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미크론 대확산이라는 사태 속에서 개학을 맞이하고 있다. 3월 정상 등교와 교육 회복을 위해 학교를 지원해야 할 당국이 방역마저 학교에 떠넘기고 있어 개학을 준비하는 학교 현장은 그야말로 아수라장이다.
걱정과 두려움 가득한 2월
과거 2월은 새로운 만남과 출발을 준비하는 기대와 설렘으로 가득했다. 그러나 코로나 이후 2월은 걱정과 두려움이 가득하다. 너무나 당연했던 대면수업을 위해 많은 준비와 각오가 필요하다. 학사운영계획과 등교 방안, 새 학년 교육과정을 수립하고, 원격수업과 격리 학생의 대체수업도 대비해야 한다. 거기에 방역을 고려한 학교·교실 환경 조성, 스마트기기 확보·정비, 돌봄, 방과후 학교까지. 이렇게 여러 상황을 고려해 준비하지만, 왜 그렇게밖에 못하느냐는 민원은 각오해야 한다.
그런데 최근 발표된 교육부 방침은 학교 현장을 한층 더 혼란에 빠뜨렸다. 3월부터 학교가 재학생 감염 상황에 맞춰 등교 수업 방식을 정하고 역학조사와 진단검사까지 하게 해서다. 1~2년차 때보다 방역·행정의 짐을 덜어주기는커녕 보건당국이 하던 업무까지 더 부과한 방안에 교원들은 혼란스럽다. 방역 업무로 학교가 마비돼도 좋다는 것인지, 아니면 교육은 접어두고 방역과 돌봄만 하라는 것인지 알 수 없다는 푸념이 나온다. '지역별·학교별 특성을 고려한 유연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방역 및 학사운영 체계를 대폭 전환한다'는 명분으로 교육당국은 예산만 지원하고 모든 것을 학교에 떠넘기는 모양새다.
교직원에게 과도한 방역·행정 업무를 떠넘기면 정작 정상 등교의 목적인 교육활동은 소홀해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학교가 교육에 전념하도록 질병당국과 교육청, 방역지원인력이 방역과 행정을 전담하는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교직원 등의 확진·격리 시 대체 인력 채용을 지원하고 채용 절차를 간소화해야 한다. 특히 올해는 정규교사 충원이 부족해 기간제교사 구인 대란이 벌어지고 있다. 충분한 인력풀을 구축하고, 비상 상황이 끝날 때까지라도 채용 절차도 간소화해 민첩히 대응하게 해야 한다.
명확한 학사 운영 유형 결정 기준도 제시해야 한다. 의료 전문가가 아닌 교원이 기준을 마련하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과중한 업무가 돼 교육의 질 저하와 여러 혼란을 야기할 것이다.
적어도 현장과 먼저 소통을
교육부는 항상 학교와의 소통은 뒤로 한 채 각종 방안을 언론을 통해 먼저 발표한다. 발표 직후 문의와 민원이 빗발치지만 어떠한 지침이나 안내도 받지 못한 학교는 제대로 대처할 수가 없다. 이런 사정을 모르는 학부모들은 학교를 무능하게 여기고 불신하는 일이 반복된다.
교육당국이 적어도 현장과 먼저 소통하며 의견을 반영한다면 학교는 더 힘을 내 어려운 시기를 헤쳐나갈 수 있을 것이다. 교육 현장의 어려움을 이해하고 필요한 부분을 지원해 학생 교육에 전념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 주는 것, 바로 이것이 오미크론 속 개학 준비를 위한 가장 중요한 일일 것이다.