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교직에 있는 부모들은 남다른 자녀교육 비법을 가지고 있거나 자녀교육을 훨씬 수월하게 할 것이라고 기대하는 사람이 많다. 가르치는 직업에 종사하는 부모니까 자신의 아이들을 가르칠 때는 더 잘할 수 있을 것이라는 논리이다. 그런데 겪어보니 현실은 달랐다.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쳤기에 사춘기 청소년에 대해서는 누구보다 잘 안다고 생각했는데 막상 우리 아이 사춘기가 너무나 낯설고 힘들게 느껴졌다. 학교에서 아이 또래의 학생들을 많이 만나왔는데도 정작 내 자식 사춘기에는 ‘설마 우리 아이가 이럴 줄은…’ 하고 당황하고 분노하면서 보냈다.
교사는 자녀교육도 잘한다?
사춘기 제자들을 교육했던 경험이 우리 아이의 교육에 왜 큰 도움이 되지 않았을까? 수업 시간과 일과 중에 마주했던 제자들과의 제한적 소통은, 태어나면서부터 지금까지 계속 이어온 우리 아이와의 전인격적인 소통과는 상당히 달랐다. 제자들을 지도하면서 섭섭함을 토로하거나 화를 낸 적도 있었지만, 감정보다는 이성적 판단으로 대하려고 노력했다. 그런데 내 아이에게는 부모로서 이런 모습, 저런 모습을 다 보여주면서 이성보다는 감정적으로 대할 때가 많았다. 학교에서는 제자들에게 높임말을 쓰면서 존중해 주는 젠틀한 교사였지만, 가정에서는 끊임없이 간섭하고 훈계하는 잔소리꾼이었다.
교사로서의 경험이 자녀교육에서는 그다지 도움이 되지 않았던 또 다른 이유는 자식에 대해 부모들이 갖는 일반적인 기대에다 교사의 높은 기준까지 덧붙여지면서 아이와의 소통이 더욱 힘들었다는 점이다. 성실하고 예의 바른 학생들을 보면 ‘우리 자녀도 이렇게 자랐으면’ 하고 생각했고, 반항적이거나 학업에 소홀한 제자들을 보면 ‘우리 아이가 저렇게 행동하면 어쩌지?’ 하고 우려했다. 여러 제자의 사례를 보다 보니, ‘내가 교사인데 우리 아이 교육만큼은 철저하게 시켜야지’ 하는 생각이 마음속에 자리 잡으면서 결국 강박관념으로 굳어졌다. ‘우리 자녀는 예의도 바르고 공부도 잘해야 하고…’ 교사 부모의 한층 더 높은 기대와 기준이 생겼다.
높은 기준은 소통 어렵게 해
자식에 대해 높은 기준을 가진 교사 부모들은 자녀가 그것에 맞게 행동할 때는 자녀와 원만하게 지낼 수 있지만, 자녀가 이에 맞지 않게 행동하거나 반항할 때는 더 심한 갈등을 겪을 가능성이 있다. 초등학생 때 모범생이었던 아이가 중학교 때 심하게 반항하면서 큰 어려움을 겪었던 것도 어쩌면 교사 출신 부모의 강박관념과 높은 기준으로 아이를 힘들게 했기 때문이었을지 모른다. 사춘기 자녀와 갈등의 시간을 보내면서 깨달은 점은 부모의 욕심, 강박관념 그리고 높은 기준이 자녀와의 소통에 방해가 된다는 것이다. 욕심을 내려놓아야 자녀와 원만한 관계를 회복할 수 있다. 교사도 가정에서는 부모다. 자신을 옭아매고 있었던 교사로서의 높은 기준에서 우리 스스로 자유로워져야, 그러한 기준을 우리 자녀에게 적용하게 되는 실수를 범하지 않게 된다. 자녀를 교육할 때도 모범이 돼야 한다는 강박관념에서 벗어나야 아이를 믿어주고 기다려 주면서 우리도 함께 성장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