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마을에서 책읽기-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

2021.02.02 08:57:42

군대에 간 아들 이름으로 택배가 도착하였다. 상자에 책이 가득하였다. 무슨 일인지 궁금해하는 데 전화가 왔다. ‘병 자기개발 지원금’ 복지제도가 있는데 책을 사면 지원이 되어 주문했는데, 실수로 집 주소로 보냈다고 한다. 다시 군대로 보내 달라고 한다. 알겠다고 하고 무엇을 주문했는지 살펴보니 유시민 작가의 책과 김영하 작가의 소설, 전경일 작가의 『조선 남자』와 인문학 관련 책 몇 권이 보인다. 그중 김영하 작가의 소설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를 읽기 시작하였다. 책이 얇아 일요일 오후에 읽기 적당해 보였다.^^

 

이 책의 제목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는 소설가 프랑수아즈 사강이 법정에서 마약 혐의로 기소되었을 때 말한 변론에서 따온 것이라 김영하 작가가 방송 프로그램에서 말했다고 한다. 첫 장면에 다비드의 유화 <마라의 죽음>에 대해 서술되어 있다. 그래서 얼른 인터넷 검색하여 그림을 찾아보고 그 내용도 살펴보았다. 그림이 중요한 모티프인 듯하여 소설을 읽으며 그림도 읽었다.

 

이 소설의 주인공은 다른 사람의 자살을 도와주는 일을 한다. 그는 마치 화집에서 죽음에 관련된 그림을 바라보는 것처럼 죽음을 바라볼 뿐이고, 그가 해줄 수 있는 일은 삶에 지친 이들을 잠시 도와주는 것뿐이다. 다비드의 그림은 작품의 정조를 아우르며, ‘세연’에게 투영된 크림트의 <유디트>는 판타지 서사로 변형되어 나타나며, 들라크루아의 <사르다나팔의 죽음>은 이 모든 것을 완결 짓는다. (현진현, 평론, 대중문화의 소설적 교란 참고)

 

죽음의 이미지로 가득한 소설이다. 죽음을 주재하는 자, 죽음으로 다가가는 자, 죽음을 즐기는 자 등의 회화적 이미지와 소설은 교차하면서 죽음을 일상적인 모습으로 다룬다. 권영민 교수는 “정교하고도 구체적인 묘사를 통해 죽음이라는 소재를 다루고 있기 때문에, 죽음이 어둡고 음습하게 격리되어있는 것이 아니라 독자들의 일상에 가까이 있는 것으로 만들고 있다. 그리고 죽음은 삶의 문제로 곧바로 치환된다. 죽음 그 자체는 삶과 분리되지 않는 또 다른 삶의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라고 하였다.

 

살아있음과 죽음이 삶 속에서 씨실과 날실처럼 교차하여 서술된 김영하 작가의 소설은 다분히 몽환적이고 매력적이다. 어둡고 무거운 주제를 탁월하게 가볍고 일상적으로 만들어 내는 능력이 엿보인다.

 

책들을 군대로 다시 보내기 위해 상자에 책과 편지도 넣었다. 눈이 많이 내린 그곳에서 눈 치우기를 했다는 녀석은 감기에 걸려 병원에 다녀왔다고 한다. 어두운 소설을 주문해서 걱정했더니 과자가 먹고 싶단다고 했다. 아들이 좋아하는 과자도 같이 보내야겠다.^^ 코로나로 휴가를 못하는 군대에 있는 대한민국의 아들들이 건강하기를 기도한다. 봄이 오면 달라지기를 기대하면서...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 김영하 지음, 문학동네, 1996

이선애 수필가, 경남 지정중 교사 sosodang@naver.com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