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가 발생한 지 만 2년이 지난 지금, 오미크론 변이 등으로 여전히 마음을 놓을 수 없는 상황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새로운 코로나 방역 시스템 가동과 교육부의 신학기 등교 수업원칙 발표에 거는 기대도 크다. 앞으로는 확진자 수보다 위 중증 환자에 역점을 두어 관리한다면 학교 교육도 코로나의 영향에서 벗어나 좀 더 자유롭게 전개될 수 있을 것이다.
학생 사회성 회복부터
다가오는 3월부터는 그동안 소홀했던 것에 초점을 맞춰 지도해 나가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도 학생들의 사회성 회복이 중요하다. 원격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학교의 중요한 기능이 학생 간의 교류와 관계성이다. 학교의 수업 시간, 특기 활동, 방과 후 학교 등을 통해 서로 만나 대화를 나누고 의견을 교환할 때 관계가 맺어지고 사회성이 발달하며 타인에 대한 이해의 폭이 넓어진다. 이제는 교실과 운동장, 급식실, 강당 등에서 성장단계에 맞는 사회성을 기를 수 있도록 학교 본래의 교육 모습을 되찾아야 할 것이다.
또한 다양한 행사를 통해 학생들이 창의력과 문제해결력을 기르도록 해야 한다. 온라인으로 진행하던 입학식, 졸업식, 체육대회, 축제, 수학여행, 수련 활동, 창의적 체험활동 등을 정상적으로 운영해 학생들이 자치적으로 계획·진행하고 결과를 환류하는 과정을 스스로 체험하도록 지원해야 할 것이다. 이런 활동은 공교육기관만 할 수 있는 것으로 공교육에 대한 신뢰 제고와 교육의 본질을 찾는 중요한 기회이기도 하다.
학력 제고에도 힘써야 한다. 불가피한 선택으로 원격수업을 운영했지만, 학생의 수업 태도를 실시간으로 체크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교육 편차가 더 벌어졌다. 각종 평가에서 코로나 이전의 학력 분포와는 다른 결과가 나타나고 있다. 이제 학교는 학생 눈높이에 맞는 다양한 학력 신장 프로그램을 운영해 학력 사각지대가 없도록 노력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교사도 본연의 모습을 회복해야 한다. 원격 조종례, 수업 참여 독려, 새로운 수업방식 도입 등 많은 애를 썼지만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무기력해지기 일쑤였다. 이제 전면등교 시대를 맞아 적극적인 모습으로 학생을 대하고 발전된 교수학습법으로 학생을 지도해야 한다. 다양한 수행평가와 학생의 가능성을 끌어내는 질문법 등으로 지도한다면 교사는 가르치는 보람을, 학생은 배우는 즐거움을 누릴 것이다.
학교 본연의 모습을 기대
"코로나 때문에"라는 말은 지금까지 모든 것을 움츠리게 하는 공통된 이유였다. 더이상 학교 교육을 원격으로 운영하기는 한계에 다다랐다. 학교 교육이 ‘인터넷 강의’나 ‘유튜브’가 제공하는 것과 별반 다를 게 없다면 공교육은 본질을 잃은 채 무한정 표류할지 모른다.
학생들은 설레는 마음으로, 학부모는 기대감으로, 교사는 반가움으로 교육 현장이 활기를 띠는 3월이 그 어느 때보다도 간절히 기다려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