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코로나19라는 초유의 상황에도 우리 선생님들은 아이들의 안전과 건강, 성장을 위해 헌신했다. 일부는 선생님들에게 일하지 않는 그룹이라고 망언하고 교육 무용론까지 들먹였지만, 자신의 자리를 굳건히 지켰다. 현재 진행형인 코로나19는 나아질 거라는 확신이 없는 상태지만, 역설적으로 우리 교육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던 시간이었다.
무색무취의 인천교육
지난 한 해, 인천교육은 무엇이라 평가하기 어려울 정도로 색깔이 없었다. 방역과 안전이 중요한 상황에서 ‘어쩔 수 없었다’고 평가할 수도 있겠지만, 다른 시도와 비교해도 눈에 띄는 정책은 찾아볼 수가 없었다. 그저 다른 교육청을 따라가기에 급급했다고 보인다. 오죽하면 ‘서울과 경기에서 어떤 정책이 나오면 2~3일 후에 그대로 반영된다’는 말이 돌 정도로 무능하기 짝이 없었다. 과거 인천교육은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나름의 색을 갖고 특색 있게 운영됐다. 하지만 현재는 어떤 색깔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최근 발표된 인천교육청의 2021학년도 정책 방향을 보면, 여전히 인천교육을 어떻게 강화하고 이끌어 갈 것인지에 관한 내용은 나타나 있지 않다. 언제까지 무색무취의 상황으로 인천교육을 방치할 것인지 걱정스럽다.
관성에 얽매인 행정·정책
지난해는 특히 교육정책이 급격하게 변화했다. 코로나19 상황에 따라 시시각각 변하는 정책을 언론을 통해 접하는 어처구니없는 일들이 벌어졌다. 언론으로 듣고 2~3일이 지난 후에야 학교에서는 공문을 받는 일이 아직도 반복되고 있다. 공문이 시행되지 않아 대책을 세우지 못하는 상황에서 학부모들의 민원에 시달려야 했다. 새해에는 반드시 개선돼야 한다. 인천교육청은 학교 현장과 먼저 소통하고 학교에서 필요로 하는 정책을 빠르게 안내하는 시스템을 하루빨리 마련해야 한다.
위기 상황에서 학교 현장을 더 힘들게 한 것은 관성에 얽매인 행정과 정책이었다. 일례로 중학교 신입생들은 코로나19로 인해 단 일주일도 교복을 제대로 입지 못했는데, 일선 학교에서는 교복 만족도 조사를 교육청에 보고하라는 공문을 받았다. 현실적인 어려움을 제기했지만, 시의회에 보고하기 위함이라는 제출 이유를 회신받았다. 무엇이 중요하고 우선인지 한 번이라도 더 생각하는 교육청이 돼야 한다.
올해 예산도 대폭 삭감된다고 한다. 학교마다 차이는 있지만, 5000만 원가량의 예산을 줄여야 하는 상황에 처해있다. 예산을 늘려도 모자란 판에 필수적인 교육 활동조차 어려워질까 봐 우려스럽다. 한 개인의 치적을 위해 각종 무상 정책을 밀어붙일 것이 아니라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예산 편성 운영이 필요하다.
2021년도에도 여전히 힘든 현실이 우리 선생님들을 기다리고 있다. 하지만 선생님들의 헌신과 신념을 믿는다. 인천교총도 그 길을 함께 걸으며 응원할 것이다. 오늘의 쓴소리가 인천교육의 발전에 작은 보탬이 될 수 있기를 간절하게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