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학교가 외면 받고 있다. 학생, 학부모, 지역주민 등 수요자는 물론 교원과 교육공무원들에게도 기피 대상이다. 교육 전문가들 역시 반대 일색이다. 교육부와 진보교육감의 혁신학교 확대에 반대 기류가 확산되고 있다. 혁신학교의 현실과 문제점을 진단하고, 교육 본질을 찾아가는 길을 모색해본다. <편집자 주>
[한국교육신문 한병규 기자] “그렇게 좋은 학교라고 권하는 이들이 왜 자기 자녀들은 안 보내나?”
혁신학교와 관련된 논란에서 늘 빠지지 않는 비판이다. 혁신학교 정책을 추진하는 고위직 공무원들이 좋다고 칭찬하면서 외면하는 현실은 모순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혁신학교 확대’를 공약으로 내세웠지만 청와대 인사들조차 자녀를 혁신학교에 보낸 이는 ‘제로’다. 전희경 전 국민의힘 국회의원이 2019년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당시 장관 자녀 중 혁신학교에 다니거나 졸업한 경우는 없었다. 해외 명문학교, 자율형사립고(자사고), 특수목적고(특목고) 등 대입에 유리한 학교를 보냈다.
그 공약을 수행하는 교육부도 사정은 비슷하다. 소속 공무원의 자녀들은 자사고, 특목고 등에 다닐 뿐 혁신학교 재학 중인 경우는 거의 없다. 김해영 전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이 2018년 교육부에서 받은 ‘교육부 공무원 자녀 고교 재학 현황’을 살펴보면 고교에 재학 중인 교육부 공무원 자녀 64명 중 혁신학교 재학은 단 1명에 그쳤다. 나머지는 대부분 대입 실적이 좋은 전국 단위 자사고 등에 보내고 있었다. 그러면서 교육부는 전국의 자사고, 외고, 국제고를 일반고로 전환하기로 한 상황이다.
정책 방향과는 다른 교육부 공직자들의 행태에 대한 비판이 나온 건 당연했다.
혁신학교 정책을 앞장서서 펼치던 서울시·경기도교육청의 고위직 자녀 역시 혁신고교를 다니거나 졸업한 학생은 손에 꼽는다. 곽상도 국민의힘 국회의원이 지난 2018년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지역 교육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4급 이상 공무원 자녀 중 혁신고교를 선택한 학생은 32명 중 단 1명에 불과했다.
혁신학교를 전국에서 가장 먼저 도입한 경기교육청의 경우 4급 이상 공무원 자녀 12명 중 전원이 일반고를 졸업했거나 재학 중이었다. 그나마 혁신학교에 재학 중인 1명은 해당학교가 일반고일 때 입학한 경우다.
서울교육청도 마찬가지다. 고위 공무원 자녀 14명 모두 혁신학교와는 거리를 뒀다. 인천시교육청에서는 고위 공무원 자녀 6명 중 1명이 혁신학교에 재학 중이었다.
곽 의원은 “혁신학교에 수백억 원의 예산을 쏟아 부으며 시민들에게 혁신학교가 좋다고 권장해놓고 정작 교육청 고위공무원들 본인의 자식들은 혁신학교로 보내지 않고 있던 이중적인 행태가 적나라하게 드러났다”며 “이제 모두가 보내고 싶은 잘 가르치는 학교를 만들고자 노력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