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비자의 ‘오두’에서는 스승이 가르쳐도 변할 줄을 모르며 스승의 지혜가 더해져도 끝내 미동도 하지 않는 어리석은 인물을 비유한 대목이 나온다. 이어서 정직하고 성실한 인물을 양성하지 않으면 나라는 망하고 조정은 무너지고 말 것이라고 주장한다.
조선 시대의 교육자이자 공직의 청백리인 퇴계 이황은 ‘사생지간 우당이예의 위선 사엄생경 각진기도(師生之間 尤當以禮義 爲先 師嚴生敬 各盡其道)’라고 했다. 스승과 제자 사이에는 더욱 마땅히 예의를 우선하며 스승은 엄하고 제자는 공경해 각자 그 도를 다해야 한다는 의미다. 가르치는 자와 배우는 자의 관계가 깨어지면 가르침이 될 수 없고 배움이 될 수 없음을 경계하는 말이다.
존경 문화 찾아보기 어려워
교육은 엄함과 존경이 없으면 이루어질 수 없다고 했지만, 지금의 사회와 학교 그리고 가정에서는 엄하게 가르치는 이도, 존경하는 이도 찾아보기 어렵다. 코로나19 사태 방역 피로감이 누적되면서 방역수칙에 대한 경계심이 느슨해짐에 따라 아이들의 태도 역시 느슨해졌다. 비말 전파 차단을 위해 설치한 칸막이는 교실에서 학생 상호 간 대화뿐만 아니라 학생과 교사와의 상호작용도 위축시켰다. 설상가상으로 몇몇 학생들은 수업 시간에 조는 것이 아니라 잠을 잔다. 밤새 휴대전화를 들여다본 여파가 나타나는 것이다. 학생 지도를 위해 깨우면 짜증을 낸다. 참을성이 없고 괴성까지 지른다.
대학도 다르지 않다. 법적으로 성인인 대학생조차도 자기에게 조금이라도 불이익을 초래하면 존경하는 교수에서 갑질 교수로 호칭이 바뀐다. 교수님 가르침 덕분에 교육에 관한 생각을 성장시킬 수 있었다는 자세는 본인 주장이 관철되지 않으면 불과 보름 남짓 만에 그 모습을 바꾼다. 대학본부, 국민신문고에 민원을 게재해 목적이 관철될 때까지 교수와 학생이 아닌 갑과 을의 관계가 된다. 본인이 정의라고 생각하기에 주저 없이 자신을 가르친 교수를 갑질 교수로 낙인을 찍는다. 초등학생부터 대학생에 이르기까지 스승존경은 사라진 지 오래다.
다시금 스승을 생각한다
코로나19가 언제 종식될지 불확실한 상황에서 수업 방법도, 학교 교육도 빠르게 변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 성인은 많은데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어 줄 어른이 적다. 학교 현장에 교사는 많은데 존경할 스승이 적다. 훌륭한 선생은 교사가 아니라 스승이 돼야 한다. 스승은 제자에게 올바른 삶의 모습을 보여주고, 제자는 스승의 모습에서 지혜를 얻고 그 모습을 배워 훌륭한 인재로 성장한다. 빨간 장미가 활짝 피는 오월. 가르치는 일이 좋고 교단에 서는 것이 설렜던 그 마음으로 스승을 다시금 생각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