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교육의 힘은 부모의 독서에 달려있다

2020.08.25 09:33:48

우리의 사회 일각에는 수많은 동우회가 운영되고 있다. 각자의 취미와 성향에 따라 특별한 목적을 가지고 조직한 소그룹이기에 참여자의 열성과 그로인한 효과도 잔잔한 울림을 주기에 충분하다. 그중에서 ‘책엄세’라는 동우회의 활동이 사회의 밑바닥에서부터 우리 교육을 바로 세우려는 노력을 견지하며 작은 감동을 주고 있다. 이는 바로 ‘책 읽는 엄마들이 세상을 바꾼다’는 취지로 운영되는 독서토론회다. 그 중심에 컨설팅과 강의, 글쓰기를 통해 대한민국의 경영 수준을 업그레이드하는 일에 몰두하며 변화를 갈망하는 CEO들의 멘토로 명성을 쌓고 있는 한근태 라는 컨설턴트가 있다. 그와 책엄세의 활동을 통해서 우리 교육을 바로 세우고자 하는 뜻을 공감하고 이로써 교육의 힘이자 중심인 가정교육에 대하여 주목하고자 한다.

 

국가 운영의 영역인 외교, 경제, 안보, 환경 등 모든 것이 중요하지만 우리에겐 그 어느 것보다 국가백년대계라는 교육의 힘은 말할 나위가 없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우리 교육은 6.25전쟁의 폐허 속에서 짧은 기간에도 불구하고 산업화와 민주화를 성취함으로써 세계역사상 유례가 없는 성공신화의 드라마를 쓴 주인공이다. 국가의 모든 부문에서 문제를 안고 있어도 교육이 바로 서면 얼마든지 해결을 할 수 있다. 반대로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모든 문제는 도저히 해결 할 수 없이 더 꼬이게 된다.

 

그렇다면 교육의 중심이 누구일까? 그것은 대통령도 교육부도 교사도 아니다. 바로 가정이 중심이 되어 이루어져야 하고 그 한가운데에 엄마가 있다. 아이는 엄마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다. 그래서 사람이 태어나 성장하면서 만나는 최초의 스승은 바로 엄마라 하지 않는가. 교사가 좀 이상해도 엄마가 바로 서면 그 아이는 제대로 성장할 수 있다. 아버지도 그렇다. 아버지 역시 아내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다. 아내가 공부하면 그 영향은 남편과 자식에게 가고 그럼 가정이 바로 선다. 따라서 ‘책엄세’는 엄마들이 주체적으로 책을 읽고 이야기를 나누면서 교육을 바로 세우고자 하는 취지로 적게는 8명, 많게는 12명 정도로 기준을 정해서 매주 달라지는 운영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잠시 <고수의 독서법을 말하다> 속으로 들어가 보자. 아이 둘을 키우면서 직장을 다니다 1년간 휴직한 슈퍼맘인 A씨, 그녀는 일과 육아를 병행하면서도 짬을 내서 자기계발을 하기 위해 책도 읽고 모임에도 나오게 되었다. 늘 수면이 부족하고 독박육아를 한다는 피해의식이 있었지만 삶이 힘들다보니 자꾸 일이 생긴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 3개월을 주기로 접촉사고를 내거나 아이가 아프거나 남편과 싸운다. 한근태는 그녀에게 “너무 열심히 살지 마세요. 지금 애 키우면서 직장 다니는 것으로 충분합니다. 본인을 너무 학대하지 마세요.”라고 위로를 건냈다. 그 후 몇 번의 만남이 이루어지면서 어느 날 그녀는 “사는 게 너무 힘들어 그동안 절 피해자라고 생각하며 살았어요. 그럼 가해자가 있어야 하잖아요? 그런데 가해자가 누군지 모르겠어요. 남편은 아니잖아요. 애도 아니고요. 책을 읽고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누면서 어느 순간 내 생각이 틀렸다는 생각을 했어요. 제가 너무 좁게 세상을 봤던 거 같아요.”라며 일종의 고해성사를 했다. 결국 그녀는 독서를 통해 자아성찰에 성공했으며 이후 남편과의 관계도 좋아졌고 얼굴에 광이 날 정도로 달라졌다. 또 다른 B씨를 보자. 10년 이상 직장을 다니다 1년 전쯤 그만두고 새로운 일을 준비 중이다. 언뜻 보기에 얼굴에 표정이 없고 힘도 없어 보였다. 오랜 직장생활로 번아웃(Burn out)이 된 것이다. 그런데 몇 번의 만남에서 그녀 역시 책을 읽고 독서토론회를 하면서 완전히 다른 사람이 되어 갔다. 얼굴빛이 달라진 것이다. 말하는 것에도 힘이 생겼고 자신감이 넘쳤다. 모든 사람이 이를 감지했고 본인도 변화를 실감했다.

