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기고] 수업과 놀이의 이분법 뛰어넘어야

2020.03.30 16:14:51

<수업, 놀이를 품다 上>

2015년 5월 시·도교육감들은 어린이 놀이헌장을 선포했다. 놀이가 아동의 신체적, 정신적인 발달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고, 공교육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초등학교 시기에 양질의 교육 놀이 활동이 보장돼야 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었다. 그 후 놀이의 가치와 필요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각 시·도교육청은 놀이와 관련된 각종 사업을 추진했다. 놀이 활동을 창의교육과 관련짓거나, 인성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로서 놀이 활동을 인식하기도 하면서 지역별로 특색 있는 교육과정을 운영해왔다.

 

모든 교육적 놀이는 좋은 수업


그 무렵 어느 정책토론회에서 이런 말이 나왔다. "아이들이 배워야 할 것은 글을 읽고 수학 문제를 푸는 것뿐 아니라 건강하게 다른 사람과 어울리고, 스스로 새로운 것을 만들고, 좋은 결정을 내리고 그 결과에 책임지는 등 사회성과 창의성, 리더십과 책임감을 갖는 것이다." 

 

놀이의 가치와 필요성을 강조하려는 말이겠지만, 수업과 놀이를 명확하게 이분법적으로 구분하는 전통적인 패러다임을 품고 있는 대표적인 사례다. 글을 읽으면서도 건강하게 다른 사람과 어울리고 새로운 것을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수학 문제를 풀면서 좋은 결정을 내리고 그 결과에 책임지는 것을 배울 수도 있다. 수업과 놀이를 바라보는 관점의 전환이 절실하다.

 

놀이의 사전적 정의는 ‘여러 사람이 모여서 즐겁게 노는 일’, ‘인간이 재미와 즐거움을 얻기 위해 행하는 모든 활동’이다. 신체적·정신적 활동 중에서 식사·수면·호흡·배설 등의 생존 활동을 제외하고 ‘일’과 대립하는 개념을 가진 활동이 놀이다. 

 

그렇다면 수업 놀이는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수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내용이나 방법적인 측면에서 수업 중 활용되는 모든 놀이’를 말한다. 단순히 즐거움을 얻기 위한 놀이에서 더 나아가 의도된 교육적 활동의 내용이자 동시에 수단을 의미한다. 수업 놀이의 요건을 몇 가지 측면에서 나눠 살펴보면서 좋은 수업 놀이의 개념을 재확립해볼 수 있다.

 

인지적 측면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논리적 사고, 추론 능력, 언어 능력, 의사소통 능력, 그리고 자기 주도적인 문제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는 놀이가 좋은 수업 놀이다. 정의적 측면에서는 긍정적인 정서를 함양할 수 있는 놀이가 올바른 수업 놀이다. 놀이 과정에서 긍정적인 자아존중감을 형성하고, 불안감이나 부정적인 정서를 해소할 수 있어야 한다. 행동적 측면에서 바람직한 수업 놀이란 건강 체력을 증진하고 신체의 균형 있는 발달을 촉진하는 활동을 의미한다. 사회적 측면에서는 타인과의 긍정적인 상호 작용을 통해 협동 능력, 의사소통 능력, 대인관계 능력을 신장할 수 있어야 한다. 공동체 의식을 기르고, 놀이의 약속과 규칙 등 공동체 삶을 영위하는 데 필요한 규범을 신장할 수 있는 놀이도 좋은 수업 놀이다. 

 

학생의 다양한 발달 이끌어 

 

이처럼 다양한 측면에서 학생들의 발달을 이끌 수 있는 모든 교육적 놀이가 바람직한 수업 놀이가 될 수 있다. 학교의 교육과정에 맞춰 의미 있는 학급 교육과정을 일선에서 내실 있게 실현하는 것은 교사의 역량이다. 현장의 많은 교사는 놀이 교육과정의 시·공간적 제약을 극복하고 수업 놀이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주우철 인천원당초 교사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