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잘 알려져 치열한 경쟁을 벌여야 하는 시장을 ‘레드오션’이라 하고, 반대로 현재 존재하지 않거나 잘 알려지지 않아 경쟁이 치열하지 않은 유망 시장을 ‘블루오션’이라 한다.
1848년 1월, 캘리포니아 농장의 공사 현장 책임자였던 제임스 마샬은 우연히 강에서 사금을 발견했다. 금이 발견되었다는 소식에 일확천금을 꿈꾸는 사람들이 캘리포니아로 몰려들기 시작했다. 하지만 그들 중 꿈을 이룬 사람은 막대한 자금으로 광산을 개발한 극소수의 사업가들뿐이었다. 그런데 금광을 개발한 사업가들보다 더 많은 돈을 번 청년이 있었다.
그 청년은 원래 금을 캐는 사람들에게 텐트를 만드는 천을 팔고 있었는데, 실수로 파란색 염료로 천을 염색해버렸다. 때가 덜 타는 검은색 천을 원하던 의뢰인은 구매를 취소했고 청년은 엄청난 재고로 쌓인 파란색 천 때문에 파산 직전이었다. 고민하던 청년은 당시 금을 캐던 인부들의 바지가 잘 찢어지는 것을 보고 질긴 텐트용 파란색 천으로 바지를 만들었는데, 비교적 저렴하고 질겼던 이 청바지는 날개 돋친 듯 팔렸다. 그렇게 만들어진 청바지는 오늘날까지 전 세계 남녀노소 모두에게 인기를 누리고 있다. 경쟁이 치열한 금광은 이미 시장으로서의 가치가 없는 레드오션이지만 청바지 시장은 블루오션이었던 것이다.
여전히 경직된 교육제도
지난 수십 년 동안 역대 정부는 과열된 레드오션을 바꿔보겠다며 수능(대학수학능력시험), 학종(학생부종합전형), 내신(지원자의 출신학교 성적), 수시(수시 선발전형), 정시(정시전형), 자사고(자율형 사립고등학교), 특목고(특수목적 고등학교), 평준화(고교입시 평준화) 등 수많은 교육 개혁안을 내놓았지만 바뀌기는커녕 레드오션을 더욱 빨갛게 달구기만 했을 뿐이다.
학교 또한 정부 방침에 따라 기존의 경쟁방식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하지만 아직도 주입식 교육과 획일화된 교육프로그램 운영이 주를 이루고 있어 창의성과 상상력을 키우고 블루오션을 개척하기에는 매우 미흡하다.
정부와 학교뿐만 아니라 학부모도 이 문제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다. ‘교육의 레드오션’에 뛰어들어 자녀 교육에 전적으로 매달리며, 숨 가쁜 경쟁 속에서 자기 인생의 상당 부분을 소모하고 있는 학부모가 적지 않다. ‘교육의 블루오션’을 찾기보다는 코앞의 고교 입시와 대학 입시 경쟁에서 앞설 수 있는 교육만이 학부모의 불안한 마음을 잠재울 수 있는 것이 현실이다. 결국, 국가와 학교, 가정은 창의성 교육의 당위성은 깊게 인식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이것과 거리가 먼 교육을 하는 것이 우리 교육의 현주소이며, 교실 수업의 모습이다.
‘다름의 창의성’에 초점 맞춰야
정치·경제·사회·문화적 이해관계와 긴밀하게 밀착된 기존 교육제도의 경직성을 타파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교육 자체에 창의성과 유연성을 접목하지 않고는 불확실성의 미래를 열어갈 수 없고, 미래 사회를 살아갈 수 있는 적응능력을 길러줄 수도 없다.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적 인재를 양성하려면 기존의 지식과 정보를 주입하거나 전달하는데 그치지 않고, 이를 새롭게 해석하고 판단하는데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 지식정보처리 능력, 사물을 추상화하는 능력, 체계적인 사고, 창의적 사고 등의 역량을 함양시키는 데 역점을 둬야 한다.
획일적인 주입식 교육은 비전이 없다. 아이의 개성과 재능을 발견하고 그것이 잘 성장하도록 돕는 것이 진정한 교육의 역할이다. ‘경쟁에서의 뛰어남’이 아닌 ‘다름의 창의성’에 초점을 맞춰 학생의 적성을 찾아주는 교육을 해야 한다. 이를 위해 교육의 틀을 과감하게 바꾸는 변화와 혁신이 필요하다. ‘교육의 블루오션’을 찾는 일이 시급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