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끌벅적, 와글와글 떠들고 신나던 학교가 코로나19로 조용하다. 코로나19가 장기화하면서 학생들이 예전 같지 않다는 현장의 소리에 마음이 아프다. 교육지원청에서 학교폭력 업무를 전담하면서 학생들이 현재 상황을 매우 힘들어하는 모습을 보곤 한다.
위기에 빠진 학생들
학교폭력에 노출된 학생들을 보면, 외로움 때문에 SNS로 친구를 맺고 대화를 나누다 사이버폭력과 언어폭력을 행사하는 실정이다. 행위의 심각성을 모른 채 장난으로, 심심해서, 재미있어서 그랬다는 식의 단순한 논리로 학교폭력인지도 모르고 학교폭력을 행사하고 있다.
학생들의 자살, 자해 건도 코로나19 발생 이전보다 월등히 높아졌다. 모든 선생님이 나서서 잦은 상담과 생활지도를 위해 노력하지만, 학생들이 순간순간 밀려오는 상황을 이겨내지 못하고 극단의 선택을 하고 있다. 위기 학생이 늘고, 학교폭력이 증가한 상황에서 학교 현장은 어떻게 대비해야 할까.
우선, 담임교사의 3분 투자를 제안한다. 담임교사는 조·종례 시간을 활용해 학교폭력 유형에 따른 사례를 알려줘야 한다. 학교폭력의 심각성과 피해 학생이 겪는 아픔을 자신도 겪을 수 있다는 점을 인식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지지와 공감도 중요하다. 요즘 학생들은 예민하다. 툭 건드리면 터질 것 같지만, 마음은 여리다. 큰소리치면서 흥분한 학생이 찾아오면, 잠시 호흡을 가다듬고 기다려 주길 바란다. 씩씩대는 학생에게 윽박지르기보다 “너 괜찮아? 많이 힘들어 보인다. 잠시 물 좀 마시고 쉬었다가 어떤 일인지 얘기해 줄래?”라고 말하자. 진정되면 이야기를 들으면서 공감하고 지지하고, 격려해주다 보면 금세 편안해진다.
학폭 예방 교육에 힘써야 할 때
회복적 생활지도와 비폭력 대화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 학교폭력 사안이 발생하면, 5주에서 8주 정도 걸려서 사안이 처리된다. 이 과정에서 피해 학생과 가해 학생의 마음이 닫히는 것을 본다. 학생들의 관계를 회복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통해 조금이라도 서로를 알아가는 시간을 만들어주면 좋겠다. 사이버폭력 사안 자료를 보면, 채팅방에서 학생끼리 공격적인 발언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감정을 먼저 표현하기보다 있는 그대로 보고 느낌을 말하고, 요구하는 방식의 비폭력 대화법을 알려줘야 한다. 마셜 B.로제버그의 책 ‘비폭력 대화’를 읽어보길 추천한다.
학교폭력은 틈나는 대로, 보는 대로, 시간 나는 대로, 지속해서 교육해야 한다. 2학기 전면등교를 앞두고 우리가 무엇을 도와줄 수 있을지 고민해야 할 때다. 교육자로서 학교폭력 예방 교육에 그 어느 때보다 힘써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