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학자이자 미래학자인 유발 하라리는 “미래 교육의 유일한 상수(常數)는 변화”임을 강조했다. 그렇다. 한마디로 우리는 모든 것이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시대를 살고 있다. 그렇다보니 이젠 삶의 어느 한 영역에서 어떤 것이 좋은 것인지는 과거의 관점과 현시대의 관점, 그리고 미래의 관점이 분명히 다를 수밖에 없을 것이다. 물론 교육 분야에서도 마찬가지다.
수십 년이 지나면서 교사의 역할도 변화했다. 표준화를 강조하던 테일러주의(Taylorism), 또는 포드주의(Fordism)가 출연한 이후 교사의 역할은 학생이 인생에서 성공하도록 준비시키기 위해서는 시험에서 성공하도록 준비시키는 것이었다. 매년 신임 교사들이 처음에는 열정을 가지고 아이들이 성공하도록 돕는 일을 열심히 하지만 결국 교육이 본질과 시스템이 그렇게 하도록 만들어지지 않는다는 사실을 금세 깨닫게 되었다.
현재에도 대부분의 교사는 아이들이 시험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길 바란다. 이는 교사들에게 요구하는 가장 큰 요구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깨어있는 교사들은 이러한 교육 시스템으로 인해서 끊임없이 교육개혁을 부르짖고 있다. 교사는 동기부여를 하는 사람이라기보다는 시험에서 기적을 전하는 사람으로 바뀌어 있다. 이젠 다시 역전되어야 한다. 교사의 최종 목표는 아이들에게 내재된 열정과 독특한 재능을 알아보고 살리는 것이어야 한다. 이것은 시험을 대비해 가르치는 것으로는 이루어질 수 없는 일이다. 교사는 가정 과외 교사처럼 시험 대비를 위해 고용된 것이 아니다. 또한 교사 자신도 역할을 바꾸어 자신의 잠재력을 이끌어내야 한다.
그렇다면 교사의 역할이 어떻게 바뀌어야 하는가? 교사는 더 이상 교과서에서 읽을 부분을 정해주고, 정보 암기를 위해 연습문제지를 내주고, 표준 시험에 의지해 학생을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이 타고난 재능을 발견하도록 돕는 것이어야 하고, 정보 전달자(informer)에서 학습 조력자(facilitator)로 바뀌어야 한다. 조력자는 전통적인 교사 역할을 수행하는 대신, 확장 가능한 질문을 던지고, 확장 가능한 활동을 통해 학생을 지도하며, 개인 맞춤 피드백을 제공하고, 학생에게 관련성이 있으면서 마음을 끄는 수업을 해야 하며, 현실에 존재하는 사례와 가상의 사례를 제시하고, 협력과 창의성을 촉진하며, 문제해결 행동의 모범을 보여주고, 학생들이 학습에 적극 참여하게 하는 것 등을 수행해야 한다.
과거 ‘오픈 북’ 시험이 유행하던 때가 있었다. 이는 상당한 착각을 불러일으켰다. 암기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더 쉽다고 생각하는 오해를 범하게 만든 것이다. 결국 잘 설계된 오픈 북 시험은 가장 어려운 시험 유형임을 알게 되었다. 이런 시험을 잘 보려면 어떤 정보를 어디서 찾을지, 그리고 문제의 맥락에서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알아야 한다. 그런 다음에 적절하게 설명할 수 있어야 하고 타당한 논의와 답을 전개시켜야 한다. 이런 유형의 시험은 평가수단으로써 뿐만 아니라 학습 수단이기도 하다. 현재의 시험으로 구글, 위키피디아, 시리(siri)가 대답할 수 있는 질문은 잘못된 질문이다. 이젠 아이들에게 이미 정해진 질문과 답을 제시하는 것은 멈추어야 한다.
현재의 교사는 디지털 네이티브(Digital Natives) 세대를 가르친다. 이것은 그들이 콘텐츠 소비자보다는 창작자가 되고 싶어 하는 적극적인 학습자라는 사실을 인지할 것을 요구한다. 여기엔 도전 기반 학습(CBL: Challenge based learning) 같은 탐구력을 유발하거나 물리적인 또는 가상의 모의실험, 학생 기반 포트폴리오, 전시, 현장학습, 연사 초청, 학생의 의견과 참여 등을 활용해야 한다. 특히 이젠 학생의 선택보다는 학생의 의견에 집중해야 한다. 예컨대 수업 규칙, 교재, 학습 진행과정 등을 결정하는 데 학생들의 의견이 반영되어야 한다. 실제로 이를 실행한 몇몇 실험은 학생들의 자신감, 동기 부여, 시험 점수와 성적이 상당히 올랐음을 결과로 밝혀 왔다.
이제 교사는 전문지식이 교사의 가장 중요한 자질이라는 생각을 버려야 한다. 오늘날은 마우스로 클릭하거나 손가락으로 두드리거나 문지르면 콘텐츠를 찾을 수 있는 시대다. 디지털 원주민인 오늘날의 학생들에겐 맥락(context) 전문가로서의 교사가 필요하다. 이들에겐 ‘누가’와 ‘무엇’을 가르치는 것에서 ‘왜’ 그런지 이유를 확실히 전달해야 한다. 예컨대 “왜 내가 이걸 알아야 하지요? 이것이 왜 중요한 것이지요?” 라는 질문을 충족시켜야 한다. 즉, 교사의 역할은 가능한 한 학생들의 세계, 눈높이와 연계되어야 한다. 이것이 학생들이 진정으로 배우고 싶어 하고 지속적으로 학습에 몰두하게 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미래엔 맥락 전문가인 교사가 가장 필요한 역할을 할 것이고 이로써 가장 훌륭한 교사로 인정을 받을 것이다. 최근에 테크놀로지 세상에서 자라는 어느 한 초등학교 아이의 말은 이 모든 변화를 실감나게 증명하고 있다. “사랑해요, 할머니. 하지만 할머니 댁에 와이파이가 되기 전까지는 밤에 자고 갈 수 없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