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님! 선생님 때문에 업무가 진행이 안 돼요. 내일까지 수행평가 기준안 수정해주세요.”
“네? 지금 퇴근해서 집이고 내일은 토요일인데 월요일에 드리면 안 되나요?”
“선생님, 연수 안 받았어요? 어떻게 일을 이런 식으로 처리할 수 있어요? 양식 하나도 못 맞춰요? 내일 오전까지 얼른 정리해서 주세요.”
“선생님, 저는 2주 전에 파일 드렸고 그 기간에 충분히 검토하실 수 있었잖아요. 왜 하필 금요일 저녁에 전화해서 주말에 달라고 하시는지 이해가 안 되네요. 너무 하신 거 아니에요?”
민우(가명) 선생님과 승열(가명) 선생님. 업무 때문에 옥신각신이에요. 평가 담당인 민우 선생님은 수행평가 기준안을 보고 양식이 안 맞는다며 전화를 했어요. 그것도 금요일 저녁 7시 30분에요. 수화기 너머로 자신은 토요일에 출근해서 업무를 정리할 예정이니 토요일 오전까지 처리해달라고 말하는 거예요. 승열 선생님은 갑자기 ‘뜨아~!’하는 마음이에요. 2주 전에 메신저로 파일을 보냈는데, 갑자기 금요일 저녁에 전화해서는 내일까지 해 놓으라고 명령을 하는 민우 선생님. 덕분에(?) 편하게 쉴 수 있는 주말에 마음 불편하게 업무를 하게 생겼어요.
안타까운 갈등 상황. 누구의 잘못 때문에 벌어진 것일까요? 두 선생님 다 비슷비슷하게 잘못한 것 같아요. 민우 선생님은 승열 선생님이 2주 전에 준 파일을 한참을 두었다가 제출기한이 다 되어서 급하게 본 게 잘못. 승열 선생님은 양식에 맞춰서 주었으면 좋았을걸, 양식이 틀렸던 게 잘못. 문제는 둘 다 비슷하기 때문에 감정 소모를 하면서 싸웠다는 것이지요. 서로 편안하게 절충하면서 ‘대화’를 할 수도 있었지만, 상대방을 헐뜯으면서 감정 소모를 했다는 게 너무 안타까워요.
갈등의 상황에서 우리는 시시비비를 가리기도 해요. ‘당신은 000을 잘못했고, 나는 000을 잘못했다.’ 이렇게 잘잘못을 따지는 것. 그건 당연한 거예요. 그런데 잘잘못을 따지는 것과 감정을 건드리는 것은 별개의 문제에요. 우리가 누군가와 얽히고설켜서 업무를 할 때는 서로에게 업무상 바라는 것이 있어요. 그것이 충족되지 못했을 때, 갈등의 시작이 되지요. 누군가는 그런 상황을 물 흐르듯이 넘어가고 누군가는 폭발하게 된다는 점이 안타까워요. 만약, 우리가 민우 선생님과 승열 선생님처럼 폭발하지 않으려면 어떻게 말해야 할까요? 아마 각자 해야 할 말이 다를 거예요.
우리가 민우 선생님이었다면 먼저 금요일 저녁에 전화한 것부터 미안해해야겠지요. 2주 전에 준 파일을 발효식품처럼 그대로 묵혀두고 있다가 한참 지나서야 확인했던 것을 미안해하면서 ‘협조해주세요.’라고 말했어야 하지 않을까 싶어요. 만약 승열 선생님이었다면 처음에 양식에 맞춰서 업무를 하지 않았던 것에 미안함을 느껴야 할 거고요. 양식에 맞게 했다면 전화를 받을 일이 없었을 테니까요. 잘못의 경중은 각자 느끼기에 따라 다르겠지만 둘 다 잘못한 것이 있으니 각자 자신의 잘못을 미안해하는 데서부터 대화가 시작되어야 하지 않을까 싶어요.
“선생님, 금요일 저녁에 전화해서 미안한데요….”
“선생님, 제가 양식에 맞춰드리지 않아 죄송해요….”
서로 대화하는 가운데 이런 말 한마디가 들어가 있었다면 조금 더 매끄럽게 상황을 흘려보냈을 거예요. “당신이 하는 말이 당신의 세상을 바꾼다.” 임상 심리학자 마셜 로젠버그가 그의 책 『비폭력 대화』를 통해 남긴 말이에요. 우리의 말이 우리의 세상을 바꿔요. 똑같은 말이라도 상대방을 자극하지 않고 조곤조곤 말할 수 있다면 우리의 세상은 조금 더 평화로워질 거예요. 같은 업종(?)에 있는 우리끼리라도 서로 편안하게 말하고, 평화롭게 살 수 있으면 좋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