 

이렇게 책을 읽으면서 엄마들이 달라져 간다. 호기심이 많아지고 세상 보는 눈이 달라진다. 다른 곳은 성형할 수 있어도 눈은 성형할 수 없다고 한다. 눈을 성형하는 최선의 방법은 운동하고 책을 읽고 글을 쓰는 것이다. 책엄세에서 만나는 엄마들이 바로 독서가 사람을 변화시키고 사람을 활력 있게 만든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다. 이렇게 해서 엄마는 가정에서 아이와 가족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특히 아이에겐 어느 훌륭한 교육자 못지않은 스승이 되어 충실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부모가 되면 늘 빠지지 않는 주제가 ‘아이 교육’이다. 아이 교육은 공부 잘하는 아이로 키우는 것만이 아니다.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자기 의견을 적극적이고 분명하게 표현하도록 하는 것이다. 현재 대한민국의 학생들은 공부는 좀 하지만 자기 의견이 없거나 있어도 표현하지 못하는 학생들이 많다. 이를 반영이라도 하듯 오늘날 우리 교육의 현주소는 대학생들의 모습에서 적나라하게 드러난다. 명문 대학이라도 예외가 없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강의를 꺼려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그 이유는 단순하다. 그들이 배움에 대한 욕구가 없고 눈도 마주치지 않으며 무언가 질문을 해도 답이 돌아오지 않는다는 것이다. 하물며 그들이 질문을 하는 것을 기대한다는 것은 거의 상상을 초월하는 것이다. 한마디로 시들시들하게 다 지쳐 있기 때문이다. 청춘인데 왜 이렇게 되었을까? 모두 기성세대의 잘못이다. 쓸데없는 공부를 억지로 시켜 ‘시들시들한 청춘’으로 만들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뭄에 콩 나듯이 아주 드물게 예외적인 경우가 없지도 않다. 서울 대형 병원의 기획조정실장인 C 씨는 자식을 잘 키운 것으로 소문이 나 있다. 아들은 미국의 프린스턴 대학을 나와 뉴욕 모건 스탠리에서 6년째 기업금융자문을 하고 있고, 딸은 컬럼비아 대학을 나와 뉴욕 매켄지에서 컨설턴트를 하고 있다. 최고의 학벌에 최고의 직업이다. 이들이 아버지의 권유로 코칭을 받게 되었을 때 그들은 뭔가 질문에도 자기 의견이 뚜렷하고 쑥스러워하거나 쭈뼛대는 것도 없었다. 설명도 조리 있게 잘하고 자기 삶에 대한 좌표도 분명했다. 그들은 자기 아버지에 대한 생각이 어떠냐는 질문을 받고 “거의 우리들 일에 간섭한 적이 없어요. 알아서 하게끔 뒤에서 지원만 해주세요. 화내는 걸 본 적이 없어요.”라고 말했다. 이런 자식들을 둔 부모인 C씨가 자녀 교육에 성공한 비결은 무엇일까? 바로 독서가 비결 중 하나다. 부모로 살면서 틈틈이 책을 읽고 또 자기 책을 쓰기도 하는 것을 보면서 자녀들에겐 무언의 교육으로 독서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그 무엇과 비교할 수 없는 결과를 창출했던 것이다.

 

사실 아이의 교육에 관한 이야기는 조심스럽다. 왜냐면 자식 이야기는 함부로 하는 게 아니라는 생각 때문이다. 고슴도치 사랑이라 하듯이 자기 자식을 어여삐 하지 않는 부모가 어디 있으랴. 또 아이 교육은 변수가 너무 많다. 지극정성으로 키워도 안 되는 경우가 있고, 대충 키워도 잘되는 경우도 있다. 단정적으로 무어라 말하기 어려운 주제다. 그럼에도 한 가지는 분명하다. 책을 많이 읽어주고, 책을 가까이 하게 하면 성적이든 적극성이든 지금보다 좋아질 확률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부모가 좋은 습관을 가지면 알게 모르게 그것이 자녀에게 전해진다. 그 좋은 습관에 독서만큼 중요한 것이 없다.

 

자녀 교육에도 톨스토이의 ‘안나 카레니나’의 법칙은 적용된다. “행복한 가정은 엇비슷하지만 불행한 가정은 그 이유가 제각각이다”는 법칙은 가정교육에 관한 대사로는 그야말로 으뜸이다. 당장 아이들이 공부할 때 함께 책을 읽으며 그것에 관해 이야기를 나누는 것을 실천함으로써 몸소 솔선수범을 보이자. 책 읽는 부모가 행복한 가정의 대명사다. 부모와 자녀가 서로 소통하면서 함께 하는 시간, ‘저녁이 있는 삶’을 책 읽기로 공유하자. 농작물이 농부의 발자국 소리를 듣고 자라듯이 아이들은 부모의 책 읽는 모습을 보면서 만 가지 이상의 자녀교육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가정교육의 힘은 부모의 독서에 달려있다.

전재학 인천 제물포고등학교 교감 hak0316@hanmail.net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