 무릅쓰고 아프리카 탄자니아 곰비 지역으로 갔다. 그 후 30년 넘게 현장 연구를 계속해 온 구달은 야생 영장류 현장 연구 분야에서 기념비적인 업적을 쌓기에 이르렀다. 뿐만 아니라 그녀가 쓴 책과 그녀의 현장 연구, 다큐멘터리 영화 등은 연구에 대한 그녀의 헌신과 삶을 향한 깊은 성찰을 보여 주며 우리에게 많은 감동과 깨달음을 선물했다. 그녀는 한때 노트르담 대성당에서의 경험을 말했다. 거기서 그녀가 들었던 바흐의 음악에서 어떤 메시지를 확인했던 것이다. 그 메시지는 “인간 각자는 중요하며, 각자 해야 할 일이 있으며, 각자 무엇인가를 바꿀 수 있다. 또한 각자는 자신의 삶에 책임을 져야 하며, 무엇보다도 살아있는 존재들에게 존경과 사랑을 표현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그녀는 말했다. “우리는 인류가 궁극적으로 도달할 운명, 연민과 사랑이 넘치는 세상을 향해 가고 있다. 그렇다. 나는 정말로 희망을 가지고 있다. 우리의 후손들과 그들의 아이들이 평화롭게 살 수 있는 세계를 기대할 수 있다고 굳게 믿는다. 나무들이 살아 있고 그 사이로 침팬지들이 노니는 세계, 푸른 하늘이 있고 새들이 지저귀는 소리가 들리는, 그리고 원주민들의 북소리가, 어머니인 지구와 위대한 신이 우리와 연결되어 있음을 힘차게 되새겨 주는 그런 세계 말이다. 하지만 우리에게는 시간이 별로 없다. 지구의 자원들은 고갈되어 가고 있다. 우리가 지구의 미래를 진정으로 걱정한다면, 모든 문제들을 저 밖에 있는 ‘그들’에게 떠넘기는 짓은 이제 그만두어야 한다. 내일의 세계를 구하는 것은 ‘우리’의 일이다. 바로 당신과 나의 일인 것이다.”

 

제인 구달은 침팬지를 연구하면서 인간도 침팬지와 같은 동물이라는 점, DNA 구조상으로 인간과 단 1퍼센트 정도 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는 실험실에서 만난 침팬지들의 참혹한 모습에 충격을 받고 곤경에 처한 그들을 돕기 위해 무언가를 하리라고 마음먹었다. 구달은 우리에게 묻는다. 인간이 이런 식으로 동물을 착취해도 되는 것이냐고. 우리 인간도 그들과 같은 동물이 아니냐고. 그녀는 인간이 새로운 시각을 가져야 하고 또 가질 수 있다고 말한다. 인류가 인간과 동물에 대한 잔인함을 사랑과 연민으로 넘어설 수 있다면 도덕적이고 영적인 시대를 열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사람과 동물이 생김새는 다르더라도 살려고 하는 생명 그 자체는 조금도 다를 바가 없다. 제인 구달이 전하는 “인간이 품성을 지닌 유일한 동물이 아니라는 것, 합리적 사고와 문제해결을 할 줄 아는 유일한 동물이 아니라는 것, 기쁨과 슬픔과 절망을 경험할 수 있는 유일한 동물이 아니라는 것, 그리고 무엇보다도 육체적으로뿐만 아니라 심리적으로도 고통을 아는 유일한 동물이 아니라는 것을 받아들인다면, 우리는 덜 오만해질 수 있다.”는 큰 가르침을 깨달을 때 우리는 이 지구에서 같이 세(貰)들어 사는 모든 생명체들을 새로운 존중의 눈으로 바라보는 겸손함을 얻을 수 있다. 이것이야말로 내일의 세계를 구하는 희망의 메시지이지 않을까.

전재학 인천 제물포고등학교 교감 hak0316@hanmail.net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